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가 남해(북부 동중국해 포함)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평가 시범 연구 II
Assessment of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Marine Ecosystem in the South Sea of Korea II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5 no.2, 2013년, pp.123 - 125  

주세종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해저자원연구부) ,  김세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해저자원연구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ocean warming and acidification are accelerating as a result of the continuous increase in atmospheric $CO_2$. This may affect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marine ecosystems. Recently, changes in marine environments/ecos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사업의 연구대상해역인 북부 동중국해를 포함한 남해는 한반도 주변해역 중 기후/환경변화(외양기원 해류 및 태풍, 육상기원 담수 및 물질유입)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본 연구해역은 한중일 삼국의 첨예한 해양영토 분쟁이 상존하는 해역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와 중국의 대양진출 교두보로서 전략적 요충지역이기도 하다.
  • 2010). 이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수산과학원 한국해양자료센터(KODC)와 위성/관측기지를 통해 확보한 과거 26년간의 자료와 본 사업(2008~2010)을 통해 획득한 남해 주요 연안역 현장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남해 연안역 기후변화(수온상승+산성화) 취약 지역을 확인하고 이 지역에서의 기후변화 영향 감시 및 평가를 위한 해양 환경 모니터링(현장관측, 위성활용, 관측부이) 체계를 구축하여 2011년 6월부터 시험 운용하고 있다(Fig. 1). 이와 더불어, 현장조사 결과 및 실시간 부이관측자료 제공을 위한 DB 구축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해양생물반응 연구 최적방법론 제시를 위한 연구도 수행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주변해의 해양환경 및 생태계 변화는 어떠한가? 정부간 기후변화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는 전 지구적인 기후 및 환경변화 (수온 상승, 해양산성화)가 지속적인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로 인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해양생태계 구조 및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IPCC 2007). 현재 우리나라 주변해에서도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해수온 상승, 열대 외래 생물종 유입, 주요 어종의 어획 변동(한류어종 급감과 난류 어종 급증) 등 해양환경 및 생태계 변화가 보고되고 있다(Kang et al. 2002; Kim et al.
2007년에 정부간 기후변화 협의체는 전 지구적 기후 및 환경변화에 대하여 어떤 예측을 하였는가? 정부간 기후변화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는 전 지구적인 기후 및 환경변화 (수온 상승, 해양산성화)가 지속적인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로 인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해양생태계 구조 및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IPCC 2007). 현재 우리나라 주변해에서도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해수온 상승, 열대 외래 생물종 유입, 주요 어종의 어획 변동(한류어종 급감과 난류 어종 급증) 등 해양환경 및 생태계 변화가 보고되고 있다(Kang et al.
기후변화가 해양 환경/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하여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해양수산부의 지원으로 수행한 것은 무엇인가? 그러나 이를 파악하기 위해 필수적인 장기 관측 자료가 아직 충분히 축적되어 있지 못한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따라서 기후/해양환경 변화에 따른 한반도 주변해의 해양생태계 및 생태계 구성요소들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주시해야 할 것이 무엇이며, 어떤 시공간적인 규모에서 감시/예측 체계를 구축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자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해양수산부의 지원으로 연구사업 ‘기후변화가 남해(북부 동중국해 포함)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평가 시범 연구(2008~2013)’를 수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강윤호, 주세종, 박영규 (2012) 기후변화로 인한 신지도 근해해양먹이망 변동 예측. Ocean and Polar Res 34(2):239-251 

  2. 김중진, 민홍식, 김철호, 윤진희, 김수암 (2012) IPCC 기후변화 시나리오(A1B)에 따른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산란장의 변동 예측. Ocean and Polar Res 34(2):253-264 

  3. 박영규, 최상화, 김선동, 김철호 (2012) 지구시스템 모형을 이용한 21세기 동중국해와 남해의 수온과 일차생산 변화 평가. Ocean and Polar Res 34(2):229-237 

  4. 손영백, 유주형, 노재훈, 주세종, 김상현 (2012) 남해와 동중 국해에서 위성으로 추정된 표층수온 및 클로로필의 장기변화. Ocean and Polar Res 34(2):201-218 

  5. 윤동영, 최현우 (2011) 지역규모에 따른 한국 남부해역 표층수온의 시공간적 변동 패턴 비교.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4):1-10 

  6. Boyce DG, Lewis MR, Worm B (2010) Global phytoplankton decline over the past century. Nature 466:591-596 

  7. Hays GC, Richardson AJ, Robinson C (2005) Climate change and marine plankton. Trends Ecol Evol 20(6):337-344 

  8. Hwang SW, Kang HK, Son YB, Jang MC, Choi KH (2013) Collapse of the crustacean Mesozooplankton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effects of the Three Gorges Dam? J Coastal Res. doi:http://dx.doi.org/10.2112/JCOASTRES-D-13-00011.1 (In-Press) 

  9. IPCC (2007) IPCC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ttp://www.ipcc-nggip.iges.or.jp/public/gl/invs1.htm Accessed 17 Jun 2013 

  10. Kang YS, Kim JY, Kim HG, Park JH (2002) Long-term changes in zooplankton and its relationship with squid, Todarodes pacificus, catch in Japan/East Sea. Fish Oceanogr 11(6):337-346 

  11. Kim S, Zhang CI, Kim JY, Oh JH, Kang S, Lee JB (2007) Climate variability and its effects on major fisheries in Korea. Ocean Sci J 42(3):179-192 

  12. Park S, Chu PC, Lee JH (2011) Interannual-to-interdecadal variability of the Yellow Sea Cold Water Mass in 1967?2008: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forcings. J Marine Syst 87(3-4):177-19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