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아버지 우울 변화 양상에 따른 양육행동 및 자녀의 문제행동, 학교적응 차이 비교
Classifying Fathers' Depression Trajectories and Its Influences to Parenting Practices and Their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and School Adjustmen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4, 2020년, pp.337 - 345  

연은모 (영남대학교 교양학부) ,  최효식 (춘천교육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 출생 후 4년부터 8년까지의 아버지의 우울 변화 양상에 기초한 잠재집단을 탐색하고, 잠재집단에 따라 2년 후의 아버지 양육행동과 자녀의 문제행동 및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4차년도(2011년)부터 8차년도(2015년)의 5개년도 자료와 10차년도(2017년) 자료의 1,172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녀 출생 후 4년부터 8년까지의 아버지 우울의 변화 궤적은 고수준 변화형 집단, 중수준 저변화형 집단, 저수준 저변화형 집단의 3개의 잠재집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5년 동안 계속 낮은 수준의 우울을 보인 저수준 저변화형 집단은 고수준 변화형 집단과 중수준 저변화형 집단보다 권위적(Authoritative) 양육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반면, 고수준 변화형 집단과 중수준 저변화형 집단은 저수준 저변화형 집단보다 권위주의적(Authoritarian), 허용적(Permissive) 양육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고수준 변화형 집단, 중수준 저변화형 집단, 저수준 저변화형 집단 순으로 자녀의 내재화 문제행동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수준 변화형 집단이 저수준 저변화형 집단보다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의 경우 저수준 저변화형 집단이 중수준 저변화형 집단보다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 교사적응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녀가 학교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문제행동을 많이 보일 때 아버지의 우울 수준을 함께 고려한 상담 및 가족 프로그램 운영이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longitudinal trajectories of father's depression and the changes of relevant parenting practice in fathers' as well as the problematic behaviors and school adaptation of their children. To address these goals, the data from 1,172 samples from the 4th to 8th Korean Children an...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아버지 우울 잠재집단에 따라 자녀의 문제행동 및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다.
  • 학교적응의 경우 저수준 저변화형 집단이 중수준 저변화형 집단보다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 교사적응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행동이 자녀의 학교적응 및 자녀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다 [15-17, 28]. 자녀의 성장과정에서 아버지가 계속해서 높은 우울 수준을 보일 때 양육참여 및 적극적 상호작용 수준이 낮을 뿐 아니라, 아버지의 부정적 심리 특성이 자녀에게 전이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자녀의 학교적응과 문제행동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있다.
  • 본 연구는 자녀 출생 후 4년부터 8년까지의 아버지의 우울 변화 양상에 기초한 잠재집단을 확인하고, 잠재집단에 따라 2년 후의 아버지 양육행동과 자녀의 문제행동및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 출생 후 4년부터 8년까지의 아버지의 우울 변화 특성에 기초한 잠재집단을 확인하고, 잠재집단에 따라 2년 후의 아버지 양육행동과 자녀의 문제행동 및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 둘째, 아버지 우울 관련 연구들이 대다수 횡단 자료를 활용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자녀 출생 후 4년부터 8년까지의 아버 지의 우울 변화 궤적에 따른 잠재집단을 경험적으로 확인한다는 차별점이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유아기부터 초등학교 1학년 시기까지의 아버지의 우울 변화 특성이 초등학교 3학년 시기의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자녀의 문제 행동과 학교적응을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경험적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별점이 있다.
  • 아버지 우울과 관련된 연구 또한 대다수 횡단 자료를 사용했기 때문에 자녀 출생 이후부터 아버지의 우울이 어떻게 변화하고, 아버지 우울의 변화가 자녀 발달과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녀 출생 후 4년부터 8년까지의 아버지 우울 수준의 변화 궤적에 기초한 잠재집단을 탐색하고, 잠재집단에 따라 초등학교 시기의 아버지 양육 행동, 자녀의 문제행동,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 즉, 아버지의 우울은 양육참여 및 긍정적 양육행동을 줄이고, 역기능적 가족관계를 유발하기 때문에[13-15] 자녀의 인지, 정서, 행동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이전시기부터 초등학교 1학년 시기까지의 아버지의 우울 변화 패턴이 초등학교 3학년 시기의 문제행동 및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W. H. Jeynes, "Meta-analysis on the roles of fathers in parenting: Are they unique?", Marriage & Family Review, Vol.52, No.7, pp.665-688, 2016. DOI: http://dx.doi.org/10.1080/01494929.2016.1157121 

  2. E. Flouri, Z. Sarmadi, M. Francesconi, "Paternal psychological distress and child problem behavior from early childhood to middle adolescenc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Vol.58, No.4, pp.453-458, 2019. DOI: http://dx.doi.org/10.1016/j.jaac.2018.06.041 

  3. E. L. Moller, M. Nikolic, M. Majdandzic, S, M. Bogels, "Associations between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xiety and its precursors in early childhood: A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45, pp.17-33, 2016. DOI: http://dx.doi.org/10.1016/j.cpr.2016.03.002 

  4. J. I. Yuh, "The association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family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with parenting behaviors during early childhood",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116, pp.65-90, 2019. 

  5. H. J. Lee, "The typology of changing preschoolers' oppositional defiant behavior problem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oppositional defiant behavior problems and elementary children executive dysfunctioning", Global Creative Leader, Vol.9, No.4, pp.143-162, 2019. DOI: http://dx.doi.org/10.34226/gcl.2019.9.4.143 

  6. Y. H. Kim, "Maternal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 trajectories from birth to 6 years and children's emotional control difficulty at first grade",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Vol.13, No.2, pp.29-46, 2019. DOI: https://doi.org/10.5718/kcep.2019.13.2.29 

  7. D. G. Rosenthal, N. Learned, Y. H. Liu, M. Weitzman, "Characteristics of fathers with depressive symptoms",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Vol.17, No.1, pp.119-128, 2013. DOI: https://doi.org/10.1007/s10995-012-0955-5 

  8. J. H. Sung, C. K. Kim, "The mediation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in the influence of mother's depression on infant's anxiety/depression",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Vol.12, No.1, pp.99-123, 2018. DOI: https://doi.org/10.5718/kcep.2018.12.1.99 

  9. Y. S. Kim, J. S. Park, Y. H. Kim,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 of parenting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depression on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Vol.15, No.1, pp.135-155, 2018. 

  10. Y. H. Choi, N. S. Park, J. Y. Park, R. R. Hwang,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child-rearing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the sociability of children",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Vol.22, No.1, pp.1-19, 2019. 

  11. P. Kane, J. Garber, "Parental depression and child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symptoms: Unique effects of fathers' symptoms and perceived conflict as a mediator",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Vol.18, No.4, pp.465-472, 2009. DOI: http://dx.doi.org/10.1007/s10826-008-9250-x 

  12. K. Cheung, J. Theule, "P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parenting behaviors: An updated meta-analysi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Vol.28, No.3, pp.613-626, 2019. DOI: https://doi.org/10.1007/s10826-018-01316-1 

  13. J. Bronte-Tinkew, K. A. Moore, G. Matthews, J. Carrano, "Symptoms of major depression in a sample of fathers of infants: Sociodemographic correlates and links to father involvement", Journal of Family Issues, Vol.28, No.1, pp.61-99, 2007. DOI: http://dx.doi.org/10.1177/0192513X06293609 

  14. M. J. Kim, Y. H. Kim, "Family economic distress, paternal depression, marital relationship, controlling parenting style, and behavioral problems in young childr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49, No.5, pp.59-70, 2011. 

  15. J. I. Yuh, "The effects of p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family relationship on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Vol.31, No.3, pp.333-351, 2015. 

  16. H. G. Kim, "The effect of the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mother-child relationship-as perceived by the child on school adjustment",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50, No.6, pp.65-75, 2012. DOI: http://dx.doi.org/10.6115/khea.2012.50.6.065 

  17. Y. L. Kim, K. H. Lee,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style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on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middle school students",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12, No.4, pp.125-143, 2011. 

  18. F. R. Niaraki, H. Rahimi, "The impact of authoritative, permissive and authoritarian behavior of parents on self-concept, psychological health and life quality", European Online Journal of Natural and Social Sciences, Vol.2, No.1, pp.78-85, 2013. 

  19. D. Baumrind, "Current patterns of parental authority", Developmental Psychology, Vol.4, pp.1-103, 1971. DOI: http://dx.doi.org/10.1037/h0030372 

  20. C. C. Robinson, B. Mandleco, S. F. Olsen, C. H. Hart, "Authoritative, authoritarian, and permissive parenting practices: Development of a new measure", Psychological Reports, Vol.77, pp.819-830, 1995. DOI: http://dx.doi.org/10.2466/pr0.1995.77.3.819 

  21. http://panel.kicce.re.kr 

  22. C. K. Kim, M. K. Cho,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depression, parenting behavior and early child's behavior problem using latent growth model: A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values",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106, pp.33-56, 2017. 

  23. J. Y. Lee, M. K. Jang,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s: The mediating effects of irrational beliefs in parent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Vol.9, No.2, pp.1-16, 2009. 

  24. Y. M. Kim, H. N. Song, "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among paternal depression, affective parenting and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39, No.3, pp.73-82, 2018. DOI: https://doi.org/10.5723/kjcs.2018.39.3.73 

  25. J. Y. Jang, J. H. Kim, Y. H. Kim, "Effects of paternal depression, marital relationship, and parenting style on problem behaviors in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Vol.42, No.2, pp.79-107, 2011. 

  26. E. M. Yeon, H. S. Choi, "Exploring the latent profiles i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acceptance toward disability of the disabled to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9, No.3, pp.133-152, 2019. 

  27. S. L. Lee, "The effect of parenting styles on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and academic performance of children: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56, No.5, pp.461-472, 2018. DOI: http://dx.doi.org/10.6115/fer.2018.034 

  28. S. Sweeney, A. MacBeth, "The effects of paternal depression on child and adolescent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205, pp.44-59, 2016. DOI: http://dx.doi.org/10.1016/j.jad.2016.05.0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