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수 모델링을 통한 지하수댐 건설 효과 분석
Analyzing the Effect of Groundwater Dam Construction Using Groundwater Modeling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8 no.3, 2013년, pp.11 - 22  

김지욱 (한국수자원공사 지하수지반사업팀) ,  임경남 (한국수자원공사 지하수지반사업팀) ,  박현진 (한국수자원공사 지하수지반사업팀) ,  이보경 ((주)유신 지반터널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WAT, a linked modeling program of Visual MODFLOW was used to analyze the change in groundwater levels and salinity related groundwater dam construction in Cheongsan island, Wando-Gun, Jeollanam-Do. The steady-state model results show the groundwater flow and salinity distribution of the studie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면 일원에 대해 지하수댐 건설로 인한 주변지역의 지하수위 변화 및 염분분포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그러므로 대상지역의 수리지질학적 현상을 반영하고 실제 현장 상황에 부합되는 경계조건을 선택하는 것은 모델 결과의 신뢰성을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경계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현장조사와 위성지도 및 수치지도를 통해 하천 및 지류현황을 파악하였다. 본 모델의 주요 배출지역은 해안선으로 일정수두 경계로 설정하여 섬 내륙에서 함양된 지하수가 바다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해수의 염분도는 35,000 mg/L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민감도 분석의 대상으로 여러 수리특성 인자들 중 비교적 산출하기 쉬운 비산출율을 선정하였으며, 민감도 분석을 통해 비산출율이 지하수댐의 건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비산출율은 중력배수에 의해 배출되는 물의 양으로 정의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하수댐 설치로 인해 변화된 저류량은 지하수위 상승(또는 하강)에 의해 발생한 포화대의 부피 증가량(또는 감소량)과 비산출율의 곱으로 계산되며, 이는 비산출율에 따라 지하수 저류능력이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에서 지하수댐 추진계획을 수립한 10개 지점 중 전남 완도군 청산도를 대상으로 지하수 유동 모형인 Visual MODFLOW의 연계프로그램인 SEAWAT을 이용하여 지하수댐 건설 전·후의 지하수위 및 물수지 변화와 염분 분포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지하수댐 건설로 인한 영향을 분석하고 사업추진에 따른 효과를 예측 ·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수댐이란 무엇인가? 지하수댐(Groundwater dam)은 지하 대수층 내에 인공적인 차수벽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저장하는 시설로서 지표 아래에 수직차수벽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저장하고 양수하여 사용하는 지하댐(Subsurface dam)과 계곡과 같이 주변에 비해 낮은 지표면 위에 지지력이 있는 댐을 설치한 후 댐에 의해 확보된 공간을 모래와 같은 투수성 물질로 채운 후 물을 저장하는 모래저장댐(Sand storage dam)으로 구분할 수 있다(Hanson and Nilson, 1986). 지하수댐의 역사를 보면 로마시대에 지하에 물을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한 기록이 있으며, 이스라엘 등 중동지역에서는 지하동굴을 건설하여 물을 저장하였으며,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인공적으로 모래층을 만들어 모래 공극에 물을 저장하는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지하수댐이 단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용하는 경우는 무엇인가? 지하수댐은 지표에 건설되는 댐과 비교해 볼 때 증발에 의한 손실이 거의 없고 수몰지역이 발생하지 않으며, 수질오염의 위험이 적고 연중 일정한 수온의 수원을 확보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취수를 위해 별도의 양수시설이 필요하고 건설 적지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으며 일시에 많은 양의 용수를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도서해안지역과 같이 지표수의 발달이 제한적이어서 용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우에는 매우 유용한 수원확보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지하수댐은 지하에 설치되고 운영되기 때문에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없어 저장량과 지하수계의 변화를 정확히 평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1978~2007년간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1,277.4 mm(1978~2007)로서 세계 평균 강수량 807 mm의 약 1.6배이지만 높은 인구밀도로 인하여 1인당 연 강수총량은 2,629 m3으로 세계 평균인 16,427 m3의 1/6에 블과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xter, G.P. and Wallace, C.C., 1916, Changes in volume upon solution in water of halogen salts of alkali metals: IX, J. Am. Chem. Soc., 38, 70-104. 

  2. Calver, A., 2001, Riverbed permeabilities: Information from pooled data, Ground Water, 39(4), 546-553. 

  3. Freeze, R.A. and Cherry, J.A., 1979, Groundwater, Prentice-Hall. Inc, Eaglewood Cliffs, NJ, 84 p. 

  4. Gelhar, L.W., Welty, C., and Rehfeldt, K.R., 1992, A critical review of data on field-scale dispersion in aquifers, Water Resources Research, 28(7), 1955-1974. 

  5. Guo, W. and Langevin, C.D., 2002, User's Guide to SEAWAT: A Computer Program for Simulation of Three-Dimensional Variable-Density Groundwater Flow, USGS, 15 p. 

  6. Hanson, G. and Nilson, A., 1986, Ground-water dam for rural water supplies in developing countries, Ground Water, 24(4), 497-506. 

  7. Hem, J.D., 1985, Study and Interpretation of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Water: U.S. Geological Survey Water-Supply Paper 2254, USGS, 263 p. 

  8. Kim. J.W., 2012, Characteristics of water level change and hydrogeochemistry of groundwater from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Korea: Geostatistical interpretation and the implications for groundwater management, Ph. D. Thesis, Korea University, 3 p. 

  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02-2011, Daily rainfall data, http://www.kma.go.kr/weather/observation. 

  10. McWhorter, D.B. and Sunada, D.K., 1977, Groundwater Hydrology and hydraulics,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Ft. Collins, Co. pp. 18-31. 

  11.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07, Groundwater Plan, 18 p. 

  12.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11, National Water Resource Plan, 18 p. 

  13.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12, Groundwater Plan, p. 36-38. 

  14.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water), 2011, Grounwater Annual Report. 

  15.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MOC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water), 2002, Research of Subsurface Dam Development Method, p. 19-36. 

  16.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2, Statistics of Water works. 3 p. 

  17.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MOPAS), 2009, Research for Activation Plan of Island Area, 22 p. 

  18. Park, C.K., Jeong, G.C., Park, J.H., and Booh, S.A., 2006, Functions and roles of subsurface dam, J. of Water Resources, 39(5), 40-50. 

  19. Revelle, R., 1941, Criteria for recognition of seawater in groundwater, Transactions of American Geophysical Union, 22, Issue 3, 593-597. 

  20. Richter, B.C. and Kreitler, C.W., 1993, Geochemical Techniques for Identifying Sources of Ground-Water Salinization, CRC Press, Boca Raton, FL., 258 p. 

  21. Shim, B.O., Chung, S.Y., Kim, H.J., and Sung, I.H., 2002, Change of seawater intrusion range by the difference of longitudinal dispersity in hydrodynamic modeling, J. of Soil &Groundwater Env., 7(4), 59-67. 

  22. U.S. Bureau of Reclamation, 1966, Annual Report. 

  23. Wooster, W.S., Lee, A.J., and Dietrich, G., 1969, Redefinition of salinity, Limnology and Oceanography, 14, 437-438. 

  24. Xu, M. and Eckstein, Y., 1995, Use of weighted least-squares method in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spersivity and field scale, Ground Water, 33(6), 905-908. 

  25. Zheng, C. and Bennett, G.D., 1995, Applied contaminant transport modeling: theory and practice, Van Nostrand Reinhold, NY, 440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