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임 여성의 삶의 질 모형 구축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3, 2013년, pp.312 - 320  

김주희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신혜숙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 model for quality of life among infertile women. This model was based primarily on the concept of the Fertility Quality of Life by Boivin et al. (2011) and the Infertility Resilience Model by Rindenour (2009). Methods: Fifteen measurable variable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불임여성의 불임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경로를 파악하여 불임여성의 삶의 질모형을 구축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불임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요인들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와 문헌 고찰을 토대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모형의 적합성과 가설을 검증하는 공변량 구조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불임여성의 삶의 질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한 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Boivin등(2011)의 불임관련 삶의 질 개념과 Rindenour 등(2009)의 불임 극복력 모델을 토대로 불임스트레스, 부부적응, 가족지지가 우울과 극복력을 거쳐 삶의 질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적 모형을구축하고, 수집된 자료와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불임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파악하고, 삶의 질에 관한 모형을 구축하여 검증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불임여성의 개인적 측면인 불임스트레스,극복력, 우울과 관계적 요인인 부부적응, 가족지지를 중심으로 삶의 질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함으로써 불임여성의 삶의 질을 설명하고, 나아가 불임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 세계적으로 불임부부의 비율은 어떠한가? 전 세계적으로 불임부부는 전체부부의 약 10-15%로 추정되며, WHO에서는 불임부부를 전체 부부의 8-12%정도로 보고하고 있다(Chachamovich, Chachamovich, Zachia, Knauth, & Passos, 2007; Monga, Alexandrescu, Katz, Stein, & Ganiats, 2004). 우리나라의 불임부부도 전체부부의 10-15%정도이며, 불임부부는 초산연령의 증가,무분별한 성생활과 잦은 유산, 환경오염 등이 원인이 되어 계속 증가될 것으로전망된다(Kim,Kim,Cho,Kim,&Lim, 2009)
불임여성은 어떠한 문제를 경험하는가? 일반적으로 불임여성은 우울, 슬픔, 죄책감, 부끄러움 등을 경험하며(Onat&Beji, 2012;Park, 1995),아이를 갖지 못하는 스트레스로 인해 부부관계도 소홀해지고(Monga et al., 2004; Onat & Beji; Valsangkar, Bodhare, Bele,&Sai, 2011),가족 간에 단절이 생기며 나아가 사회적 고립감도 경험한다고 알려져 있다(Onat&Beji;Valsangkaret al.).
Rindenour 등(2009)의 불임 극복력 모델을 토대로 불임스트레스, 부부적응, 가족지지가 우울과 극복력을 거쳐 삶의 질의 질에 영향에 대핸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분석 결과,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우울, 불임스트레스, 부부적응, 극복력, 가족지지 이었고, 극복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변수는 가족지지, 우울, 불임스트레스 였으며,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변수는 불임스트레스와 부부적응, 가족지지로 확인되었다. 즉, 우울정도와 불임스트레스가 작을수록, 부부적응,  극복력, 가족지지가 클수록 불임여성의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arts, J. W., van Empel, I. W., Boivin, J., Nelen, W. L., Kremer, J. A., & Verhaak, C. M. (2011).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distress in infertility: A validation study of the Dutch FertiQoL. Human Reproduction, 26(5), 1112-1118. http://dx.doi.org/10.1093/humrep/der051 

  2. Beck, A. T.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NY: Hoeber. 

  3. Boivin, J., Takefman, J., & Braverman, A. (2011). The fertility quality of life (FertiQoL) tool: Development and general psychometric properties. Human Reproduction, 26(8), 2084-2091. http://dx.doi.org/10.1093/humrep/der171 

  4. Chachamovich, J. L., Chachamovich, E., Ezer, H., Cordova, F. P., Fleck, M. M., Knauth, D. R., et al. (2010). Psychological distress as predictor of quality of life in men experiencing infertility: A cross-sectional survey. Reproductive Health, 7, 3. http://dx.doi.org/10.1186/1742-4755-7-3 

  5. Chachamovich, J. R., Chachamovich, E., Zachia, S., Knauth, D., & Passos, E. P. (2007). What variables predict generic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 sample of Brazilian women experiencing infertility? Human Reproduction, 22(7), 1946-1952. http://dx.doi.org/10.1093/humrep/dem080 

  6. Choi, S. I. (2004).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vised Dyadic Adjustment Scale. Gho Hwang Non Jib, Kyung Hee Graduate School, 35, 97-114. 

  7.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8. Domar, A. D., Zuttermeister, P. C., & Friedman, R. (1993). The psychological impact of infertility: A comparison with patients with other medical conditions.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and Gynaecology, 14(Suppl), 45-52. 

  9. Gameiro, S., Moura-Ramos, M., Canavarro, M. C., Santos, T. A., & Dattilio, F. M. (2011). Congruence of the marital relationship during transition to parenthood: A study with couples who conceived spontaneously or through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Contemporary Family Therapy, 33(2), 91-106. 

  10. Gourounti, K., Anagnostopoulos, F., & Vaslamatzis, G. (2011). Psychometric properties and factor structure of the fertility problem inventory in a sample of infertile women undergoing fertility treatment. Midwifery, 27(5), 660-667. http://dx.doi.org/10.1016/j.midw.2010.02.007 

  11. Hair, J. F., Black, B., Babin, B.,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12. Herrmann, D., Scherg, H., Verres, R., von Hagens, C., Strowitzki, T., & Wischmann, T. (2011). Resilience in infertile couples acts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infertility-specific distress and impair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Assisted Reproduction and Genetics, 28(11), 1111-1117. http://dx.doi.org/10.1007/s10815-011-9637-2 

  13. Kim, H. S., & So, H. S. (2009). A prediction model development on quality of life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 39(4), 518-527. http://dx.doi.org/10.4040/jkan.2009.39.4.518 

  14. Kim, S. K., Kim, Y. K., Cho, A. J., Kim, H. R., & Lim, S. E. (2009). The 2009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in Korea (KIHASA Report 2009-33).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5. Lee, Y. H., & Song, J. Y. (1991).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1), 98-113. 

  16. Lim, S. J., Oh, S. S., & Han, G. S. (2009). Predictors of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foreign wives through marriage migratio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4(4), 515-528. 

  17. Mahajan, N. N., Turnbull, D. A., Davies, M. J., Jindal, U. N., Briggs, N. E., & Taplin, J. E. (2009). Adjustment to infertility: The role of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resources/vulnerabilities. Human Reproduction, 24(4), 906-912. http://dx.doi.org/10.1093/humrep/den462 

  18. Matthiesen, S. M., Frederiksen, Y., Ingerslev, H. J., & Zachariae, R. (2011). Stress, distress and outcome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A meta-analysis. Human Reproduction, 26(10), 2763-2776. http://dx.doi.org/10.1093/humrep/der246 

  19. Min, S. W., Kim, Y. H., & Cho, Y. R. (2008). Stress, depression and factors influencing on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2(1), 19-32. 

  20. Monga, M., Alexandrescu, B., Katz, S. E., Stein, M., & Ganiats, T. (2004). Impact of infertility on quality of life, marital adjustment, and sexual function. Urology, 63(1), 126-130. 

  21. Newton, C. R., Sherrard, W., & Glavac, I. (1999). The fertility problem inventory: Measuring perceived infertility-related stress. Fertility and Sterility, 72(1), 54-62. 

  22. Onat, G., & Beji, N. K. (2012). Marital relationship and quality of life among couples with infertility. Sexuality and Disability, 30(1), 39-52. 

  23. Park, Y. J. (1995). The stress of the infertile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2), 209-221. 

  24. Peterson, B. D., Newton, C. R., & Rosen, K. H. (2003). Examining congruence between partners' perceived infertility-related stress and its relationship to marital adjustment and depression in infertile couples. Family Process, 42(1), 59-70. 

  25. Ridenour, A. F., Yorgason, J. B., & Peterson, B. (2009). The infertility resilience model: Assessing individual, couple, and external predictive factors. Contemporary Family Therapy, 31(1), 34-51. 

  26. Shin, Y. H., Sim, M. K., & Kim, T. I. (2006). Resilienc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2(3), 295-303. 

  27. Spanier, G. B. (1976). Measuring dyadic adjustment: New scale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38(1), 15-28. 

  28. Suh, M. J. (1989). The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state of adaptation of the hamiplegic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9. Valsangkar, S., Bodhare, T., Bele, S., & Sai, S. (2011). An evaluation of the effect of infertility on marital, sexual satisfaction indic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Journal of Human Reproductive Sciences, 4(2), 80-85. http://dx.doi.org/10.4103/0974-1208.86088 

  30. Wagnild, G. M., & Young, H. M. (1993).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2), 165-178. 

  31. Woo, J. P. (2012).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Seoul: Hannarae Publish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