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ther's Self-Esteem and Child Rearing Attitude on Children's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6, 2013년, pp.2645 - 2652  

안라리 (광양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  박화윤 (원광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신인영 (상아유치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J시에 위치한 2곳의 유치원에서 만 3, 4, 5세 유아 각 40명씩 총 120명과 그 아버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아버지가 자아존중감이 높고 아버지의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를 보일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거부적 양육태도를 보일 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자율적 애정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정서지능은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이 높고 아버지가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를 보일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거부적 양육태도를 보일 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자율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father's self-esteem and child rearing attitude on children's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 were 120 children and their father who wer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rvice in J city. Data analysed with Pearson correlation, regres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에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양육태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에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양육태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존중감이란 무엇인가? 특히, 자신이 지각한 자신의 여러 가지 속성과 가치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라고 할 수 있는 자아존중감(self-esteem)은[1]건전한 인성 발달과 사회적 관계에 대한 적응과 함께 유아기 이후의 삶의 질과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므로 매우 중요하다[2].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태도, 자신에 대한 만족이나 호의 정도, 혹은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느껴지는 자신에 대한 가치감 등으로 정의되는 개념이다[3]. 자아존중감은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4] 성공적인 역할 수행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5]유아기에 형성된 자아존중감은 정서적 경험이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장기적으로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6].
유아교육에서 자아존중감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자아존중감은 자아 개념을 보다 긍정적으로 이끌기 위해서 현대 유아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부모가 유아에게 보여 주는 가치 그대로 유아가 자기를 평가하는 기준이 되며, 특히 이러한 자아존중감은 학교에 들어가서 학업성취도에 대한 실패와 성공을 경험함으로써 더욱 영향받게 된다. 그러므로 교사나 부모는 유아에게 자기 자신이 한 일에 대해 만족하여 성취감을 갖고 계속적으로 축적된 경험을 쌓도록 도와주어야 한다[7].
자아존중감은 개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태도, 자신에 대한 만족이나 호의 정도, 혹은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느껴지는 자신에 대한 가치감 등으로 정의되는 개념이다[3]. 자아존중감은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4] 성공적인 역할 수행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5]유아기에 형성된 자아존중감은 정서적 경험이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장기적으로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6]. 이러한 자아존중감은 생득적으로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성장하는 과정에서 부모, 가족구성원, 또래, 교사등을 통해 차츰 자신에 대한 의식으로 확대되어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 G. Choi., & G. Y. Jeon. Research: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elf-esteem inventor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1(2), 41-54, 1993. 

  2. Humphreys, T. Self-esteem, the key to your child's future. London; Gill & Macmillan, 2002. 

  3. Brinthaupt, T. M., & Erwin, L. J. Reporting about the self: Issue and implications. In T. M. Blinthaupt & R. P. LIPKA (Eds.), The self difinitional and methodological issues (pp. 137-171).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2. 

  4. S. H. Ryu., & Y. K. Ah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interpersonal anxiety and self-esteem. Journal of Open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10(3), 235-249, 2005. 

  5. Y. S. Kim. A study on the relevant variables of children's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2002. 

  6. S. K. Le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parent-involved self-esteem enhancing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it's effec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gshin University, 2012. 

  7. W. H. Park., Y. A. Kim., J. S. Ma., R. R. An., S. W. Lee., H. J. Lee., J. H. Jo., & E. J. Hur. Pedagogy of subject. Gyeonggi: Gongdongche, 2010. DOI: http://dx.doi.org/10.6115/khea.2011.49.2.075 

  8. Marion, C. H. The 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Building an emotion-centered curriculum. Teacher College Press, Columbia University, 1994. 

  9. Gardner, H. Frame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1983. 

  10. Sternberg, R. Successful intelligence. New York: A Plume Books, 1986. 

  11. Mayer, J. D., & Salovey, P. Emotional Intelligence, Cognition and Personality, 9, 185-210, 1990. 

  12. W. Y. Park., J. S. Ma., & M. Y. Kim. The effect of emotional control and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n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mative.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1), 5083-5090, 2012. 

  13. K. E. Lee., & J. L. Lee. Reciprocoal influences between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7(1), 65-73, 2009. 

  14. Jaffe, M. L. Understanding parenting. Dubuque. IA: WCB, 2001. 

  15. H. J. Ahn.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9. 

  16. Lamb, M. E. Father and child development: An intergrative overview. In M. E. Lamb(eD.),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New York: Wiley, 1981. 

  17. J. S. Ya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2), 75-84, 2011. 

  18. M. H. Choi. The relationship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rearing attitude consistency between parents to children's self-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2003. 

  19. E. H.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s child rearing attitude and the child's creative person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an's University, 2012. 

  20. H., Y. Ko., & S. Y. Lee. An analysis of self-esteem in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5(1), 27-50, 2010. 

  21. Y. A. Kim. A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rearing attitudes and their infant's emotional quo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eonggi University,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