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닥나무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분자 마이크로입자 제조 및 평가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Polymer Microspheres Containing Broussonetia Kazinoki Root Extract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9 no.2, 2013년, pp.89 - 96  

임형준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  이진영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  김한별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  김도훈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  신송석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고분자 마이크로입자닥나무 뿌리 추출물을 함유시켜 닥나무 뿌리 추출물의 안정도와 상용성을 성공적으로 향상시켰다. 마이크로입자를 구성하는 고분자의 비율에 따라 마이크로입자에 함유된 닥나무 뿌리 추출물의 장기안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마이크로입자의 물리적 강도를 높여주기 위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도입하였으며, 이는 마이크로입자에 안정화시킨 닥나무 뿌리 추출물의 안정도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광학현미경, 편광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고분자 마이크로입자의 물리적 안정도를 관찰하였고, in vitro 실험을 통하여 고분자 마이크로입자로 안정화된 닥나무 뿌리 추출물의 미백 효과도 잘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monstrate that polymeric microspheres composed of poly (ethylene adipate) (PEA) and 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can encapsulate and remarkably stabilize Broussonetia kazinoki root extract. We compared the long-term stability and the activity of Broussonetia kazinoki root extract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닥나무 뿌리 추출물의 안정도를 향상시킨 PMS3-BKRE의 생물학적 활성을 확인하고자 B16 murine melanoma 세포주를 이용하여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닥나무 뿌리 추출물은 B16 murine melanoma 세포주에 독성을 주지 않는 농도로 처리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Figure 7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닥나무 뿌리 추출물이 색소침착의 원인을 제거하는 방법은? 미백효능과 관련된 연구 결과에 의하면 닥나무 뿌리 추출물(Broussonetia kazinoki root extract) 중의 isoprenyl 기를 가진 페놀성 화합물인 Kazinol 화합물들이 생성된 자유 라디칼을 제거하는 동시에 tyrosinase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과도한 색소침착의 원인을 제거할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2]. 그 외에 pyrrolidine alkaloid류인 broussonetine류는 glucosidase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3,4], 이는 tyrosinase의 glycosylation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닥나무 뿌리 추출물의 지표성분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닥나무 뿌리 추출물의 지표성분은 닥나무 뿌리 추출물의 에틸알콜 분획물의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 후 확인이 용이한 피크 중 가스크로마토그래피 / 질량분석기(GC / MS) 분석을 통하여 단일 물질로 나타나는 피크를 분취하여 핵자기공명 분광법(NMR) 측정결과, kazinol C임을 확인하였다(Figure 1). Kazinod C는 강력한 tyrosinase 활성 저해성분으로 알려진 Kazinol F (5-(3-(2,4-dihydroxyphenyl)propyl)-3,4-bis (3-methyl-2-butenyl)-1,2-benzenediol)와 같은 1,3-Diphenylpropane 화합물로 닥나무 뿌리 껍질 추출물 중에 8 ~ 15% 수준으로 존재하는 성분이며 단일물질로 분리 및 분석이 용이하다[1].
닥나무 뿌리 추출물은 어떤 물질의 활성을 억제하는가? 미백효능과 관련된 연구 결과에 의하면 닥나무 뿌리 추출물(Broussonetia kazinoki root extract) 중의 isoprenyl 기를 가진 페놀성 화합물인 Kazinol 화합물들이 생성된 자유 라디칼을 제거하는 동시에 tyrosinase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과도한 색소침착의 원인을 제거할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2]. 그 외에 pyrrolidine alkaloid류인 broussonetine류는 glucosidase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3,4], 이는 tyrosinase의 glycosylation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Y. S. Baek, Y. B. Ryu, M. J. Curtis-Long, T. J. Ha, R. Rengasamy, M. S. Yang, and K. H. Park,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1,3-diphenylpropanes from Broussonetia kazinoki,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17(1), 35 (2009). 

  2. H.-J. Lee, J.-H. Park, D.-I. Jang, and J.-H. Ryu, Antioxidant components from Broussonetia kazinoki, Yakhak Hoeji, 41(4), 439 (1997). 

  3. M. Shibano, S. Kitagawa, and G. Kusano,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Broussonetia Species. I. Two New Pyrrolidine Alkaloids, Broussonetines C and D, as $\beta$ -Galactosidase and β-Mannosidase Inhibitors from Broussonetia kazinoki SIEB, Chem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45(3), 505 (1997). 

  4. M. Shibano, D. Tsukamoto, and R. Fujimoto,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Broussonetia species. VII. Four new pyrrolidine alkaloids, broussonetines M, O, P, and Q, as inhibitors of glycosidase, from Broussonetia kazinoki SIEB, Chem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48(9), 1281 (2000). 

  5. E.-S. Yang, J.-S. Hwang, H.-C. Choi, R.-H. Hong, and S.-M. Kang, The Effect of genistein on melanin synthesis and in vivo Whitening,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1), 72 (2008). 

  6. J.-D. Kim and J. H. Jung, Surface chemistry in biocompatible nanocolloidal particle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0(3), 295 (2004). 

  7. J.-W. Yoo, N. Doshi, and S. Mitragotri, Adaptive micro and nanoparticles: Temporal control over carrier properties to facilitate drug delivery,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63, 1247 (2011). 

  8. J. W. Kim, J. Y. Go, J. B. Jun, and K. D. Suh, Multihollow polymer microcapsules by water-in-oilin- water emulsion polymerization: Morphological study and entrapment characteristics, Colloid Polym. Sci., 281, 157 (2003). 

  9. S.-J. Park, K.-S. Kim, B.-G. Min, and S.-K. Hong, Preparation and release characterization of biodegradable poly( $\varepsilon$ -caprolactone) microcapsules containing tocopherol, Polymer (Korea), 28(2), 103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