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폴리에틸렌-옥텐 공중합체 블렌드의 결정화 거동 및 기계적 물성에 관한 연구
Crystallization Behavior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Density Polyethylene/metallocene catalyzed Poly(ethylene-co-octene) Blend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6, 2013년, pp.3108 - 3113  

손영곤 (공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옥텐의 함량이 다른 4가지 메탈로센 LLDPE (mLLDPE)를 각각 HDPE와 여러 조성에서 혼합한 후 시료들의 결정화 거동 및 기계적인 물성을 관찰하여 mLLDPE/HDPE의 혼화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옥텐의 함량이 4.1, 6.8, 9.8 및 12.5 mol.% 인 네 종류의 mLLDPE에 HDPE를 100/0, 80/20, 60/40, 40/60/ 20/80 및 0/100의 비율로 용융 혼합하여 시료를 제조하였고, 이 시료의 결정화 온도, 용융온도를 DS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각 시료의 기계적 물성을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DPE와 mLLDPE의 결정화 온도 및 용융온도는 상대편 고분자의 존재에 의하여 변하는 것으로 보아 용융상태에서 두 물질이 서로 같이 존재하는 구조, 즉 완전히 균일상이거나 최소한 부분적 상용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용융온도가 낮은 mLLDPE의 용융피크는 HDPE를 첨가함에 따라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mLLDPE의 결정상에는 HDPE가 같이 결정화가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HDPE결정에 mLLDPE가 같이 결정화 되어있는지는 확인할 수 없었다. 열분석과 기계적 물성을 측정한 결과 HDPE와 mLLDPE의 상용성은 mLLDPE에서 존재하는 옥텐의 함량이 낮을수록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atibility between mLLDPE and HDPE was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crystallization behavior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ir blends. HDPE and mLLDPE blends were prepared by a melt-blending with compositions of 100/0, 80/20, 60/40, 40/60/ 20/80 and 0/100. Four different mLLDPEs containing va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공단량체의 함량이 다른 4가지 mLLDPE를 각각 HDPE와 여러 조성에서 혼합 한 후 시료들의 결정화 거동 및 기계적인 물성을 관찰하여 mLLDPE/HDPE의 혼화성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본 논문에 나타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폴리에텔렌이란 무엇인가? 폴리에텔렌 (polyethylene, PE)은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P)과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범용 고분자이다[1]. PE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과 저밀도 폴리에틸렌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으로 나뉘는데 HDPE 는 PE 중 강성이 가장 높아 우유병, 화장품 병과 같은 용기로서 주로 사용되고 LDPE 및 LLDPE는 연성이 높아 필름, 식품 포장재로 주로 사용된다.
PE는 어떻게 나뉘는가? 폴리에텔렌 (polyethylene, PE)은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P)과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범용 고분자이다[1]. PE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과 저밀도 폴리에틸렌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으로 나뉘는데 HDPE 는 PE 중 강성이 가장 높아 우유병, 화장품 병과 같은 용기로서 주로 사용되고 LDPE 및 LLDPE는 연성이 높아 필름, 식품 포장재로 주로 사용된다. PP는 HDPE 보다 경도 및 강성이 더욱 높아 사출성형 공정을 통하여 주로 강성이 필요한 구조용 제품에 사용된다.
폴리프로필렌은 어떤 특징으로 어디에 사용되는가? PE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과 저밀도 폴리에틸렌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으로 나뉘는데 HDPE 는 PE 중 강성이 가장 높아 우유병, 화장품 병과 같은 용기로서 주로 사용되고 LDPE 및 LLDPE는 연성이 높아 필름, 식품 포장재로 주로 사용된다. PP는 HDPE 보다 경도 및 강성이 더욱 높아 사출성형 공정을 통하여 주로 강성이 필요한 구조용 제품에 사용된다. 폴리에틸렌을 생산하는 기업체에서는 다양한 그레이드를 개발하기 위해서 HDPE에 LDPE 및 LLDPE를 혼합하는 연구를 수행하는데 이때 우수한 물성이 발현되기 위해서는 두 고분자간의 혼화성(miscibility) 이 중요하므로 HDPE/LDPE 및 HDPE/LLDPE의 혼화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왔다[2-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D. Nwabunma and T. Kyu, Polyolefin Blends (Wiley Series on Polymer Engineering and Technology): 1st edition, Wiley-Interscience, 2007. DOI: http://dx.doi.org/10.1002/9780470199008 

  2. Y. Zhao, "Crystallization behavior of blends of high-density polyethylene with novel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Macromol. Chem. Phys., Vol. 198, pp. 1427-1436, 1997. DOI: http://dx.doi.org/10.1002/macp.1997.021980511 

  3. P. Micic, "Melt strength and elastic behaviour of LLDPE/LDPE blends", Int. Polym. Proc., Vol. 11, pp. 14-20, 1996. 

  4. I. A. Husssein, "Rheological study of the miscibility of LLDPE/LDPE blends and the influence of Tmix", Polym. Eng. Sci., Vol. 41, pp. 696-701, 2001. DOI: http://dx.doi.org/10.1002/pen.10764 

  5. D. Rana,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for binary blends of metallocene polyethylene with conventional polyolefins" J. Appl. Polym. Sci., Vol. 69, pp. 2441-2450, 1998. DOI: http://dx.doi.org/10.1002/(SICI)1097-4628(19980919)69:12%3C2441::AID-APP15%3E3.3.CO;2-T 

  6. F. P. La Mantia, "Influence of the structure of linear density polyethylene on the rhe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blends with low density polyethylene", Eur. Polym. J., Vol. 22, pp. 647-652, 1986. DOI: http://dx.doi.org/10.1016/0014-3057(86)90163-1 

  7. K. Cho, "Rhe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polyethylene blends", Polym. Eng. Sci., Vol. 38, pp. 1969-1975, 1998. DOI: http://dx.doi.org/10.1002/pen.10366 

  8. R. G. Alamo, "Small Angle Neutron Scattering Investigations of Melt Miscibility and Phase Segregation in Blends of Linear and Branched Polyethylenes as a Function of the Branch Content", Macromolecules, Vol. 30, pp. 561-566, 1997. DOI: http://dx.doi.org/10.1021/ma961196j 

  9. M. J. Hill, "Phase segregation in melts of blends of linear and branched polyethylene", Polymer, Vol. 32, pp. 1384-1393, 1991. DOI: http://dx.doi.org/10.1016/0032-3861(91)90418-I 

  10. R. G. Alamo, "Phase behavior of blends of linear and branched polyethylenes in the molten and solid states by small-angle neutron scattering", Macromolecules, Vol. 27, pp. 411-417, 1994. DOI: http://dx.doi.org/10.1021/ma00080a014 

  11. I.A. Hussein, "Influence of composition distribution and branch content on the miscibility of m-LLDPE and HDPE blends: Rheological investigation", Macromolecules, Vol. 36, pp. 2024-2031, 2003. DOI: http://dx.doi.org/10.1021/ma0257245 

  12. I. A. Hussein, "Melt misci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etallocen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blends with high-density polyethylene: influence of comonomer type", Polym. Int., Vol. 54, pp. 1330-1336, 2005. DOI: http://dx.doi.org/10.1002/pi.1860 

  13. F. P. La Mantia, "Influence of the structure of linear density polyethylene on the rhe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blends with low density polyethylene", Eur. Polym. J., Vol. 22, pp. 647-652, 1986. DOI: http://dx.doi.org/10.1016/0014-3057(86)90163-1 

  14. F. P. La Mantia, "Mechanical properties of blends of low density with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Eur. Polym. J., Vol. 21, pp. 811-813, 1985. DOI: http://dx.doi.org/10.1016/0014-3057(85)90156-9 

  15. C. Liu, J. Wang and J. He, "Rheolog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m-LLDPE blends with m-HDPE and LDPE", Polymer, Vol. 43, pp. 3811-3818, 2002. DOI: http://dx.doi.org/10.1016/S0032-3861(02)00201-X 

  16. Y. Son, "Development of a novel microcompounder for polymer blends and nanocomposite", J. Appl. Polym. Sci., Vol. 112, pp. 609-619, 2009. DOI: http://dx.doi.org/10.1002/app.288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