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환경 기반형 관광.휴양목적지 시설물에 대한 방문객 공간인지도 분석 - 남이섬 관광지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Spatial Cognition of Visitors to Natural Environment-based Tourism.Resort Facilities - A Case Study of NAMI Island -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7 no.3, 2013년, pp.396 - 404  

최영석 (인천도시공사 관광사업본부)

초록

본 연구는 관광지 시설물에 대한 방문객의 공간인지도 분석을 통해 방문객의 공간인지도 향상을 위한 시설물 계획 및 관리적 측면의 개선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방문객의 시설물에 대한 공간인지도와 시설물 특성 및 방문객 특성 등의 공간인지도 영향요소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남이섬 관광지 방문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시설물 유형, 입지 등의 시설물 특성과 성별, 연령, 안내지도 사용 등의 방문객 특성이 방문객의 공간인지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이섬의 경우에는 식 음료시설에 대한 매력성, 상징성 강화 등의 재정비가 요구되며, 종반부 시설물에 대한 정보제공 시설의 추가설치 및 재배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지 시설물의 효율적인 계획과 관리를 위해 시설물 및 방문객 특성 등의 공간인지도 영향요소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반영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방문객의 공간인지도는 관광지의 공간적 성격과도 연관성이 있으며, 여성의 공간인지도 향상을 위해 시설물의 독특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지 시설물의 계획과 관리에 있어 관광지 정보제공 기능이 관광지의 공간구조의 복잡성과 관계없이 방문객의 공간인지도 향상을 위해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ethod to improve management aspect and facilities plan to enhance spatial cognition of visitors through visitors' analysis of spatial cognition regarding tourism destination facilities. The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y factors affecting spatial cog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남이섬 관광지 시설물에 대한 방문객의 공간인 지도 분석을 통해 관광지 시설물 계획 및 관리차원의 시사점과 남이섬 관광지 시설물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남이섬 관광지 시설물에 대한 방문객의 공간인지도는 3.
  •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남이섬 관광지를 사례지로 하여 방문객의 시설물에 대한 공간인지도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광지 방문객의 공간인지도 향상을 위한 시설물의 계획 및 관리 측면의 시사점과 남이섬 관광지 시설물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방문객의 시설물에 대한 공간인지와 시설물 특성 및 방문객 특성 등의 공간인지도 영향요소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남이섬 관광지 방문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 사전조사대상은 남이섬을 방문한 만 19세 이상의 내국인으로 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후 성실한 응답태도를 보인 응답자를 대상으로 설문문항 표현의 적절성에 대해 인터뷰를 실시하여 설문지를 재구성하였다. 특히, 사전조사 시 응답자에게 시설물에 대한 시각적 자료(사진, 명칭, 기능)를 제시하여 공간인지도 측정에 도움이 되는지 여부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응답자 대부분이 공간인지도 측정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을 주었으며, 일부 사진자료에 대한 의견을 반영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방문특성 분석을 위한 5개 문항과 공간인지도를 측정하기 위해 30개 시설물의 사진, 명칭, 기능을 제시한 문항으로 본조사를 위한 설문지를 확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광지에서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시설물 계획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관광지는 방문객의 다양한 욕구충족을 위해 차별화된 시설 및 서비스 제공이 요구되어지고 공간이다(Park and Han, 2008). 특히, 관광지에서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시설물 계획이 요구되어 지는데, 관광지 시설물은 그 배치에 따라 방문객의 공간이용 효율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Choi and Choi, 2012), 관광지 방문객은 개별 시설물에 대한 통합적인지구조에 따른 효용을 토대로 관광행동의 대안을 평가하기 때문이다(Louviere and Timmermans, 1990).
관광지란? 관광지는 방문객의 다양한 욕구충족을 위해 차별화된 시설 및 서비스 제공이 요구되어지고 공간이다(Park and Han, 2008). 특히, 관광지에서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시설물 계획이 요구되어 지는데, 관광지 시설물은 그 배치에 따라 방문객의 공간이용 효율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Choi and Choi, 2012), 관광지 방문객은 개별 시설물에 대한 통합적인지구조에 따른 효용을 토대로 관광행동의 대안을 평가하기 때문이다(Louviere and Timmermans, 1990).
남이섬은 언제부터 관광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는가? 남이섬은 1965년 수재 민병도가 섬을 매입하여 잣나무, 은행나무 등을 식재하기 시작하여 현재의 울창한 숲으로 변모하였으며, 1966년 경춘관광개발(주)가 설립되면서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다. 1977년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어 개발되었으나 1994년 지정이 취소되었고, 1993년 관광객 이용시설업으로 등록되어 관광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특히, 남이섬은 1990년대 쇠퇴과정을 경험하였고, 2002년 재창업선언과 함께 다양한 시설물 도입 및 미관정비 등의 활성화 노력을 진행한 결과 현재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관광지로 다시 도약하게 되었다(Kim,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ruce, P.(2002) Building Visitor Attractions in Peripheral Area: Can Uniquenness Overcome Isolation to Produce Via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Research 4: 379-389. 

  2. Byeon, J.S., S.B. Im and S.H. Joo(2007)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patial Distance and Cognitive Intensity of High-rise Building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3): 90-1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i, Y.S. and S.D. Choi(2012)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pological Characteristics Using Space Syntax and The Visitor's Spacial Cognition on Facility in Tourism Destination.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4(3): 379-4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ung, J.B. and H.K. Kim(2006)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University Campus Images between Korea and America Using Cognitive Maps.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51: 131-1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Debbage, K.(1991) Spatial Behavior in a Bahamian Resort. Annals of Tourism Research 18: 251-268. 

  6. Jang, E.K. and H.S. Park(2008) Tourist's Viewpoint Type for Tourist Destinations Using Q-Method.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2(6): 339-3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CTI(2009) Introduction of Residential Facilities for Activating a Tourist Resort Development, Seoul, Korea, 101pp. 

  8. Kim, C.G.(2000) The Research on Facilities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ourist Resort. Journal of Tourism Information 6: 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C.H., T.G. Ham, G.Y. Kim and M.S. Lee(1991) Analysis of Spatial Recognizability from Mental Map,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Photo-Geographers, 10: 21-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G.S. and Y.J. Ahn(2004) The Relationships of Cultural Tourism Attraction Attributes, Resources Interpretation and Tourist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19(1): 247-2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J.M.(2003) Destination Management Strategy Based on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Kor. J. Env. Eco. 17(3): 276-2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S.J.(2010) Tourism Destination Regeneration : The Case of Nami-sum(Island).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4(4): 183-2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rasick, K.(1991) Spatial cognition and behavior in young and elderly adults: Implications for learning new environments, Psychology and Aging 6(1): 10-18. 

  14. Ko, D.W. and S.Y. Boo(2001) An Exploration for Consumption Expenditures of Planned Festival Visitors.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2(2): 61-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J.K, K.H. Han and S.U. Lee(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t Resorts' Environment Information, Coginition, Tourists' Satisfaction as a Wayfinding Behavior.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 14(2): 133-1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K.H., H.Y. Moon and H.B. Kim(2002) Impacts of Destination Attributes and Spatial Deterrence Variables on Destination Choices,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17(2): 1-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ouviere, J.J. and H. Timmermans(1990) Using Hierarchical Information Integration to Model Consumer Responses to Possible Planning Actions : Recreation Destination Choice Illustration. Environment and Planning 22: 291-308. 

  18. Moon, S.M. and S.J. Moon(2006) The Study on the Spatial Cognition of Visitors in Gyungbok Palace.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18(4): 209-2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Moor, G.T. and R.G. Golledge(1976) Environmental Knowing: theories, research and methods. PA: Dowden, Hutchinson & Ross, Inc. 

  20. Newcombe, N. and J. Dubas(1992) A Longitudinal study of predictors of spatial ability in adolescent females, Child Development 63: 36-46. 

  21. Park, S.H. and B.S. Han(2008) Analysis of Difference in Visual Preference on Hardware Surroundings in Tourist Destination by Using Visual Simulation Technique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2(3): 187-207. 

  22. Ryu, S.Y. and T.H. Kim(2011) Differences of Tourist Motivation and Destination Preference by MBTI Personality Type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5(6): 229-2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Walmsley, D.J. and J.M. Jenkins(1992) Tourism Cognitive Mapping of Unfamiliar Environments, Annals of Tourism Research, 19: 268-286. 

  24. Yang, S.J., Y.S. Kim and Y.H. Park(2006) A Study on the Dispositi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sition Elements in Traditional Korea Villages.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2(4): 169-1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Yoo, C.G., W.H. Yang and Y.J. Cho(1999) A Study on the Cognition Structure of University Campuses,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5(1): 59-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Yoo, K.M. and N.J. Kim(2009)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Strategies Using Space Syntax.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3(6): 659-6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Yoo, K.M.(2010) Approach of Critical Realism on Location Determinant Structure of Resort. Ph.. D. thesis, Univ. of Hanyang, Seoul, Korea, 246pp.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