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저체온 관리를 위한 ASPAN의 근거기반 임상실무 가이드라인 적용 효과
Effects of ASPAN's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Promotion of Hypothermia of Patients with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3, 2013년, pp.352 - 360  

유제복 (삼성서울병원 회복실) ,  박현주 (삼성서울병원 회복실) ,  채지연 (삼성서울병원 회복실) ,  이은주 (삼성서울병원 회복실) ,  신유정 (삼성서울병원 수술실) ,  고저스틴상욱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과) ,  김남초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an examination was done of the effects of the American Society of PeriAnesthesia Nurses (ASPAN)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n body temperature, shivering, thermal discomfort, and time to achieve normothermia in patients undergoing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SPAN에서 제시한 근거기반 임상실무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실험군과 연구 대상병원의 일상적인 저체온 관리 방법을 제공한 대조군 간의 수술 전·중·후 기간 동안에 나타나는 변화를 비교하여 ASPAN의 가이드라인이 국내 의료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지를 검증함으로써 추후 환자의 저 체온관리를 위한 지침을 도모코자 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 실무 면에서 수술 전·중·후 기간 동안 간호사에 의해 주도되는 수술환자 저체온 관리를 위해 ASPAN에서 제시한 근거기반 임상실무 가이드라인이 척수마취 하에 시행되는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는 노인환자의 저체온 관리에 효과적임을 검증하여 국내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열어 두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본 연구는 수술환자 저체온 관리를 위해 ASPAN에서 제시한 근거기반 임상실무 가이드라인을 서울 소재 1개 상급 S종합병원에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는 환자에게 적용하여 수술 기간 동안 체온, 전율, 온도 불편감, 정상 체온 도달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설계의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척수마취 하에서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는 환자에게 수술 전 과정동안 ASPAN에서 제시한 근거기반 임상실무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체온, 전율, 온도 불편감, 정상 체온 도달 시간에 대한 평가를 하여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저체온 관리방안을 검증하고자 한 무작위 대조군 설계의 실험연구이다. 연구 결과 ASPAN의 가이드라인은 기존의 일상적인 저체온 관리 방법에 비해 수술과정 중 비교적 체온유지를 잘하며, 온도불편감이 낮고, 저체온 상태에서 정상체온으로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는 수술 전·중·후 시기별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극적 혹은 소극적인 중재를 제공하는 미국회복마취간호사회에서 제시한 “ASPAN's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Promotion of Perioperative Normothermia: 2nd Edition”을 이용하여(Hooperet al., 2010) 부위마취 하에서 실시하는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저체온 관리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onzalez (1987)의 저체온 치료 알고리즘의 문제점은? Gonzalez (1987)의 저체온 치료 알고리즘은 34℃ 미만의 극심한 저체온 관리에서부터 분류되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보통 회복실에 입실하는 환자의 경우 34℃ 미만의 극심한 저체온 환자는 거의 없으므로 이 가이드라인은 우리 실정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NCCNSC (2008)의 가이드라인에는 수술 전 체온이 36℃ 미만인 경우 걸어 다닐 것을 권유하며, 수술 중에 강제 가온법을 적용하므로 이 역시 우리의 현실에서 적용하기가 어렵다.
수술 중 발생하는 저체온증은 무엇을 발생시킬 수 있는가? 수술환자의 50-90% 정도는 마취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수술 중 저체온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Cooper, 2006), 수술 중의 체온저하는 주로 심부에서 말초로의 열의 재 분포에 따라 발생하며, 이는 마취 시작 후 1시간 동안 급속히 진행된다(Kiekkas & Karga, 2005). 수술 중 발생하는 저체온증은 그 정도가 경미하더라도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며 이러한 합병증의 유발은 수술 후 회복지연과 회복실에서의 퇴실연장, 중환자실 이용, 재원기간이 연장되거나 약물 또는 혈액을 부가적으로 사용하여 추가비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Nam, Kwon, Kim, Kim, & Son, 2005). 또한, 저체온증은 수술 중에는 실혈량을 증가시키고 마취회복기에는 산소예비력이 제한되어 심장에 심각한 부담을 준다(Jung & Kim,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i, K. H. (2007).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warming methods on body temperature change, shivering, and post-anesthesia recovery in a recovery room. Unpublshed master's thesis, Dongeui University, Busan. 

  2.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 scienc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3. Collins, V. J. (1996). Temperature regulation and heat problem. In V. J. Collins (Ed.), Physiologic and pharmacologic bases of anesthesia (pp. 316-339). Baltimore, NJ: Williams & Wilkins. 

  4. Cooper, S. (2006). Home study program: The effect of preoperative warming on patients' postoperative temperatures. Association of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83(5), 1073-1084, 1079-1084. 

  5. Frank, S. M., Raja, S. N., Bulcao, C., & Goldstein, D. S. (2000). Age-related thermoregulatory differences during core cooling in humans.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Regulatory, Integrative and Comparative Physiology, 279(1), R349-R354. 

  6. Gonzalez, E. R. (1987).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ac care. Clinical Pharmacy, 6(2), 165-166. 

  7. Hooper, V. D., Chard, R., Clifford, T., Fetzer, S., Fossum, S., Godden, B., et al. (2010). ASPAN's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promotion of perioperative normothermia: Second edition. Journal of Perianesthesia Nursing, 25(6), 346-365. http://dx.doi.org/10.1016/j.jopan.2010.10.006 

  8. Jung, H. M., & Kim, M. H. (2000). Effects of a warmed blanket for the relieving of cold discomfort after cesarean se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7(1), 16-29. 

  9. Kiekkas, P., & Karga, M. (2005). Prewarming: Preventing intraoperative hypothermia. British Journal of Perioperative Nursing, 15(10), 444, 446-447, 449-451. 

  10. Kim, J. O., Chung, Y., & Park, Y. J. (2008). The effects of warming methods on the anxiety and cold discomfort of patients undergoing operation under spinal anesthesia.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33(2), 96-109. 

  11. Kim, Y. J. (2011). The effect of intraoperative warming on body temperature, shivering, perceived thermal discomfort among patients with spinal surgery. Unpul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12. Leeth, D., Mamaril, M., Oman, K. S., & Krumbach, B. (2010). Normothermia and patient comfort: A comparative study in an outpatient surgery setting. Journal of Perianesthesia Nursing, 25(3), 146-151. http://dx.doi.org/10.1016/j.jopan.2010.03.010 

  13. Min, S. H. (2001). Effects of intraoperative warming and anesthetic type on temperature, thermal-discomfort and shivering in the surgical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4. Nam, S. W., Kwon, S. B., Kim, S. K., Kim, J. S., & Son, S. C. (2005). Effects of low dose propofol on core and peripheral temperatures during spinal anesthesia.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9(1), 53-58. 

  15.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Nursing and Supportive Care (UK). (2008, April). The management of inadvertent perioperative hypothermia in adults (NICE Clinical Guidelines, No. 65). London: Royal College of Nursing (UK). 

  16.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2). 2011 statistics on major surgeries. Retrieved December 2, 2012, from http://www.nhic.or.kr/portal/site/main/MENU_WBDDG0207/ 

  17. Ng, S. F., Oo, C. S., Loh, K. H., Lim, P. Y., Chan, Y. H., & Ong, B. C. (2003). A comparative study of three warming interventions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in maintaining perioperative normothermia. Anesthesia and Analgesia, 96(1), 171-176. 

  18. Ohtsuka, N., Yamakage, M., Chen, X., Kamada, Y., & Namiki, A. (2002). Evaluation of four techniques of warming intravenous fluids. Journal of Anesthesia, 16(2), 145-149. http://dx.doi.org/10.1007/s005400200010 

  19. Pacific Books. (2012) Pacific'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Seoul: Author. 

  20. Park, O. B., & Choi, H. (2010). The effect of pre-warming for patients under abdominal surgery on body temperature, anxiety, pain, and thermal comfor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3), 317-325. http://dx.doi.org/10.4040/jkan.2010.40.3.317 

  21. Pikus, E., & Hooper, V. D. (2010). Postoperative rewarming: Are there alternatives to warm hospital blankets. Journal of Perianesthesia Nursing, 25(1), 11-23. http://dx.doi.org/10.1016/j.jopan.2009.12.004 

  22. Putzu, M., Casati, A., Berti, M., Pagliarini, G., & Fanelli, G. (2007). Clinical complications,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perioperative mild hypothermia: Anesthesiological features. Acta Bio-Medica: Atenei Parmensis, 78(3), 163-169. 

  23. Ryu, J. H. (2007). Effect of warming intravenous fluids to prevent hypothermia during surgical operation. Unpubl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4. Sessler, D. I. (2000). Perioperative heat balance. Anesthesiology, 92(2), 578-5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