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거 기반 간호 실무지침 수용개작: 습기 관련 피부 손상의 예방과 관리
Adaptation of the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oisture Associated Skin Damage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4 no.3, 2018년, pp.263 - 272  

백규원 (삼성서울병원 간호파트) ,  박주희 (삼성서울병원 상처장루실금) ,  김민경 (삼성서울병원 상처장루실금) ,  김경선 (삼성서울병원 간호파트) ,  전경옥 (삼성서울병원 간호파트) ,  박수현 (삼성서울병원 간호파트) ,  양원지 (삼성서울병원 간호파트) ,  황지원 (삼성서울병원 간호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n evidence-based nursing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Moisture associated skin damage (MASD) prevention and management for patients in Korea. Methods: The guideline adaptation process was used and conduc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 adaptation manual dev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습기 관련 피부 손상의 최신 지견이 포함된 양질의 국내외 근거 기반 욕창 관리 실무지침을 선정하고, 수용개작의 방법으로 국내 의료기관에서 사용할 습기 관련 피부 손상간호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근거 기반 간호실무지침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에서 필요한 습기 관련 피부 손상의 예방과 중재를 위하여, 국내외의 양질의 욕창 예방 간호지침을 간호 분야 실무지침 수용개작 방법론[8]에 따라 국내 실정에 맞게 수용개작하여 국내 의료기관에서 사용할 간호실무지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국내외 욕창 예방 간호 실무지침을 수용개작하여 환자들의 습기 관련 피부손상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실무 지침을 마련하는 것은 임상에서 매우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이다. 이에 근거 기반 습기 관련 피부손상 간호실무지침을 개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들이 습기 관련 피부손상을 압력에 의한 욕창과 구별하여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권고안을 제시하고, 각 권고안에 습기 관련 피부손상과 욕창 구별에 도움이 되는 배경 지식을 포함시켜 간호실무지침화 함으로써 간호사들이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 이와 같이 습기 관련 피부 손상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욕창과는 다른 중재를 적용해야 하지만, 독립된 습기 관련 피부 손상 간호실무지침이 없기 때문에 효과적인 예방과 교육 및 간호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용개작이라는 체계적 접근법을 통해 근거 기반 습기 관련 피부손상 간호 실무지침을 개발하였다.
  • 즉, 지침의 대상자는 의료기관에 입원 중이면서 습기 관련 피부손상이 있거나 발생이 예측되는 환자로, 지침의 사용자는 의료기관 근무 간호사로 정하였다. 지침의 목적은 의료기관 근무 간호사가 근거 기반 의사결정과 표준화된 실무를 수행하여 습기 관련 피부 손상을 최소화하고, 실무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가설 설정

  • MASD를 예방하고 악화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피부를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 2. MASD를 예방하고 악화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실금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 3. MASD와 관련된 통증은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 간호사 교육(1. MASD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간호사에게 어떠한 교육을 해야 하는가?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습기의 원인은 무엇인가? 인구의 노령화로 만성질환자 비율이 높아지면서 장기입원 환자의 실금 발생률이 50%를 초과하였고,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36%에서 4일 이내에 발생된 것으로 보고된 습기 관련 피 부 손상은 회음부 피부염, 기저귀 발진, 실금 관련 피부염과 같이 습기로 인한 피부손상을 말하며, 습기는 땀이나 상처 배액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변실금과 요실금이 가장 일반적인 원인이다[1]. 습기 관련 피부손상에서는 짓무름이나 2차 피부 감염에 관계없이 염증이 발생하므로[2], 최적의 피부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습기 관련 피부손상임을 인지하여 중재하는 것이 중요하다[3].
습기로 손상된 피부에 대한 효과 적인 간호가 이루어지기 힘든 이유는? 습기로 손상된 피부는 욕창으로 쉽게 진행되므로[5], 대부분의 욕창 관리지침에는 피부 간호에 대한 권고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욕창 관리지침에는 실금 간호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습기로 손상된 피부에 대한 효과 적인 간호가 이루어지기 어렵다[6].
습기 관련 피부손상으로는 무엇이 발생하나? 인구의 노령화로 만성질환자 비율이 높아지면서 장기입원 환자의 실금 발생률이 50%를 초과하였고,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36%에서 4일 이내에 발생된 것으로 보고된 습기 관련 피 부 손상은 회음부 피부염, 기저귀 발진, 실금 관련 피부염과 같이 습기로 인한 피부손상을 말하며, 습기는 땀이나 상처 배액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변실금과 요실금이 가장 일반적인 원인이다[1]. 습기 관련 피부손상에서는 짓무름이나 2차 피부 감염에 관계없이 염증이 발생하므로[2], 최적의 피부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습기 관련 피부손상임을 인지하여 중재하는 것이 중요하다[3]. 그러나 습기 관련 피부 손상에서 자주 발생하는 실금 관련 피부염은 욕창 1, 2단계와 자주 혼동되어 별도의 독립된 질환으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Zulkowski K. Diagnosing and treating moisture-associated skin damage. Advances in Skin & Wound care. 2012;25(5):231-236. https://doi.org/10.1097/01.ASW.0000414707.33267.92 

  2. Gray M, Black JM, Baharestani MM, Bliss DZ, Colwell JC, Goldberg M, et al. Moisture-associated skin damage: Overview and pathophysiology.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2011;38(3):233-241. https://doi.org/10.1097/WON.0b013e318215f798 

  3. Colwell JC, Ratliff CR, Goldberg M, Baharestani MM, Bliss DZ, Gray M, et al. MASD part 3: Peristomal moisture-associated dermatitis and periwound moisture-associated dermatitis: A consensus.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2011;38(5):541-553. https://doi.org/10.1097/won.0b013e31822acd95 

  4. Bergstrom N, Horn SD, Smout RJ, Bender SA, Ferguson ML, Taler G, et al. The national pressure ulcer long-term care study: Outcomes of pressure ulcer treatments in long-term car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5;53(10):1721-1729. https://doi.org/10.1111/j.1532-5415.2005.53506.x 

  5. Bliss DZ, Savik K, Harms S, Fan Q, Wyman JF.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perineal dermatitis in nursing home residents. Nursing Research. 2006;55(4):243-251. 

  6. Park KH. Adapt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incontinence care protocol [dissertation]. Seoul: Konkuk University; 2014. p. 1-126. 

  7. Armstrong DG, Ayello EA, Capitulo KL, Fowler E, Krasner DL, Levine JM, et al. New opportunities to improve pressure ulcer prevention and treatment: Implications of the CMS inpatient hospital care present on admission indicators/hospitalacquired conditions policy: A consensus paper from the International Expert Wound Care Advisory Panel. Advances in Skin & Wound Care. 2008;21(10):469-478. https://doi.org/10.1097/01.asw.0000323562.52261.40 

  8. Gu MO, Cho YA, Cho MS, Eun Y, Jeong JS, Jung IS, et al. Adaptation of intravenous infusion nursing practice guidelin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3;19(1):128-142. 

  9. Jeong IS, Kim S, Jeong JS, Hong EY, Lim EY, Seo HJ, et al. Development of pressure ulcer management guideline by adaptation proces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4;20(1):40-52. 

  10.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European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Pan Pacific Pressure Injury Allianc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ressure ulcer: Clinical practice guideline. Perth: Cambridge Media; 2014. 

  11.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es Society. Guideline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Injuries). Mount Laurel, NJ: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es Society; 2016. 

  12. Kim SY, Kim NS, Shin SS, Ji SM, Lee SJ, Kim SH, et al. Manual for guideline adaptation (ver 2.0).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 

  13. The AGREE Next Steps Consortium. Appraisal of guidelines for research and evaluation II. The AGREE Research Trust; 2013. 

  14. Kim NS, Kim SY, Park HA, Shin SS, Lee HY, Ji SM, et al. Tool for assessment of adapted guidelines (TADD). Basic research. Seoul: National Strategic Coordinating Center for Clinical Research; 2012. Report NO.: 2012-01. 

  15. Institute for Clinical Systems Improvement. Health care protocol: Pressure ulcer prevention and treatment protocol. 3rd ed. Bloomington, MN: Institute for Clinical Systems Improvement; 2012. 

  16.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Wound Care.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Wound Care (AAWC) Pressure ulcer guideline [Internet]. Malvern (PA):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Wound Care; 2010. [cited 2018 August 1]. Available from: http://www.aawconline.org. 

  17. British Columbia Provincial Nursing Skin & Wound Committee. Guideline: Assessment,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oisture-associated skin damage (MASD) in adults & children [Internet]. Vancouver: British Columbia Provincial Nursing Skin & Wound Care Committee; 2017 [cited 2017 february 1]. Available from: https://www.clwk.ca/buddydrive/file/guideline-masd-2017-february/. 

  18. Mermel LA, Allon M, Bouza E, Craven DE, Flynn P, O'Grady NP,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intravascular catheter-related infection: 2009 Update by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2009;49(1):1-45. https://doi.org/10.1086/599376 

  19. Fitch K, Bernstein SJ, Aguilar MD, Burnand B, LaCalle JR, Lazaro P, et al. The RAND/UCLA appropriateness method user's manual.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 2001. 

  20. Choi BR. RAM (RAND/UCLA Appropriateness Method) applied to decision making method. HIRA Policy Trends. 2010; 4(1):58-62.18. 

  21. Black JM, Gray M, Bliss DZ, Kennedy-Evans KL, Logan S, Baharestani MM, et al. MASD part 2: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and intertriginous dermatitis: A consensus.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2011:38(4):359-370. https://doi.org/10.1097/won.0b013e31822272d9 

  22. Defloor T, Schoonhoven L, Katrien V, Weststrate J, Myny D. Reliability of the European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classification system.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6;54(2):189-19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