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저널 관리 현황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f Current Issues and Recommendations for E-Journal Management: Focus on Academic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4 no.2, 2013년, pp.247 - 268  

이란주 (동덕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전자저널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과제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전자저널의 효율적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도서관 웹사이트를 분석하였으며 도서관 사서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종이용자가 전자저널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전자저널 관리업무를 포괄적으로 다루었다. 주요 논의는 1) 이용행태, 2) 선정, 구독 및 평가, 3) 접근과 검색, 4) 이용자교육 및 홍보, 5) 아카이브, 6) 오픈액세스, 7) 장서개발정책 등으로 구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e-journals in academic libraries. Existing literatures were reviewed, web sites were examined,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librarians were conducted. This study comprehensively discussed various aspects of e-journ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자저널은 언제부터 개발되기 시작했는가? 전자저널은 1970년대 전자출판이 전자사식을 채용하였을 때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연결시킨 전자저널은 인터넷의 보급 등 정보통신 환경의 변화와 함께 본격적으로 발전하여 왔다.
웹브라우저의 다양한 개발은 전자저널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1990년대 초부터 시작된 인터넷 기술의 발전이 전자저널의 배포와 이용에 큰 역할을 하였다. 특히 웹브라우저의 다양한 개발은 인터넷상의 정보배포형식에 변화를 주었으며 웹을 이용하여 출판사들은 기존의 전자저널이나 새로운 웹 버전의 전자저널을 활발히 제작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전자저널의 이용률 증가로 어떤 변화가 가속화 되었는가? 전자저널은 물론 단점을 지니고 있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접근성과 편리성이 전자저널의 이용률 증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방대한 전자저널 수의 증가와 이러한 정보를 확인하고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도구들이 개발되고 특히 대학도서관의 경우 교외접속과 관련된 신기술들이 이용률을 가속화 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강은영, 장덕현. 2010. 오픈액세스 저널 평가범주 개발동향에 관한 연구. , 44(1): 243-265. 

  2. 강정원. 2010. .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3. 곽병일. 2010. . 석사학 위논문. 성균관대학교. 

  4. 곽승진, 신재민. 2008. 오픈액세스 리포지터리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 39(4): 67-96. 

  5. 김미혜, 이창수. 2013. 대학도서관의 OPAC 유용성이 이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24(1): 5-24. 

  6. 김상준, 김정환. 2011. 전자저널 빅딜 계약의 연구 동향과 대안 탐색. , 42(1): 85-111. 

  7. 김성진. 2010. 전자저널 관리를 위한 이용통계의 효과적 활용 방안. , 41(4): 69-91. 

  8. 김혜선. 2004. 전자저널 이용통계서비스의 품질평가에 대한 연구. , 35(4): 35-56. 

  9. 박성재, 김재훈, 이용구. 2013. AHP를 이용한 컨소시엄 기반 전자저널 업무의 요인별 중요도 분석 연구. , 24(1): 229-247. 

  10. 박은경. 2005. .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1. 심원식. 2012. 빅딜, 오픈액세스, 구글학술검색과 대학도서관의 전자학술정보구독. , 29(4): 143-163. 

  12.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 

  13. 오동근, 김숙찬. 2006. 대학도서관 전자저널이용자의 이용행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23(4): 129-146. 

  14. 윤만영. 2004. . 석사학위논문. 청주 대학교. 

  15. 윤정옥. 2009. 인문학자의 전자정보원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43(2): 5-28. 

  16. 이란주, 장은비. 2012a. 전자저널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2002-2011년. , 23(1): 27-46. 

  17. 이란주, 장은비. 2012b. 대학생의 전자저널 이용 활성화 방안 - D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 23(2): 87-207. 

  18. 이란주, 황신혜. 2003. 전자저널의 효과적인 관리 및 이용자서비스에 관한 연구: 대학 도서관을 중심으로. , 20(2): 135-156. 

  19. 이명희. 2004. . 석사학위 논문. 아주대학교. 

  20. 이소연. 2008. 새로운 학술커뮤니케이션 환경과 미래형 전자저널 컨소시엄 운영모형: KERIS 를 중심으로. , 39(1): 1-25. 

  21. 이소영. 2003. .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22. 이용구, 박성재, 김정환. 2013. KESLI 컨소시엄 활성화를 위한 운영현황 및 요구분석. , 30(1): 221-236. 

  23. 이지영. 2004. . 석사학위논문. 성 균관대학교. 

  24. 장덕현, 최원찬. 2008. 대학도서관 전자저널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P대학 기계공학 분야를 중심으로. , 25(4): 165-184. 

  25. 장혜란, 정유진. 2011. 대학생의 전자저널 수용에 관한 연구. , 28(1): 237-262. 

  26. 전혜영, 박수희. 2008. 전자저널 컨소시엄의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 연구. , 39(1): 53-82. 

  27. 전희정. 2009. . 석사학위논 문. 중앙대학교. 

  28. 정경희. 2006. 의학 분야 오픈액세스 현황 분석을 통한 국내 의학 정보 활성화 방안. , 40(2): 389-414. 

  29. 정경희. 2007. 비영리 학술저작물의 저작권 정책과 오픈액세스에 관한 연구. , 24(4): 97-117. 

  30. 정경희. 2008. 국내 학술지 웹DB 구독료 현황과 오픈액세스에 대한 사서의 인식. , 42(3): 365-382. 

  31. 정경희. 2010. 대학의 오픈액세스 정책 수립시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41(2): 229-250. 

  32. 정경희. 2011. 국내 오픈액세스 학술지 특성에 관한 연구. , 22(3): 373-391. 

  33. 정은경. 2008. .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4. 정재희. 2005. .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35. 조화순. 2011. .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36. 최상희, 최선희. 2010. 오픈액세스 학술지의 차세대 서비스 모형에 관한 연구. , 27(4): 89-107. 

  37. 최재황, 조현양. 2005. 오픈액세스 운동의 동향과 학술적 이해관계자의 대응전략. , 22(3): 307-326. 

  38. 최호남, 이응봉. 2005. 해외 전자저널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전략에 관한 연구. , 39(2): 161-183. 

  39. 최희윤, 황혜경, 백종명. 2012. 국내 오픈액세스 서비스의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29(1): 279-302. 

  40. 한혜영. 2004. 국내 대학도서관의 해외전자정보 구독 현황 분석. , 35(1): 71-96. 

  41. 황옥경. 2007. 대학도서관에서의 전자저널 이용 통계 제공 및 활용 현황. , 38(4): 68-87. 

  42. 황혜경, 김혜선, 최선희. 2004. 오픈액세스기반 지식정보저장소 구축에 관한 연구. , 15(1): 91-116. 

  43. 황혜경, 이지연. 2009. 오픈액세스기반 기관리 포지터리 성공에 미치는 요인 분석. , 26(4): 35-57. 

  44.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Reference and User Services Association. . 

  45. Borrego, A., L. Anglada, M. Barrios, and N. Comellas. 2007. "Use and Users of Electronic Journals at Catalan Universities: The Results of a Survey."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3(1): 67- 75. 

  46. Florida Atlantic University Libraries. . 

  47. O'Brien, H. L. and S. Symons. 2007. "The Information Behaviors and Preferences of Undergraduate Students." Research Strategies, 20: 409-423. 

  48. Olle, C. and A. Borrego. 2010. "Librarians' Perceptions on the Use of Electronic Resources at Catalan Academic Libraries: Results of a Focus Group." New Library World, 111(1/2): 46-54. 

  49. Nisonger, Thomas E. 1997. "Electronic Journal Collection Management Issues." Collection Building, 16(2): 58-65. 

  50.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 Library. . 

  51. Voorbij, H. and H. Ongering. 2006. "The Use of Electronic Journals by Dutch Researchers: A Descriptive and Exploratory Study."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2(3): 223-237. 

  52. Way, Doug. 2010. "The Open Access Availabili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terature." College & Research Libraries, 71(4): 302-3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