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임 여성들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 대한 인식
Infertile Women's Perception on the National Support Program for Infertile Couple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1 no.3, 2015년, pp.171 - 183  

한수경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강희선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infertile women on the use of the national support program that provides medical expense aid to infertile couples. Methods: Thirty Korean infertile women participated in five focus groups.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August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0년 난임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최근 한국의 난임 부부는 꾸준히 증가하여 난임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2006년에 약 15만 명이었으나 2010년에는 24% 증가한 18만 4천명이었고 이에 따른 난임 진료비도 상승하여 2006년 143억 원에서 2010년 203억 원으로 42%나 증가하였다[1]. 난임과 관련된 진료비가 급증한 것은 난임 가구가 늘어났을 뿐 아니라 난관 촬영과 호르몬 검사 등 일부 검사에만 건강보험이 적용되고 인공수정이나 체외수정 등의 보조생식술(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은 건강 보험에서 제외되고 있기 때문이다[2].
도입 당시 난임 지원사업의 자격요건은? 한국 정부의 난임 지원사업은 보조생식술이 필요한 일정 소득계층 이하의 난임 부부에게 시술비의 일부를 지원하는 정책으로 2006년에 시작되었다. 도입 당시에는 ‘불임부부 지원사업’이라는 명칭으로 가계소득이 도시근로자가구 기준 월 평균소득의 130% 이하이고 여성이 만 44세 이하인 부부를 대상으로 체외수정에 한하여 회당 150만원씩 3회까지 지원하였다. 2010년에는 지원대상의 가계소득 기준을 150%로 상향하고, 인공수정을 하는 경우에도 50만원씩 3회까지 보조했다.
난임과 관련된 진료비가 급증한 이유는? 최근 한국의 난임 부부는 꾸준히 증가하여 난임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2006년에 약 15만 명이었으나 2010년에는 24% 증가한 18만 4천명이었고 이에 따른 난임 진료비도 상승하여 2006년 143억 원에서 2010년 203억 원으로 42%나 증가하였다[1]. 난임과 관련된 진료비가 급증한 것은 난임 가구가 늘어났을 뿐 아니라 난관 촬영과 호르몬 검사 등 일부 검사에만 건강보험이 적용되고 인공수정이나 체외수정 등의 보조생식술(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은 건강 보험에서 제외되고 있기 때문이다[2]. 이로 인해 난임 여성들은 치료 과정에서 경제적 부담이 커지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이 시행되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Press release for increase in infertile couples [Internet].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5 [cited 2011 October 18].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1000000&cmsurl/cms/notice/02/1208237_24959 

  2. Hwang NM.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economic burden and demands of infertile women. Health.Welfare Issue & Focus. 2011:74;1-8. 

  3. Seo K. Reproductive health.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2009;52(4):387-390. 

  4.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Public funding for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for infertile couples [Internet]. Seoul: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2015 [cited 2015 January 20]. Available from: http://www.korea.go.kr/service/serviceInfoView.do?svcSeq9054&rnum9&searchType0&ctyCode060000&Mcode1107 

  5. Lim J, Lee JH. Direction and support level of the fertility welfare policy in South Korea. Journal of Population Ageing. 2014;7(2):115-141. 

  6. Berg Brigham K, Cadier B, Chevreul K. The diversity of regulation and public financing of IVF in Europe and its impact on utilization. Human Reproduction. 2013;28(3):666-675. 

  7. Dunn AL, Stafinski T, Menon D. An international survey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ARTs) policies and the effects of these policies on costs, utilization, and health outcomes. Health Policy. 2014;116(2-3):238-263. 

  8. Cook JL, Collins J, Buckett W, Racowsky C, Hughes E, Jarvi K.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related multiple births: Canada in an international context. Journal of Obstetrics Gynaecology Canada. 2011;33(2):159-167. 

  9. Cabello Y, Gomez-Palomares JL, Castilla JA, Hernandez J, Marqueta J, Pareja A, et al. Impact of the Spanish fertility society guidelines on the number of embryos to transfer. Reproductive Biomedicine Online. 2010;21(5):667-675. 

  10. Chambers GM, Illingworth PJ, Sullivan EA.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Public funding and the voluntary shift to single embryo transfer in Australia.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2011;195(10):594-598. 

  11. Tulandi T, King L, Zelkowitz P. Public funding of and access to in vitro fertilization.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3;368(20):1948-1949. 

  12. Yoo GS. The effects of fertility policies on childbirth in 2007. Journal of Family Relations. 2009;14(1):169-189. 

  13. Hwang NM, Hwang JH, Kim JE. Evaluation of the national supporting program for infertility couples and future policy directions in Korea.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0. 

  14. Hwang JH, Min EG. Public funding for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Korean 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2009; 36(4):237-247. 

  15. Kim GR. The evaluation and prospect of infertile couple support policy- Focused on women's rights to child-birth and rights to health. Journal of Regional Studies. 2012;20(2):181-200. 

  16. Hwang NM, Shin HW, Jang IS, Park JS, Kim HN. Reimbursement system of intrauterine insemination treatment and future policy directions in Korea.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17. Ha JO. Reproductive rights: Placing the concept in a historical and political context. Health and Social Science. 2013;34:183-210. 

  18. Kang HS, Kim MJ. Experiences of infertile women in unsuccessful In Vitro Fertilization (IVF).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4;10(2):119-127. 

  19. Kim Y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adoption experience of infertile women [dissertation]. Seoul: Kukje Theological University and Seminary; 2011. 

  20. Lee YJ. An ethnography on infertile women's grief in Korea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8. 

  21. Lee YJ, Kim KB. Lived experience of IVF-ET program.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9;15(1):43-53. 

  22. Han HS. A study on Korean women infertility experiencing: Ground theory approach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2. 

  23. Kang HS, Son YD. Experience of Korean pregnant women for the use of medical expense aid service (KoEnMom Card). Journal of Korean Society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1;15(2): 175-185. 

  24. Sandelowski M. Whatever happened to qualitative description?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0;23(4):334-340. 

  25. Krueger RA, Casey MA.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09. 

  26. Lincolon YS, Guba EG.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1985. 

  27. Maeda E, Ishihara O, Saito H, Kuwahara A, Toyokawa S, Kobayashi Y. Age-specific cost and public funding of a live birth following assisted reproductive treatment in Jap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Research. 2014;40(5):1338-1344. 

  28. Dolan P, Rudisill C. Babies in waiting: Why increasing the IVF age cut-off might lead to fewer wanted pregnancies in the presence of procrastination. Health Policy. 2015;119(2):174-179. 

  29. Hodgetts K, Hiller JE, Street JM, Carter D, Braunack-Mayer AJ, Watt AM, et al. Disinvestment policy and the public funding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Outcomes of deliberative engagements with three key stakeholder groups.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14;14:204. 

  30. Seo IP. Extension of public funding for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for infertile couples in Yang Pyoung. KyeongIn Newspaper. 2014 August 19; Sect. 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