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접구조물에 의한 터널의 안전영역 평가
Estimation of Safety Zone of Tunnel due to Adjacent Structur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6, 2013년, pp.3052 - 3060  

황택진 (동의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 구조물에 근접하여 터널을 계획 할 때 상부 토괴하중 및 근접 구조물의 작용하중에 따른 이완영역의 범위를 고려하여 구조물 설치 가능범위 및 터널의 보강패턴을 제시하는 안전영역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 안전영역에 대해서는 기존 구조물과의 이격 거리와 하중 조건 등에 대한 규정이 명확하지 않고 지층조건, 근접 구조물의 위치 및 작용하중 조건 등에 따라 안전영역이 달라질 것이지만 이에 대한 이론적 검증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굴착을 파악하기 위해 인한 지반 및 구조물의 거동을 2차원 및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근접 구조물의 위치, 지반변형계수의 변화에 따른 터널의 안전영역과의 상관관계 및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안전영역의 범위는 지반변형계수가 높을수록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재평가된 안전영역 다이아그램에서 제약조건 아래 시공 가능영역은 전단파괴선이 스프링라인 하부의 인버트 연장선에서 나타나 안전영역이 상당히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planning to construct adjacent structure by the side tunnel, the criteria of safety zone of tunnel have been proposed. There are no specific theoretical basis regarding load conditions and the distance of structure and the geological strata and the conditions of adjacent structure's locatio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근접 구조물이 신설 터널의 측벽부에 위치하고 있는 조건에서의 안정영역 분석한 것이다. 터널 직 상부의 개발인 경우에는 응력이완 및 하중 재분배로 인하여, 신설 터널의 안정성과 관련된 해석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나므로 안전영역을 재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지하철 박스 구조물에 근접하여 측면부에 신설 터널을 계획할 때, 터널 굴착으로 인한 지반 및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근접 구조물의 위치 및 지반변형계수의 변화에 따른 안전영역을 평가하였다. 터널굴착에 따른 아칭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3차원 수치해석에 의한 종 방향 및 횡 방향 변위를 분석하였으며 근접 구조물의 위치 및 지반변형계수 변화에 따른 안전영역과 분포도, 지반변형계수와의 상관관계를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0m로 고려하여 해석하였으며 상재하중은 도로하중 DB24를 적용하였으나 열차하중은 고려하지 않았다. 지반은 Mohr-Coulomb 파괴규준을 따르는 탄소성 모델로 가정하였으며 터널주변 요소망은 해석결과의 정확성을 위하여 가급적 작게 분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굴착으로 인한 지반 이완으로 인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또한 기존 도로 터널이나 지하철이 인접한곳에 건축물 등 새로운 구조물을 건설 을 할 경우 그 공사 정도가 어렵기 때문에 공사 진행에 따라 기존 구조물 및 각종 시설의 운행이나 안전에 지장을 주거나 손상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굴착으로 인한 지반 이완으로 인해 기존 구조물의 침하, 굴착, 응력교란에 따른 간섭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른 구조물 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정 이격거리 산정은 현장의 지반조건, 구조물의 교차 각도 등 여러 요인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심지에서 시행되는 지하공간개발 사업의 문제점은? 최근 각종 사회기반시설의 확충 및 지상 시설물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도심지 지하개발에 따라 지하철, 터널 등 각종 시설물의 지하공간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도심지에서 시행되는 지하공간개발 사업에 있어서는 시설물 상호간의 근접시공으로 인해 시설물의 안전성과 관련된 민원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존 도로 터널이나 지하철이 인접한곳에 건축물 등 새로운 구조물을 건설 을 할 경우 그 공사 정도가 어렵기 때문에 공사 진행에 따라 기존 구조물 및 각종 시설의 운행이나 안전에 지장을 주거나 손상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국토해양부 터널설계기준에서 안전 영역에 대한 정의는? 국토해양부 터널설계기준(2007)에서는 안전영역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안전영역은 터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규정한 터널 주변의 영역으로서, 각 영역별로 터널 안전을 위한 대책을 강구하도록 규제하는 영역이며 기존 터널과 근접하여 다른 구조물을 계획할 때 터널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터널 주변 지반의 일정 영역을 원상태로 보전하여야 하는 범위를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Ministry of Land, Transport & Maritime Affairs, Tunnel Design Standard, 2007 

  2. Do-Sik Kim, Young-Keon Kim, Doo-Hwa Lee, Chang-Young Kim, Kyu-Jin Bae, Seung- Ho Lee, Ho-Sung Lee, "A Study on Stability and Pillar Reinforcement of a Asymmetry Parallel Tunnel", KSCE Tunnel Committee Special Conference, 16th, pp. 181-197. Dec. 2004 

  3. Woo-Sung Kim, Dong-Uk Yoo, Sang-Eun Lee, "Study on the Estimation of Safety Zone and the Movement of Ground at the Inter-Crossing Tunnel", Tunnel & Underground Spac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Vol 18, No 6, pp.491-502, 2008 

  4. Hefny, A. M., Chua, H. C. and Zhao. J. "Parametric studi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existing and new bored tunnels",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 19, Issues 4-5, pp. 471. 2004 

  5. Korean Geotechnical Society, Geotechnical engineering Series 7, Tunnel, 1996 

  6. Korean Geotechnical Society, Geotechnical engineering Series 11, Rock Mechanics for Civil Engineer, 2000 

  7. Korean Geotechnical Society, Structure Foundation Guide Explanation, 2009 

  8. Chung-Sik Yoo. Ah-Ran Song, "Effects of Tunnel Construction on an Existing Tunnel Lining", Tunnelling Technology, Vol. 8, No. 4, pp.307-324. December 2006 

  9. Addenbrooke, T. I. and Potts, D. M. "Twin tunnel interaction: Surface and subsurface effec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Geomechanics, Vol. 1, No. 2, pp. 249-271. 2001 DOI: http://dx.doi.org/10.1061/(ASCE)1532-3641(2001)1:2(249) 

  10. Hoon-Ki Moon, Jong-Ho Shin, "Effect of Blast-induced Vibration on a Tunnel", Tunnelling Technology, Vol. 10, No. 3, pp. 207-219,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