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쇠뿔현호색 (Corydalis cornupetala Y.H.Kim et J.H.Jeong) 자생지의 생육환경과 식생구조
Growth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Native Habitat of Corydalis cornupetal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7 no.3, 2013년, pp.271 - 279  

성정원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명훈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윤정원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김기송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신현탁 (국립수목원) ,  김용식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쇠뿔현호색은 현호색현호색속 현호색절의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 경산시 계정숲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특산식물종이며, 춘계단명식물로 제한된 생육기간과 자원으로 생활전략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쇠뿔현호색(Corydalis cornupetala Y.H.Kim et J.H.Jeong) 개체군을 대상으로 자생지의 입지 특성과 식생구조를 파악하여 쇠뿔현호색 개체군 및 생태연구에 대한 기틀을 마련하고 자생지 보전을 위한 복원 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토성은 미사질식양토이며, 토양산도는 pH 5.4~5.9로 약산성, 전기전도도는 0.22~0.50ds/m, 토양유기물함량은 7.61~15.78%로 나타났다. 토양분석결과 양이온치환용량이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평균치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방형구에서 유독 칼슘과 마그네슘의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결과라 사료된다. 식생분석결과 5개 방형구 내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59분류군이었다. 군락분류의 경우 PC-ORD를 이용한 이단계 군락분석 결과 신나무, 갈퀴나물 및 쇠별꽃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쇠뿔현호색의 자생지는 출현종의 수보다는 우점하는 종의 상이성에 따라 집단의 유연관계가 결정되었다. 종다양도는 평균 1.26로 산출되었으며,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08와 0.92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pecies of Corydalis cornupetala Y.H.Kim et J.H.Jeong Which is belong to the Corydaliaceae is only distributed at the Gyaejeong Forest in Gyeongsan. As one of the spring ephemeral plants, this species has limited growing period. The present study is on site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쇠뿔현호색의 자생지에 대한 입지적 특성과 식생구조 분석을 파악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쇠뿔현호색 개체 및 생태연구에 대한 기틀을 마련하고 자생지 보전 및 복원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쇠뿔현호색은 무엇인가? 쇠뿔현호색은 현호색과 현호색속 현호색절의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 경산시 계정숲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특산식물종이며, 춘계단명식물로 제한된 생육기간과 자원으로 생활전략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쇠뿔현호색(Corydalis cornupetala Y.
낙엽활엽수림의 구성은? 이 지역에 자생하는 쇠뿔현호색은 계정숲 전체 면적 35%의 남동사면에서만 출현하며, 마을과 도로에서 20m 정도 격리되어 있다(Figure 2). 주변 식생은 상수리나무, 이팝나무, 푼지나무 및 느티나무 등으로 구성된 낙엽활엽수림이다. 연구 대상지역의 기후는 연평균기온은 14.
쇠뿔현호색의 종과 특성은? 본 연구의 대상종인 쇠뿔현호색은 현호색과 현호색속(Genus Corydalis) 현호색절(Sect Corydalis) 다년생 초본으로 경산시 자인면의 계정숲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특산식물이다. 3월에 개화하여 4월에 결실한 후 휴면하는 전형적인 춘계단명식물 종으로 곤충에 의해 수분하며, 종자로 번식한다(Min, 2003), 현호색의 꽃은 색과 형태에서 다른 현호색속 현호색절에 속하는 종들과 뚜렷이 구별되는데, 꽃 색은 자줏빛이 도는 흰색이고, 위아래 외화판에 짙은 자주색 두 줄 무늬가 있으며, 아래 외화판 선단 모양이 쇠뿔형이다. 또한 거(spur)의 길이가 전체 꽃 길이의 절반에 가깝거나 넘을 정도로 길며, 포엽은 좁고 긴 피침형으로 끝이 갈라지지 않는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Y.H and Y.H. Kim(2007)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ive Rubus careanu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2): 176-185. (in Korean) 

  2. Beatty, S.W.(1984) Influence of Microtopography and Canopy Species on Spatial Patterns of Forest Understory Plants Ecology 65(5): 1406-1419. 

  3. Brower, J.R.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4. Buurman, P., van Langen and E.J. Velthorst(1996) Manual for soil and water analysis. Backhuys Publishers, Leidin, pp. 59-61. 

  5. Cheon, K.S., S.K Jang, K.A. Kim and K.O. Yoo(2009)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Endemic Plant, Corydalis grandicalyx J. Oriental Bot. Res 5:80. 

  6. Cho, D.S.(1998) A Study on the Growth and Senescence of Spring Ephemerals. Journal of Natural Science 19: 199-210. (in Korean) 

  7. Collins, B.S. and S.T.A. Pickett(1988) Demographic Responses of Herb Layer Species to Experimental Canopy gaps in a Northern Hardwood Forest. Journal of Ecology 76(2): 437-450. 

  8.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3): 476-496. 

  9. Dahlen, T.S. and R.E.J. Boerner(1987) Effects of Canopy Light Gap and Early Emergence on the Growth and Reproduction of Geranium maculatum. Canadian Journal of Botany 65(2): 242-245. 

  10. Farnsworth, E.(2001) New England Plant Conservation Program. Conservation and Research Plan. Corydalis flavula(Raf.) DC yellow Corydalis, New England Wildflower Society. 180. Hemenway Road Framingham. MA 01701. 508/877-7630. 

  11. Hamilton, E.S. and A. Limbard(1982) Selective Occurrence of Arborescent Species on Soils in a Drainage Toposequence. Ottawa Conuty. Ohio. Ohio Journal of Science 82: 282-292. 

  12. Jeong, J.H., K.S. Koo, C.H. Lee and C.S. Kim(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Reg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1(6): 694-700. (in Korean) 

  13. Kalra, Y.P. and D.G. Maynard(1991) Methods manual for forest soil and plant analysis. Forestry Canada, Northwest Region, Northern Forestry Centre, Edomonton, CA, pp. 1-116. 

  14. Kim, J.S., B.H. Yang., J.M. Chung., B.C. Lee and J.C. Lee(2006)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a Rare and Endemic,Spring Ephemeral Plant Corydalis filistipes Nakai of Ullung Island in Korea. J. Ecol. Field Biol. 29(3): 247-252. 

  15. Kim, Y.H., J.H. Jeong, D.G. Jo and Z.S. Kim(2007) Corydalis cornupetala Y.H. Kim et J.H. Jeong: A New Species of Corydalis sect. Corydalis(Fumariacea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7(3): 217-224. (in Korean) 

  1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11) http://www.kma.go.kr 

  17. Korea Plant Names Index(2008) http://www.korea plants.go.kr 

  18. Lee, K.S. and D.S. Cho(2000) The Effects of Microenvironmental Heterogeneit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erbaceous Species in a Temperate Hardwood Forest in Korea. Journal. Ecology 23(3): 255-266. (in Korean) 

  19. Lee, S.W.(1981) Studies on Forest in Korea(2). Journal Korea Forest Society 54:25-35. (in Korean) 

  20. McCune, B. and M.J. Mefford(2006)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5. 10. MjM Software, Gleneden Beach. Oregon. USA. 

  21. Meier, A.J., S.P. Bratton and D.C. Diffy(1995) Possible Ecological Mechanisms for Loss of Vernal-Herb Diversity in Logged Eastern Deciduous Forest. Ecological Applications 5(4): 935-946. 

  22. Min, B.M.(2003) Population's Limit of Corydalis(Sect. Pes-gallinaceua) Group Living in the Same Area. Korea. Journal. Ecology 26(4):173-180. (in Korean) 

  23.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68pp. 

  24. Primack, R.B.(2004) A primer of conservation biology(3rd ed.). Sinaurer Associates, Sunderland, U.S.A., 292pp. 

  25. Qiaoming, L., Z. Xu and T. He(2002) Ex situ genetic conservation of endangered Vatica guangxiensis (Dipterocarpaceae) in China. Biological Conservation 106(2): 151-156. 

  26. Reader, R.J. and B.D. Bricker(1992) Response of Five Deciduous Forest Herbs to Partial Canopy Removal and Patch Size. American Midland Naturalists 127(1): 149-157. 

  27. Song, J.M., G.Y. Lee and J.S. Yi(2009) Growth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Natural Habitat of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Journal of Forest Science 25(3): 187-194. (in Korean) 

  28. Thompson, J.N.(1980) Treefalls and Colonization Patterns of Temperate Forest Herbs. American Midland Naturalists 104(1): 176-184. 

  29. Titus, J.H.(1990) Microtopography and Woody Plant Regeneration in a Hardwood Floodplain Swamp in Florida. Bulletin of Torrey Botanical Club 117(4): 429-437. 

  30. Van Auken, O.W. and J.K. Bush(1991) Influence of Shade and Herbaceous Competition on the Seedling Growth of Two Woody Species. Madrona 38(3): 149-157. 

  31. Ware, S., P.L. Redfearn, Jr. G.L. Pyrah and W.R. Weber(1992) Soil pH Topography and Forest Vegetation in the Central Ozarks. American Midland Naturalists 128(1): 40-52. 

  32. Whittaker, R.H.(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ogical Monographs 26(1): 1-80. 

  33. Zak, D.R., P.M. Groffman, K.S. Pregitzer, S. Christensen and J.M. Tiedje(1990) The Vernal Dam: Plant-microbe Competition for Nitrogen in Northern Hardwood Forest. Ecology 71(2): 651-6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