$\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암환자의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 외상 후 성장, 삶의 질
Self-Efficacy, Self-Care Behavior, Posttraumatic Growth,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ncer according to Disease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9 no.2, 2016년, pp.170 - 179  

최진호 (유성선병원 혈액종양학과) ,  이선영 (유성선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안병덕 (배재대학교 심리철학상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암환자의 자가간호행위, 자기효능감, 외상 후 성장, 그리고 삶의 질의 정도를 평가하고, 질병관련특성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여 이들의 정도가 낮은 환자군의 질병관련특성을 발견하여, 이를 증진시킬 교육과 프로그램의 적용 등 심리사회적 개입이 필요한 환자군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암환자 총 107명을 대상으로 자가간호행위, 자기효능감, 외상 후 성장, 심리, 사회관계적 삶의 질에 관한 설문조사 하였고, 진단병기, 진단 후 경과기간, 치료현황의 질병관련특성에 따라 그룹으로 나누어 이에 대해 평가하였다. 결과: 자가간호행위는 총 65점 중 평균점수 49.96점, 자기효능감은 총 50점 중 평균점수 37.78점으로 나타났다. 자가간호행위는 하위요인 중 투약의 항목에서는 진단 후 기간이 1년 이상 2년 미만의 환자집단에 비해 1년 미만의 환자집단에서, 추적관찰중 집단 및 전이집단에 비해서 현재치료중 집단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외상 후 성장은 총 80점 중 평균점수 56.17점이 나왔고, 진단 후 경과기간 1년 이상 2년 미만의 환자집단이 1년 미만의 환자집단에 비해서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하위요인으로는 자기지각의 변화가 차이를 보였다. 추적관찰 중인 집단이 현재치료 중 집단보다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하위요인으로 대인관계의 깊이증가와 영적, 종교적 관심증가에서 차이를 보였다. 삶의 질은 총 40점 중 평균점수 25.79점이였으며, 질병관련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진단 후 경과기간이 짧을수록 자가간호행위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외상 후 성장은 암 진단 후 경과기간이 1년 이후 2년 미만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진단 후 1년 이내에 자가간호행위와 자기효능감 증진을 도모하는 것이 이를 유지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암 진단 후 2년 시점에서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외적 자원의 투입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self-efficacy, self-care behavior, posttraumatic growth,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and their levels by disease characteristics groups to identify patient groups that require psychosocial intervention. Methods: We surveyed 107 patients using a structured qu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의 자가간호행위, 자기효능감, 외상 후 성장, 그리고 삶의 질의 정도를 평가하고, 질병관련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이들의 정도가 낮은 환자군의 질병관련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과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한 환자군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치료적 함의와 외상 후 성장, 심리사회학적 삶의 질,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 등을 이용한 치료 효과를 높이는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암 발병이 후, 어떤 심리적 변화가 나타나는지 확인해야 하며, 그 다차원적 치료접근을 위하여 암환자의 신체적 예후뿐만 아니라, 심리적 예후까지 살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의 자가간호행위, 자기효능감, 외상 후 성장, 그리고 삶의 질의 정도를 평가하고, 질병관련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이들의 정도가 낮은 환자군의 질병관련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과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한 환자군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치료적 함의와 외상 후 성장, 심리사회학적 삶의 질,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 등을 이용한 치료 효과를 높이는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암은 과거 어느 때보다 현대인에게 빈번히 발생하는 질병이 되었고 현대 사회공동체의 복잡한 구조와 이에 따른 스트레스가 암의 발병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특히 현대인의 정신적 과로가 그 원인으로, 이는 개인이 일상 속에서 자신을 돌보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가간호행위는 무엇이며 암환자에게 어떠한 긍정적 영향을 주는가? 또한 자가간호행위는 자기 스스로 생명, 건강 및 안녕을 유지하기 위한 개인의 행위로, 암환자의 치명적인 감염 예방과 기타 면역과 관련된 신체건강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의료진은 암환자에게 자가간호행위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6,7). 특히 암환자의 경우 질병 예후에 대한 걱정과 치료의 부작용으로 심리적, 정신적으로 위축되고 절망감으로 자가간호행위에 소홀할 수 있어(7), 의료진의 암환자의 자가간호수준을 높이기 위한 동기유발과 심리적 지지는 필요하다(8).
암 투병과정에서 극복력 증진은 무엇이 있는가? 투병과정에서 개인의 기질, 사회적, 경제적 자원, 과거와 현재 스트레스, 신념, 사랑, 관심, 감사 등의 긍정적 정서 등은 극복력 증진 요인으로 알려져 있어(3),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지속되어 왔다. 암은 피로, 수면장애, 신체장애, 인지장애와 여러 가지 심리학적인 반응을 일으키며 환자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부정적인 결과만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Montazeri A.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a bibliographic review of the literature from 1974 to 2007. J Exp Clin Cancer Res 2008;27:32. 

  2. Kim KH, Chung BY, Kim KD, Byun HS.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ncer. J Korean Oncol Nurs 2009;9:52-9. 

  3. Bonanno GA, Westphal M, Mancini AD. Resilience to loss and potential trauma. Annu Rev Clin Psychol 2011;7:511-35. 

  4. Tedeschi RG, Calhoun L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 Trauma Stress 1996;9:455-71. 

  5. Lee S, Kim YJ. Posttraumatic growth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 Korean Acad Nurs 2012;42:907-15. 

  6. Orem DE. Self-care deficit theory of nursing. In: Marriner-Tomey A. Nursing theorists and their work. 2nd ed. St. Louis: Mosby;1989. 

  7. Oh PJ, Lee EO, Tae TS, Um DC. Effects of a program to promote self-efficacy and hope on the self-care behaviors and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leukemia. J Korean Acad Nurs 1995;27:627-38. 

  8. Ko HK, Park GJ. Effects of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on self-efficacy, self-car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radiotherapy. J Korean Oncol Nurs 2011;11: 136-46. 

  9. Rottmann N, Dalton SO, Christensen J, Frederiksen K, Johansen C. Self-efficacy, adjustment style and well-being in breast cancer patients: a longitudinal study. Qual Life Res 2010;19:827-36. 

  10. Akin S, Can G, Aydiner A, Ozdilli K, Durna Z. Quality of life, symptom experience and distress of lung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Eur J Oncol Nurs 2010;14:400-9. 

  11. DiSipio T, Hayes S, Newman B, Janda M. What determines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regional and rural breast cancer survivors? Aust N Z J Public Health 2009;33:534-9. 

  12. Lou Y, Yates P, McCarthy A, Wang H. Fatigue self-management: a survey of Chinese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J Clin Nurs 2013;22:1053-65. 

  13. Popoola AO, Adewuya AO.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ve disorders in outpatients with breast cancer in Lagos, Nigeria. Psychooncology 2012;21:675-9. 

  14. Schapmire TJ, Head BA, Faul AC. Just give me hope: lived experiences of Medicaid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J Soc Work End Life Palliat Care 2012;8:29-52. 

  15. Kim SJ.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following heart transplantation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 2001. Korean. 

  16. Kim SY. Predicting factors on self-care behavior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 2012. Korean. 

  17. Song S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aster's thesis]. Daejon: Chungnam National Univ.; 2007. Korean. 

  18.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quality of life assessment. The WHOQOL Group. Psychol Med 1998;28:551-8. 

  19. Koutrouli N, Anagnostopoulos F, Potamianos 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Women Health 2012;52:503-16. 

  20. Parikh D, De Ieso P, Garvey G, Thachil T, Ramamoorthi R, Penniment M, et al.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patients-a systematic review. Asian Pac J Cancer Prev 2015;16:641-6. 

  21. Kim KS.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Daejeon: Daejeon Univ.; 2003. Korean. 

  22. Ferrell BR, Grant M, Funk B, Garcia N, Otis-Green S, Schaffner ML.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Cancer Pract 1996;4:331-40. 

  23. Oh PJ. A structural model for health promotion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cancer. J Korean Acad Nurs 1996;26:632-52. 

  24. Lee HM, Shin YD, Woon C, Joo HZ. A study of the quality of life following after curative surgery for gastric cancer. J Korean Surg Soc 2001;60:405-12. 

  25. Gates MF, Lackey NR, White MR. Needs of hospice and clinic patients with cancer. Cancer Pract 1995;3:226-32. 

  26. Dunigan JT, Carr BI, Steel JL. Posttraumatic growth, immunity and survival in patients with hepatoma. Dig Dis Sci 2007;52: 2452-9. 

  27. Cordova MJ, Cunningham LL, Carlson CR, Andrykowski MA. Posttraumatic growth following breast cancer: a controlled comparison study. Health Psychol 2001;20:176-85. 

  28. Manne S, Ostroff J, Winkel G, Goldstein L, Fox K, Grana G. Posttraumatic growth after breast cancer: patient, partner, and couple perspectives. Psychosom Med 2004;66:442-54. 

  29. Danhauer SC, Case LD, Tedeschi R, Russell G, Vishnevsky T, Triplett K, et al. Predictors of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ith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2013;22:2676-83. 

  30. Morris BA, Campbell M, Dwyer M, Dunn J, Chambers SK. Survivor identity and post-traumatic growth after participating in challenge-based peer-support programmes. Br J Health Psychol 2011;16:660-74. 

  31. Cohen M, Numa M.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survivors: a comparison of volunteers and non-volunteers. Psychooncology. 2011;20:69-76. 

  32. Tae YS.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the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 1985. Korean. 

  33. Salonen P, Tarkka MT, Kellokumpu-Lehtinen PL, Koivisto AM, Astedt-Kurki P, Kaunonen M. Individual face-to-face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Int J Nurs Pract 2011;17:396-410. 

  34. Lee ES. The comparison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post traumatic growth and quality of life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stage of survivorship [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Univ.; 2012. Korean. 

  35. Han SS, Shin IS, Lim YJ.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9;9: 33-40. 

  36. Kim SK.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support, self-care behavior and perceived health among female patients under the chemotherapy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 2004. Korean. 

  37. Yoon EJ. Model explaining varianc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osteoporosis [master's thesis]. Seoul: Kyunghee Univ.; 2001. Korean. 

  38. Kim MY.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web-based self-efficacy promoting program on stomach cancer patients with gastrectomy [dissertation]. Busan: Kosin Univ.; 2009. Korean. 

  39. Kim EM, Kim KS. A structural model on quality of life for recipients of liver transplants. J Korea Acad Fundam Nurs 2007;14:340-50. 

  40. Ko YJ. The relationships among health behavior and self-Efficacy,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Nursing Science 2009;21:22-35. 

  41. Woo JA. Predictive factors of self-care behavior in hematooncologic patients [master's thesis]. Busan: Kosin Univ.; 2008. Korean. 

  42. Kim SK.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self-car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master's thesis]. Busan: Kosin Univ.; 2012. Korean. 

  43. Lee AR. Study on the health belief, health knowledge, and compliance with sick role behavior in the patients with hematomalignancy [master's thesis]. Kwangju: Chonnam National Univ.; 2003.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