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화 화색 돌연변이 품종 'ARTI-purple' 및 'ARTI-queen' 꽃잎 조직의 재분화와 신초형성에 미치는 식물생장호르몬의 영향
The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Plant Regeneration and Direct Shoots Formation of Petal Explants of Chrysanthemum Flower Color Mutants Varieties, 'ARTI-purple' and 'ARTI-queen'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1 no.3, 2013년, pp.359 - 365  

이유미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  강은정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안전관리지원센터) ,  성상엽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  김상훈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  하보근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  김동섭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  김진백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  강시용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화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대중적인 화훼류 중의 하나로써, 최근 새로운 국화 품종들이 돌연변이육종을 통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하나의 국화 원품종에서 유래한 돌연변이 품종들 간의 조직배양 조건 차이에 대한 보고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개의 국화 화색 돌연변이 품종 'ARTI-purple'과 'ARTI-queen'의 효율적인 재분화 조건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재료로 꽃봉오리 시기와 통상화 개화 이전 시기의 꽃잎을 이용하였고, 꽃의 조직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통상화 및 설상화를 구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국화 재분화를 위한 식물생장호르몬의 적정 조합을 찾기 위해 3% sucrose, 0.3% gelrite를 포함한 MS 배지에 BA, NAA, IAA 중 2가지 호르몬을 조합별로 첨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절편체는 일장 16시간, 온도 $25{\pm}1^{\circ}C$ 조건으로 배양하였으며, 재분화율 조사는 배양 후 4주 및 8주차에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가장 높은 재분화율은 두 품종 모두 최적 NAA와 BA의 호르몬 조합에서 꽃봉오리 시기의 통상화를 사용할 시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재분화를 위한 식물생장호르몬의 최적 조합은 'ARTI-purple'의 경우 NAA $1.0mg{\cdot}L^{-1}$와 BA $0.5mg{\cdot}L^{-1}$로 47.9%의 재분화 효율을 보였으며, 'ARTI-queen'의 경우 NAA $2.0mg{\cdot}L^{-1}$와 BA $1.0mg{\cdot}L^{-1}$로 25.6%의 재분화 효율을 나타내었다. 재분화된 지상부는 1/2 MS배지에서 발근시켰으며, 기내 소식물체는 유리온실에서 성공적으로 순화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감마선을 사용한 돌연변이육종법에 의해 개발된 다양한 국화품종의 효율적인 재분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rysanthemum is one of the most popular ornamental plants worldwide. Recently, lots of new and novel chrysanthemum varieties have been developed using mutagenesis. However, there was no study for comparison of tissue culture condition among the mutant varieties derived from one original variety, 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화 ‘Argus’에서 유래한 화색변이 품종 ‘ARTI-purple’과 ‘ARTI-queen’의 최적 꽃잎배양조건을 탐색하고 품종 간의 차이 유무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화의 조직배양에 대해 어떠한 연구가 이루어졌는가? 국화의 조직배양은 잎(Himstedt et al., 2001), 꽃자루 또는 꽃(Mandal and Datta, 2005; Petty et al., 2003), 원형질체(Malaure et al., 1989; Sauvadet et al., 1990), 정아(Waseem et al., 2009; Zalewska et al., 2007)와 줄기(Annadana et al., 2000; Himstedt et al., 2001; Jevremović and Radojević, 2004; Park et al., 2007a) 등 다양한 조직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또한 조직배양 시 사용되는 식물생장호르몬은 사용한 품종과 조직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Hoque et al.
국화는 어떠한 작물로 많이 이용되는가? 국화는 세계 시장에서 화훼작물 중 장미 다음으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절화 및 분화 작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Jaime and Silva, 2003; Kumar et al., 2006;).
국화의 방사선 돌연변이 육종은 어떠한 형태로 발생하는가? 국화의 방사선 돌연변이 육종은 삽수나 어린 식물체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방사선 처리당대인 M1 세대에서 변이체의 선발을 하게 된다. 이러한 돌연변이체의 발생은 고정된 형태의 돌연변이체(solid type)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적지 않게 꽃의 일부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하는 주연구분 키메라 (mericlinal chimera)나 구분 키메라(sectorial chimera)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키메라 돌연변이체의 경우 삽목을 하게되면 다음 세대에서 분리가 일어나거나 변이가 소실될 수 있기 때문에 꽃잎배양법을 통해 돌연변이체를 고정된 계통으로 육성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nadana, S., W. Rademaker, M. Ramanna, M. Udayakumar, and J. de Jong. 2000. Response of stem explants to screening and explant source as a basis for methodical advancing of regeneration protocols for chrysanthemum. Plant Cell Tissue Organ Cult. 62:47-55. 

  2. Broertjes, C. 1966. Mutation breeding of chrysanthemums. Euphytica 15:156-162. 

  3. Chakrabarty, D., A.K.A. Mandal, and S.K. Datta. 2000. SEM and light microscopic studies on direct shoot regeneration from ray florets of chrysanthemum. Isr. J. Plant Sci. 48:105-107. 

  4. Datta, S.K., D. Chakrabarty, and A.K.A. Mandal. 2001. Gamma ray-induced genetic manipulations in flower colour and shape in Dendranthema grandiflorum and their management through tissue culture. Plant Breed. 120:91-92. 

  5. Gilissen, L.J.W., M.J. van Staveren, J.C. Hakkert, and M.J.M. Smulders. 1996. Competence for regeneration during tobacco internodal development: Involvement of plant age, cell elongation stage, and degree of polysomaty. Plant Physiol. 111:1243-1250. 

  6. Han, B.H., S.Y. Lee, and B.M. Park. 2009. Comparison of chrysanthemum cultivars based on direct shoot regeneration rates in tissue culture. J. Plant Biotechnol. 36:275-280. 

  7. Himstedt, J.P., H.J. Jacobsen, and G. Fisher-Kluver. 2001. Shoot regeneration from stem and leaf explants of chrysanthemum (Dendranthema x grandiflorum). Acta Hortic. 560:421-424. 

  8. Hoque, M.I., M.T. Jahan, and R.H. Sarker. 1998. In vitro shoot regeneration and ex vitro rooting in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Plant Tissue Cult. 8:157-164. 

  9. Jaime, A. and T. da Silva. 2003. Chrysanthemum: Advances in tissue culture, cryopreservation, postharvest technology, genetics and transgenic biotechnology. Biotechnol. Adv. 21:751-766. 

  10. Jeong, J.H., D. Chakrabarty, S.J. Kim, and K.Y. Paek. 2002. Transformation of chrysanthemum (Dendranthema grandiflorum Kitamura cv. Cheonsu) by constitutive expression of rice OsMADS1 gene. J. Kor. Soc. Hort. Sci. 43:382-386. 

  11. Jevremovi?, S. and L.J. Radojevic. 2004. Mass production of different chrysanthemum (Chrysanthemum morifolium) cultivars by culture in vitro. J. Sci. Agric. Res. 65:47-54. 

  12. Kang, C.H., S.J. Yun, B.S. Han, G.J. Lee, K.H. Choi, J.S. Park, and Y.K. Shin. 2011. Development of salt-tolerant transgenic chrysanthemum (Dendranthema grandiflorum) lines and bioassay with a change of cell specificity. J. Plant Biotechnol. 38:1-8. 

  13. Kumar, B., S. Kumar, and M. Thakur. 2012. In vitro mutation induction and selection of chrysanthemum (Dendranthema grandiflora Tzelev) lines with improved resistance to Septoria Obesa Syd. Int. J. Plant Res. 2:103-107. 

  14. Kumar, S., K.V. Prasad, and M.L. Choudhary. 2006. Detection of genetic variability among chrysanthemum radiomutants using RAPD markers. Current Sci. 90:1108-1113. 

  15. Lu, C., I.K. Vasil, and P. Ozias-Akins. 1982. Somatic embryogenesis in Zea mays L. Theor. Appl. Genet. 62:109-112. 

  16. Malaure, R.S., M.R. Davey, and J.B. Power. 1989. Isolation and culture of protoplasts of Chrysanthemum cinerariaefolium Vis. Pyrethrum Post 17:90-94. 

  17. Mandal, A.K.A. and S.K. Datta. 2005. Direct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from ray florets of chrysanthemum. Biol. Plant. 49:29-33. 

  18. Murashige, T. and F. Skoog. 1962.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a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s. Physiol. Plant 15:473-479. 

  19. Nahid, J.S., S. Shyamali, and H. Kazumi. 2007. High frequency shoot regeneration from petal explants of Chrysanthemum morifolium Romat. in vitro. Pak. J. Biol. Sci. 10:3356-3361. 

  20. Park, I.S., G.J. Lee, D.S. Kim, S.J. Chung, J.B. Kim, H.S. Song, D.H. Goo, and S.Y. Kang. 2007a. Mutation breeding of a spray chrysanthemum 'Argus' by gamma-ray irradiation and tissue culture. Flower Res. J. 15:52-57. 

  21. Park, S.H., G.H. Kim, and B.R. Jeong. 2007b. Adventitious shoot regeneration from cultured petal explants of chrysanthemum. Hort. Environ. Biotechnol. 48:387-392. 

  22. Petty, L.M., N.P. Harberd, I.A. Carre, B. Thomas, and S.D. Jackson. 2003. Expression of the Arabidopsis gai gene under its own promoter causes a reduction in plant height in chrysanthemum by attenuation of the gibberellin response. Plant Sci. 164:175-182. 

  23. Sauvadet, M.A., P. Brochard, and J. Boccon-Gibod. 1990. A protoplast-to-plant system in chrysanthemum: Differential responses among several commercial clones. Plant Cell Rep. 8:692-695. 

  24. Seiichi, F., J. de Jong, and W. Rademaker. 1995. Efficient genetic transformation of chrysanthemum (Dendranthema grandiflorum (Ramat.) Kitamura) using stem segments. Breed. Sci. 45:179-184. 

  25. Song, J.Y., N.S. Mattson, and B.R. Jeong. 2011. Efficiency of shoot regeneration from leaf, stem, petiole and petal explants of six cultivars of Chrysanthemum morifolium. Plant Cell Tiss Organ Cult. 107:295-304. 

  26. Tanaka, K., Y. Kanno, S. Kudo, and M. Suzuki. 2000.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chrysanthemum (Dendranthema grandiflorum (Ramat.) Kitamura). Plant Cell Rep. 19:946-953. 

  27. Tripepi, R.R. 1997. Adventitious shoot regeneration, p. 45-71. In: R.L. Geneve, J.E. Preece, and S.A. Merkle (eds.). Biotechnology of ornamental plants.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28. Waseem, K., M.S. Jilani, and M.S. Khan. 2009. Rapid plant regeneration of chrysanthemum (Chrysanthemum morifolium L.) through shoot tip culture. Afr. J. Biotechnol. 8:1871-1877. 

  29. Yamaguchi, H., A. Shimizu, K. Degi, and T. Morishita. 2008. Effects of dose and dose rate of gamma ray irradiation on mutation induction and nuclear DNA content in chrysanthemum. Breed. Sci. 58:331-335. 

  30. Zalewska, M., J. Lema-Rumi?ska, and N. Miler. 2007. In vitro propagation using adventitious buds technique as a source of new variability in chrysanthemum. Sci. Hortic. 113:70-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