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지하수 수질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유럽 지하수 문턱값 비교
Comparative Study of Groundwater Threshold Values in European Commission and Member States for Improving Management of Groundwater Quality in Korea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8 no.3, 2013년, pp.23 - 32  

남선화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이우미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정승우 (군산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혜진 (국립환경과학원 토양지하수연구과) ,  김현구 (국립환경과학원 토양지하수연구과) ,  김태승 (국립환경과학원 토양지하수연구과) ,  안윤주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were established in 1994, and revised in 2003 and 2010. The substances for which standards have been developed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general pollutants, 4, and specific pollutants, 15. The standards have been applied to household water use, agricult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업용수의 경우 농어업용수 기준 항목과 동일하나, 기준치는 대체로 2배 강화된 수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이용목적별 분류 체계는 국내 지하수 관련 9개 부처 간 이용목적별 분류 체계가 상이하고, 기준 적용 시 이용목적 구분이 불분명하여 혼란을 초래하며, 유럽 지역에서도 음용수 이외 목적으로 지하수 수질기준을 마련하는 사례가 드문 실정이므로, 이용목적별 이원화(음용수, 비음용수) 분류 체계를 제안하는 바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하수 수질기준 설정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유럽 지역의 지하수 기준 설정 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향후 국내 지하수 관리 체계의 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단, 미국의 경우 발암 및 비발암 인체 위해성 기반 주정부별 차등 지하수 기준을 설정하고 있고(California resources agency, 2003; Florida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2005), 호주 및 캐나다의 경우 타 수질 기준을 차용하여 지하수 기준으로 적용하고 있으므로(Canadian Council of Ministers of the Environment, 2010; National Environment Protection Council, 2010), 유럽 위원회 및 회원국에서 European Groundwater Directive (2006/118/EC) (EC, 2006)를 통해 협력체계로 구축하고 있는 지하수 문턱값 산출 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 그러나 지하수 수질기준 제/개정 시 적용된 절차가 명확하게 제시된 자료가 미비하여 기준 설정 체계에 대한 분석이 불가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지하수 관련 보고서를 바탕으로 제/개정 관련 근거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용 목적의 지하수 수질기준은 어떤 기준을 준용하고 있는가? 음용 목적의 지하수 수질기준은 “먹는물관리법” 제5조에 따른 먹는물의 수질기준을 준용하고 있다. 먹는물의 수질기준의 경우 위해성평가기법을 적용하여 수질기준 항목및 기준치를 체계적인 설정 절차에 따라 연차별로 모니터링 및 자료 분석을 통해 개정 근거를 마련하고 있으므로(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2010), 음용 목적의 지하수는 이러한 먹는물의 수질기준에 따라 관리되어도 무방하다.
오염물질의 신규 기준설정체계가 마련되기 위해서 어떤 조사가 필요되어지는가? 또한 산업화에 따라 오염물질 증가, 농약 및 비료 사용 증가, 군부대 및 공단지역에서 발생하는 유류, 유기용제, 폐광 및 폐기물매립장으로부터 유출되는 유독물질, 방사선 물질 등지하수 오염물질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므로, 향후 신규 항목 추가 시 적용 가능한 신규 기준설정체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선진국의 지하수 관리 기준 설정 배경을 조사할 필요가 있으며, 국내 지하수 오염물질 설정체계를 마련하는데 참고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전체 수자원 중 11%를 차지하는 것은? 국내 지하수는 전체 수자원 중 11%를 차지하며, 2011년 기준 3,907 백만 m3/year으로 지속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현재 지하수는 음용 3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alifornia Resources Agency, 2003, California's groundwater Bulletin 118. 

  2. Canadian Council of Ministers of the Environment, 2010, Guidelines for Canadian Drinking Water Quality. 

  3. Council for Environmental Science, 1993, A study on establishment of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and groundwater pollution judgement standards. 

  4. EC, 2000, Directive 2000/60/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the Community action in the field of water policy 

  5. EC, 2006, Directive 2006/118/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2 December 2006 on the protection of groundwater against pollution and deterioration. 

  6. EC, 2009, Common implementation strategy for the water framework directive (2000/60/EC) Guidance document No. 18 Guidance on groundwater status and trend assessment. 

  7. EC, 2010,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accompanying the report from the commission in accordance with article 3.7 of the groundwater directive 2006/118/EC on the establishment of groundwater threshold values. 

  8.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0, Methodology for establishing groundwater threshold values and the assessment of chemical and quantitative status of groundwater, including an assessment of pollution trends and trend reversal. 

  9. Florida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2005, Technical report: Development of cleanup target levels (CTLs) for chapter 62-777, F.A.C. 

  10. Minister for the environment heritage and local government ire-land, 2009, S.I. No. 272 of 2009 European communities environmental objectives (surface waters) regulations. 

  11. MOE (Ministry of Environment), 1999, A study on examination of adequacy and control scheme for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12.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A study on preceding scheme for improvement of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13.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2011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14. M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WRC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12, Groundwater annual report. 

  15. National Environment Protection Council, 2010, Guideline on investigation levels for soil and groundwater. 

  16.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0, A study on management of unregulated trace hazardous com pounds in drinking water. 

  17.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A study on establishment system for standards of new groundwater pollutants. 

  18. O'Callaghan Moran and Associates, 2007, Establishing natural background levels for groundwater in Irelan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