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댐 건설로 인한 지하수 증가량 계산 및 유황 분석
Analysis of Flow Duration and Estimation of Increased Groundwater Quantity Due to Groundwater Dam Construction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4 no.1, 2014년, pp.91 - 98  

김종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 ,  김규범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  정일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정교철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하댐 건설에 의한 지하수 증가량을 계산하고 지표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연구지역 면적과 지하수위, 유효공극률을 이용해 지하수량을 계산하였으며 영덕 오십천의 유황분석을 실시하여 지하수량 증가에 따른 지표수 변화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지하수 증가량은 지하댐 유역 기준으로 최대 $91,746m^3$이며 지하댐 하류의 지하수 감소량은 최대 $11,259m^3$인 것으로 계산되었다. 따라서 연구지역의 지하수 확보량은 총 $80,487m^3$이며 지하수 감소량은 지하수 증가량에 비해 12.2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댐 건설 후 하류지역의 유황곡선을 분석한 결과 댐건설로 인해 유출량의 변화가 최대 $3.00{\times}10^{-2}m^3/s$ 발생하였으나 댐 건설 전과 비교해 전반적인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지하댐이 지표수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충분한 대체 수자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calculate the increase in groundwater quantity following groundwater dam construction, and to assess its impact on surface water. In the study area of Osib-cheon, Yeongdeok, we estimated groundwater quantity, groundwater level, and effective porosity, and examined surface water f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황곡선을 이용해 지하댐 건설 전·후 하천유량의 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확보량 계산과 유황분석으로 나누어 지하댐 건설에 대한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지하수 확보량의 경우 앞선 연구(Kim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WAT-MODFLOW 모형은 무엇인가? , 2011(a)) 결과인 지하댐 건설 후 지하수위 변화 자료를 이용하여 댐 상류의 지하수 증가량과 댐 하류 지하수위 하강으로 인한 지하수 감소량을 계산하였다. 해석은 한국형 지표수 및 지하수 통합모형으로 개발된 SWAT-MODFLOW 모형(Kim et al., 2008)을 이용하여 지하댐 건설 전·후의 지하수위 변화를 분석하였다.
지하댐이 지표수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대체 수자원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분석 결과 지하수 증가량은 지하댐 유역 기준으로 최대 $91,746m^3$이며 지하댐 하류의 지하수 감소량은 최대 $11,259m^3$인 것으로 계산되었다. 따라서 연구지역의 지하수 확보량은 총 $80,487m^3$이며 지하수 감소량은 지하수 증가량에 비해 12.2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댐 건설 후 하류지역의 유황곡선을 분석한 결과 댐건설로 인해 유출량의 변화가 최대 $3.00{\times}10^{-2}m^3/s$ 발생하였으나 댐 건설 전과 비교해 전반적인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지하댐이 지표수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충분한 대체 수자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하수의 이용에 따른 지하수위의 저하로 인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 지하수의 이용은 지하수위의 저하로 인한 문제들을 발생시킬 수 있지만 지표수와 지하수의 연계 운영을 통해 해결이 가능한 문제이다. 따라서 지표수와 지하수의 연계 해석을 통해 지하수 이용의 문제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rnold, J. G., Allen, P. M., and Bernhardt G., 1993, A comprehensive surface-groundwater model, Journal of Hydrology, 142, 47-69. 

  2. Bae, S. K., 1990, Groundwater resources in Korea, Keimyung University, 13(1), 73-80 (in Korean). 

  3. Choi, W. S., Kang, T. H., Lee, J. T., and Choi, B. K., 2011, A rehabilit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 for development of water resources, Proceeding of KWRA 2011 Conference, 479 (in Korean). 

  4. Giovanni, F., Marco, G., Francesca, C., and Fabio, C., 2008, A methodology for the preselection of suitable sites for surface and underground small dams in arid areas: A case study in the region of Kidal, Mali,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33, 74-85. 

  5.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08,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acquiring water resources by using wells near surface water, GRI 2008-11, 3-22 (in Korean). 

  6. Hansson, G. and Nilsson, A., 1986. Groundwater dams for rural water supplies in developing countries. Groundwater, 24(4), 497-506. 

  7. Johnson, A. I., 1967, Specific yield-Compilation of specific yields for various materials. U.S. Geological Survey Water-Supply Paper, 1662-D. 

  8. Kim, J. H., 1983, Analysis of the most suitable using ground water resources for underground dams, Anseong Industrial University, 15, 355-362 (in Korean). 

  9. Kim, J. T., Chung, I. M., Kim, N. W., and Jeong, G. C., 2011(a), Feasibility study of a groundwater dam in Osibcheon, using SWAT-MODFLOW,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1(2), 179-186 (in Korean). 

  10. Kim, N. W., Chung, I. M., Won, Y. S., and Arnold, G. J.,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integrated SWAT-MODFLOW model, Journal of Hydrology, 356, 1-16 (in Korean). 

  11. Kim, S. Y., Kim, G. B., Park, J. H., and Shin, S. H., 2011(b), Effect of underground dam for the prevention of seawater intrusion at the Seom-jin River, Journal of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12(8), 51-57 (in Korean). 

  12. Laasage, R., Aerts, J., Mutiso, G., and De Vries, A., 2008, Potential for community based adaptation to droughts: sand dams in Kitui, Kenya,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33, 67-73. 

  13. Lee, D. R. and Yoon, S. Y., 2004, Water resources plan updat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004(10), 813-816 (in Korean). 

  14. Lee, J. W., Kim, H. S., and Woo, H. S., 1993,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damming on flow duration characteristics of five major rivers in Korea,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13(3), 79-91 (in Korean). 

  15. Mansell, M. G. and Hussey, S. W., 2005, An investigation of flows and losses within the alluvial sands of ephemeral rivers in Zimbabwe. Journal of Hydrology, 314, 192-203. 

  16. Nilsson, A., 1985, Siting of groundwater dams for rural water supply in developing countries, hydrogeological and planning aspects. Proceedings of the Fifth World Congress on Water Resources, 3, 1287-1296. 

  17. Park, J. H., 2011, Technology trends for attaining alternative water resources, Land Research, 357, 102-109 (in Korean). 

  18. Park, S. D., 2003, Dimensionless flow duration curve in natural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36(1), 33-44 (in Korean). 

  19. Park, S. W., 1968, Study on flow dur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river,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10(1), 77-87 (in Korean). 

  20. Park, S. W., 1974, A hydrological study on the flow characteristic of the Keum Riv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16(2), 78-93 (in Korean). 

  21. Quilis, R. O., Hoogmoed, M., Ertsen, M., Foppen, J. W., Hut, R., and Vries, A., 2009, Measuring and modeling hydrological processes of sand-storage dams on different spatial scales,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34, 289-298. 

  22. Sin, S. C., 2000, Analysis of river flow change based on some scenarios of global warming, 33(5), 623-634 (in Korean). 

  23. Whiting, P. J. and Pomeranets, M., 1997, A numerical study of bank storage and its contribution to stream flow, Journal of Hydrology, 202, 121-1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