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성 북동부 농촌 지역 지하수의 질산성 질소 오염과 수리지구화학적 특성
Characterization of Nitrate Contamination and Hydrogeochemistry of Groundwater in an Agricultural Area of Northeastern Hongseong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8 no.3, 2013년, pp.33 - 51  

기민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고동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윤희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김현수 (전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nitrate contamination and hydrogeochemical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for springs and surficial and bedrock groundwaters in northeastern part of Hongseong. Two field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at dry and wet seasons in 2011 for 120 sites including meas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TN(Total Nitrogen)과 TOC(Total organic carbon)분석을 위한 시료는 현장에서 Glass fiber filter(GF/F, 0.7 µm, Whatman)로 여과하여 amber glass vial에 담았으며, TOC 분석을 위한 시료는 진한 황산으로 산 처리하여 분석 시까지 냉장 보관하였다.
  • 7 µm, Whatman)로 여과하여 amber glass vial에 담았으며, TOC 분석을 위한 시료는 진한 황산으로 산 처리하여 분석 시까지 냉장 보관하였다. TN은 Total Nitrogen Module(TNM-1, Shimadzu)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TOC는 Total Organic Carbon Analyzer(TOC-V CPH, Shimadzu)를 이용하여 NPOC Non-Purgeable Organic Carbon)로 분석하였다. 측정된 주요 양이온과 음이온의 전하균형오차가 ± 5% 이내로 나타나 주요 성분 분석 결과가 신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시기에 따른 지하수 수질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갈수기에 해당하는 2011년 5월과 풍수기에 해당하는 2011년 10월에 야외조사 및 실내분석을 실시하였다. 갈수기 자료와 비교를 위해 풍수기의 질산성 질소 농도를 Table 3와 같이 오염단계 기준에 따라 시료군 별로 분석하였다. 단, 10월 조사 시 일부 측정이 불가능한 5개 관정에 대해서는 분석을 제외하였다.
  • 시기에 따른 지하수 수질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갈수기에 해당하는 2011년 5월과 풍수기에 해당하는 2011년 10월에 야외조사 및 실내분석을 실시하였다. 갈수기 자료와 비교를 위해 풍수기의 질산성 질소 농도를 Table 3와 같이 오염단계 기준에 따라 시료군 별로 분석하였다.
  • 지하수내 음이온은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ICS-1500, Dionex)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양이온은 유도결합 플라즈마분광광도계(Optima 7300 DV, PerkinElm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알칼리도(Alkalinity)는 pH 4.5까지 소비된 HCl의 양으로 total alkalinity를 계산하여 측정하였고 이를 HCO3 농도로 환산하였다(APHA, 1998). TN(Total Nitrogen)과 TOC(Total organic carbon)분석을 위한 시료는 현장에서 Glass fiber filter(GF/F, 0.
  • 연구지역 내 지하수에 대해 질산성 질소의 오염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대수층별로 오염단계를 구분하여 평가하였다(Table 3). 질산성 질소 농도에 의한 오염 수준은 Hallberg and Keeney(1993)과 Cho et al.
  • 연구지역의 경우 pH와 온도는 모든 관정에서 만족하기 때문에 DO 수준만으로 평가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DO수준은 <2mg/L 미만의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질산성 질소에 대한 오염정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된 홍성군 북동부 지역에서 농촌 지역 지하수 수질 오염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천부관정, 암반관정, 용천수에서 채취된 지하수에 대해 질산성 질소를 중심으로 수리지구화학 조사를 실시하고, 질산성 질소의 농도 분포, 질산성 질소와 주요 수질인자와의 상관성, 시기적 수질 변동 등의 수질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 지표기원 오염물질인 질산성 질소의 심도와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심도별 질산성 질소 농도를 도시하였다(Fig. 5). 일반적으로 심도가 증가할수록 질산성 질소 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Kundu et al.
  • 지하수내 음이온은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ICS-1500, Dionex)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양이온은 유도결합 플라즈마분광광도계(Optima 7300 DV, PerkinElm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알칼리도(Alkalinity)는 pH 4.
  • 지하수의 시기적인 수질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갈수기와 풍수기에 해당하는 2011년 5월말과 10월말에 걸쳐 총 2회 전체 수질 조사를 실시하였다(Fig. 3). 이때, 갈수기와 풍수기는 강우가 지표에서 지하수로 함양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풍수기인 6, 7, 8월의 영향은 10월에 받고 갈수기인 12, 1, 2월의 영향은 5월에 받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 질산성 질소와 관련된 주요 인자들의 각 시료군 별 시기적 경향성을 평가하기 위해 Box plot으로 도시하였다(Fig. 10). 용천수는 모든 수질인자에 대해 눈에 띄는 시기적 경향성을 보이지 않는다.
  • 채취한 시료는 실내 분석을 위해 0.45 µm의 공극을 갖는 필터로 여과하였으며, 양이온 분석을 위한 시료에는 진한 질산(GR grade, Merck)을 넣어 pH를 2 이하로 조정하였다.
  • 현장 조사는 지하수 관정에 고여 있는 물을 충분히 양수한 뒤 온도, pH, 용존산소(dissolved oxygen, DO), 전기전도도(eletrical conductivity, EC), 산화환원전위(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등의 현장 수질 측정 항목을 대기와의 접촉을 차단하고 유동상태에서 측정하였으며 현장 수질 항목이 모두 안정된 뒤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실내 분석을 위해 0.

대상 데이터

  • 연구지역은 충청남도 홍성군의 북동쪽에 위치한 금마면 일대로 홍북면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 홍성군은 충청남도 서해안과 접해 있고, 동쪽에 봉수산, 서쪽에는 백월산, 북쪽에는 용봉산을 중심으로 구릉을 형성하여 비교적 평탄한 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연구지역은 7km × 7km 범위의 유역으로 약 40 km2의 규모이다.
  • 연구지역의 지질은 화양천 유역은 제 4기 충적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기반암으로 결정편암계 덕정리 편마암이 자리 잡고 있으며, 삽교천 중류 우안지역은 경상계 불국사통 화강암류로 이루어져 있어(Lee and Kim, 1963), 조사지역은 충적층과 결정질암의 풍화대와 파쇄대가 주요 대수층을 이루고 있다. 연구지역의 우측에 위치한 봉수산을 제외하면 해발고도 100 m 이하의 낮은 지역 및 소규모 구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봉수산 우측으로 예당저수지와 조사지역 남서쪽에 홍양 저수지가 자리 잡고 있어 연구지역을 삽교천과 봉수산 자락으로 구분되고 중앙에 화양천을 포함하는 수계로 설정하였다. 기상 수문 현황을 보면 최근 10년간 홍성군의 연평균 기온은 12.
  • 홍성군은 충청남도 서해안과 접해 있고, 동쪽에 봉수산, 서쪽에는 백월산, 북쪽에는 용봉산을 중심으로 구릉을 형성하여 비교적 평탄한 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연구지역은 7km × 7km 범위의 유역으로 약 40 km2의 규모이다. 연구지역의 유역은 금마면과 홍북면 일부를 포함하는 화양천 유역과 금마면에 위치한 삽교천 중류 우안지역을 포함하고 있다(Fig. 1). 연구지역의 지질은 화양천 유역은 제 4기 충적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기반암으로 결정편암계 덕정리 편마암이 자리 잡고 있으며, 삽교천 중류 우안지역은 경상계 불국사통 화강암류로 이루어져 있어(Lee and Kim, 1963), 조사지역은 충적층과 결정질암의 풍화대와 파쇄대가 주요 대수층을 이루고 있다.
  • 1). 연구지역의 지질은 화양천 유역은 제 4기 충적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기반암으로 결정편암계 덕정리 편마암이 자리 잡고 있으며, 삽교천 중류 우안지역은 경상계 불국사통 화강암류로 이루어져 있어(Lee and Kim, 1963), 조사지역은 충적층과 결정질암의 풍화대와 파쇄대가 주요 대수층을 이루고 있다. 연구지역의 우측에 위치한 봉수산을 제외하면 해발고도 100 m 이하의 낮은 지역 및 소규모 구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봉수산 우측으로 예당저수지와 조사지역 남서쪽에 홍양 저수지가 자리 잡고 있어 연구지역을 삽교천과 봉수산 자락으로 구분되고 중앙에 화양천을 포함하는 수계로 설정하였다.
  • 지하수 시료 채취는 총 120개소 관정에 대해 암반대수층 71개소, 천부대수층 39개소, 용천수 10개소로 심도별 관정을 구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지역의 대수층은 크게 충적층과 잔류토양/풍화대를 포함하는 지표부근 천부대수층(이하 천부대수층; surficial aquifer)과 기반암인 편마암이나 화강암 파쇄대로 구성된 암반대수층(bedrock aquifer)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해당 지역에서는 각 층의 분포상황에 대한 자료가 없고, 기존 관정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므로 굴착방법, 구경 등 관정시설규모를 고려하여 천부대수층과 암반대수층으로 구분하였으며(Kim et al.
  • 지하수 시료 채취는 총 120개소 관정에 대해 암반대수층 71개소, 천부대수층 39개소, 용천수 10개소로 심도별 관정을 구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지역의 대수층은 크게 충적층과 잔류토양/풍화대를 포함하는 지표부근 천부대수층(이하 천부대수층; surficial aquifer)과 기반암인 편마암이나 화강암 파쇄대로 구성된 암반대수층(bedrock aquifer)으로 구분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

  • 이러한 특성의 지역적인 비교를 위해 연구지역과 이전의 국내 연구 중 (a)일반 농촌지역(Lee et al., 2008), (b)축사분포지역(Kim and Woo, 2003), (c)제주도 전역(Koh et al., 2007) 지하수의 Cl과 질산성 질소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해 slope, R2, P-value를 나타내었다(Table 4). 연구지역은 기울기는 1.
  • 각 시료군 별로 보면, 용천수에서는 모든 인자에서 유의수준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었으나 천부관정과 암반관정에서는 일부 인자에서 유의수준을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체 관정 간 비교를 위해 상관분석은 비모수적 방법인 Spearman's rank-order Correlation (Rho)를 수행하였다(Table 6).
  • 연구지역 내 지하수의 수질특성을 결정하는 pH, DO, TOC와 주요 음이온, 양이온에 대해 질산성 질소와의 상관성 분석을 위해 각 인자에 로그를 취해, 유의수준 0.05기준으로 Shapiro-Wilk normality test를 수행하였다. 단, pH에 대해서는 이미 로그변환 값이므로 원값을 그대로 사용하였다(Table 5).
  • 질산성 질소를 포함한 수질인자들의 정규성을 검정하기 위해 Shapiro-Wilk normality test를 수행하였다. 이때 검정 후 p-value가 0.05보다 작게 나타나면, 정규 모집단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려 비모수 검정 법을 선택하고 더 크게 나타나면 모수 검정 법을 선택하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집단 간의 수질 인자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비모수검정 방법인 Mann-whitney U test를 수행하였다(Helsel and Hirsch, 2002).
  • 이와 같이 천부, 암반관정에서 정규분포하지 않는 것을 고려하여 시료군별 질산성 질소 농도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판단하기 위해 비모수적 검정 방법인 Mann-whitney U test를 유의수준 0.05로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용천수와 천부관정, 용천수와 암반관정은 p < 0.
  • 질산성 질소를 포함한 수질인자들의 정규성을 검정하기 위해 Shapiro-Wilk normality test를 수행하였다. 이때 검정 후 p-value가 0.

이론/모형

  • 질산성 질소 농도에 의한 오염 수준은 Hallberg and Keeney(1993)과 Cho et al.(2000)에 의해 배경치로 제시된 1 mg/L, Medison and Brunett(1985)이 제시한 인위적인 오염물질의 유입가능성을 지시하는 수준인 3mg/L와 국내 먹는물 수질 기준인 10 mg/L의 세 수치를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각 시료군별 질산성 질소의 오염정도를 살펴보면 배경치 이하의 관정은 용천수는 20%, 천부관정은 0%, 암반관정은 4%로 낮은 수치로 나타났다.
  • 각 수질인자들 간의 상관 검증에서 각 수질인자들이 정규 모집단이 아니므로 Spearman's rank-order Correlation방법을 사용하였다(Helsel and Hirsch, 2002).
  • 연구지역의 질산성 질소 오염원에 대한 오염 부하량을 평가하기 위해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tical yearbook(2011)과 Statistical Yearbook of Hongseong(2011)에 따라, 1991년부터 2010년까지 20년간 전국과 금마면의 경작지 면적 대비 화학비료의 평균 이용량을 나타내었다(Fig. 2). 금마면은 2003년을 제외하고 매해 경작지 면적 대비 질소질 비료 사용이 전국에 비해 낮게 나타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수 내의 아질산염이 유아에게 끼치는 악영향은? 지하수 내 여러 오염원 중 특히 질산성 질소는 인간활동에 의해 쉽게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물질로 잘 알려져 있으며, 아질산염으로 환원되어 유아에게 청색증을 유발할 수 있다(Kim et al., 2008; Benefield et al.
Shapiro-Wilk normality test에서 p-value가 0.05보다 작게 나타나면 수행하는 화정은? 질산성 질소를 포함한 수질인자들의 정규성을 검정하기위해 Shapiro-Wilk normality test를 수행하였다. 이때 검정 후 p-value가 0.05보다 작게 나타나면, 정규 모집단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려 비모수 검정 법을 선택하고 더 크게 나타나면 모수 검정 법을 선택하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집단 간의 수질 인자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비모수검정 방법인 Mann-whitney U test를 수행하였다(Helsel and Hirsch, 2002).
대수층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지하수 시료 채취는 총 120개소 관정에 대해 암반대수층 71개소, 천부대수층 39개소, 용천수 10개소로 심도별 관정을 구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지역의 대수층은 크게 충적층과 잔류토양/풍화대를 포함하는 지표부근천부대수층(이하 천부대수층; surficial aquifer)과 기반암인 편마암이나 화강암 파쇄대로 구성된 암반대수층(bedrock aquifer)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해당 지역에서는 각 층의 분포상황에 대한 자료가 없고, 기존 관정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므로 굴착방법, 구경 등 관정시설규모를 고려하여 천부대수층과 암반대수층으로 구분하였으며(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ppelo, C.A.J. and Postma, D., 1994, Geochemistry, Ground water and Pollution, A. A. Balkema: Rotterdam. 

  2. Benefield L.D., Judikins, J.F., and Weand, B.L., 1982, Process Chemistry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Prentice Hall Inc, Englewood Cliff, New Jersey, 449 p. 

  3. Bohlke, J.K., 2002, Groundwater recharge and agricultural contamination, Hydrogeol. J., 10, 153-179. 

  4. Cho, J.C. and Kim, S.J., 2000, Heavy contamination of a subsurface aquifer and a stream by livestock wastewater in a stock farming area, Wonju, Korea, Environ. Pollut., 109(1) 137-146. 

  5. Choo, C.O., Lee, J.K., Lee, C.J., Park, K.H., and Jeong, G.C., 2009, Origin of B, Br and Sr in groundwater from Bukahnmyeon, Yeongcheon, Gyeongbuk province, with emphasis on hydrochemistry, J. of Eng. Geology., 19(2), 235-250. 

  6. Christensen, T.H., Poul L. Bjerg, S.A., Banwart, R.J., Heron, G., and Albrechtsen, H.J., 2000, Characterization of redox conditions in groundwater contaminant plumes, J. Contam. Hydrol., 45, 165-241. 

  7. Clark, I. and Fritz, P., 1997, Environmental Isotopes in Hydrogeology, Lewis Publishers. Boca Raton, 328. 

  8. David, T.L., Thomas, C.V., Nedialka, D.N., and Shawn, P.M., 2012, Effects of human activities on karst groundwater geochemistry in a rural area in the Balkans, Appl. Geochem., 27, 1920-1931. 

  9. Drever, I.J., 1988, The Geochemistry of Natural Waters, 2nd ed., Prentice Hall, Engleweed Cliffs. 

  10. Drever, I.J., 1997, The Geochemistry of Natural Waters, third ed. Prentice Hall, Engleweed Cliffs. 

  11. Fluhler, H., Polomski, J., and Blaser, P., 1982, Retention and movement of Flouoride in soils, J. Environ. Qual., 11(3), 461-468. 

  12. Garrels, R.M., 1976, A survey of low temperature water mineral relations. In : Interpretation of environmental isotope and hydrogeochemical data in groundwater hydrology: vienna,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p. 65-84. 

  13. Hallberg, G.R. and Keeney, D.R., 1993, Nitrate. In: Alley, W.M.(ed.), Regional Groundwater Quality,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p. 297-322. 

  14. Hem, J.D., 1985, Study and interpretation of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water, USGS Water-Supply, p. 2254. 

  15. Helsel, D.R. and Hirsch, R.M., 2002, Hydrologic Analysis and interpretation, Chapter A3 Statistical Methods in Water Resources, Techniques of Water-Resources Investigations of the USGS, 210 p. 

  16. Hongseong-gun, 2011, Statistical Yearbook of Hongseong. 

  17. Jayalakshmi, D.O., Ramanathan, A.L., and Gurmeet, S., 2012, Geochemical and statistical evaluation of groundwater in Imphal and Thoubal district of Manipur, India, J. Asian Earth Sci., 48, 136-149. 

  18. Jeon, S.R., Park, S.J., Kim, H.S., Jung, S.K., Lee, Y.U., and Chung, J.I., 2011,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stimation of nitrate contamination sources of groundwater in the Sunchang area, Korea, J. Geol. Soc. Korea, 47(2), 185-197. 

  19. Jung, Y.Y., Koh, D.C., Kang, B.R., Ko, K.S., and Yu, Y.J., 2011, Prediction of seasonal nitrate concentration in springs on the southern slope of Jeju Islan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of geographic spatial data, Econ. Environ. Geol., 44(2), 135-152. 

  20. Kim, K.J., Koo, M.H., Moon, S.H., Yun, B.W., and Lee, K.S., 2005, Hydrochemistry of groundwaters in a spa area of Korea: an implication for water quality degradation by intensive pumping, Hydrol. Process., 19, 493-505. 

  21. Kim, E.Y., Koh D.C., Ko, K.S., and Yeo, I.W., 2008, Prediction of nitrate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in the northern Nonsan area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J. Soil &Groundwater Env., 13(5), 57-73. 

  22. Kim, H.J., Hamm, S.Y., Kim, N.H., Cheong, J.Y., Lee, J.H., and Jang, S., 2009,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caused by seawater intrusion and agricultural activity in Sacheon and Hadong Areas, Republic of Korea, Econ. Environ. Geol., 42(6) 575-589. 

  23. Kim, Y.T. and Woo, N.C., 2003, Nitrate contamination of shallow groundwater in an agricultural area having Intensive livestock facilities, J. Soil &Groundwater Env., 8(1), 57-67. 

  24. Koh, D.C., 2008, Nitrate contamination of bedrock groundwater in the southern Hongseong area: Assessment for impact of livestock feedlots, KIGAM Bulletin, 13(1), 20-33. 

  25. Koh, D.C., Kim, E.Y., Ryu, J.S., and Ko, K.S., 2009, Factors controlling groundwater chemistry in an agricultural area with complex topographic and land-use patterns in mid-western South Korea, Hydrol. Process., 23, 2915-2928. 

  26. Koh, D.C., Ko, K.S., Kim, Y, Lee, S.G., and Chang, H.W., 2007, Effect of agricultural land use on the chemistry of groundwater form basaltic aquifers, Jeju Island, South Korea, Hydrogeol. J., 15, 727-743. 

  27. Koh, D.C., Mayer, B., Lee, K.S., and Ko, K.S., 2010, Land-use controls on sources and fate of nitrate in shallow groundwater of an agricultural area revealed by multiple environmental tracers, J. Contam. Hydrol., 118(1-2), 62-78. 

  2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29. Korom, S.F., 1992, Natural denitrification in the saturated zone: a review, Water Resour. Res., 28, 1657-1668. 

  30. Kumar, M., Ramanathan, A.L., Rao, M.S., and Kumar, B., 2006,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hydrogeochemical processes in the groundwater environment of Delhi, India, Environ. Geol., 50, 1025-1039. 

  31. Kumar, P., 2008, Targeting safe aquifers for drinking water with special reference to arsenic contamination in Bhagalpur (Bihar) and Ghazipur (Uttar Pradesh) India, M.phil. Thesis, Jawaharlal Nehru University, New Delhi. 

  32. Kumar, S.S. and Ramanathan, A.L., 2008, Geochemical assessment of groundwater quality in vicinity of Bhalswa landfill, Delhi, India, using graphical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s, Environ. Geol., 53, 1509-1528. 

  33. Kundu, M.C., Mandal, B., and Sarkar, D., 2008, Assessment of the potential hazards of nitrate contamination in surface and groundwater in a heavily fertilized and intensively cultivated district of india, Environ. Monit. Assess., 146, 183-189. 

  34. Lee, E.J., Woo, N.C., Lee, B.S., and Kim, Y.B., 2008, Variation in nitrate contamination of shallow groundwater in a farmland in Gyeonggi-do, Korea, Econ. Environ. Geol., 41(4), 393-403. 

  35. Lee, I.G. and Choi, S.H., 2012, Hydro-geochemical nature and nitrates contamination characters of groundwater in the Young-dong, Chungbuk province, Econ. Environ. Geol., 45(1), 23-30. 

  36. Lee, J.H. and Kim, S.S., 1963, Geologic map of Hongseong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33 p. 

  37. Medison, R.J. and Brunett, J.O., 1985, Overview of the occurrences of nitrate in groundwater of the united state. U.S. Geological Survey Water Supply Paper, 2275, p. 93-105. 

  38.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1,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tical yearbook. 

  39. Ministry of Construction &Transportation and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05, Basic Groundwater Survey of Hongseong. 

  40. Ministry of Construction &Transportation,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and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05, Hydrogeologic map of Hongseong area. 

  41. Ministry of Environment, 2002, Statistics of Waterworks. 

  42.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Statistics of Waterworks. 

  43. Na, C.K. and Son, C.I., 2005, Groundwater quality and pollution characteristics at Seomjin River Basin: pollution source and risk assessment, Econ. Environ. Geol., 38(3), 261-272. 

  44. Panno, S.V., Kelly, W.R., Weibel, C.P., Krapac, I.G., and Sargent, S.L., 2003, Water quality and agrichemical loading in two groundwater basins of Illinois' sinkhole plain, Environmental Geology Series 156. Champaign, Illinois: Illinois State Geological Survey. 

  45. Panno, S.V., Kelly, W.R., Martinsek, A.T., and Hackley, K.C., 2006, Estimating Background and Threshold Nitrate Concentrations Using Probability Graphs, Ground Water, 44(5), 697-709. 

  46. Reddy, A.G.S., Reddy, D.V., Rao, P.N., and Maruthy, P.K., 2010, Hydroge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flouride rich groundwater of Wailpalli watershed, Nalgonda District, Andhra Pradesh, India, Environ. Monit. Assess., 171, 561-577. 

  47. Reddy K.R., 1982, Mineralization of nitrogen in organic soils, Soil Sci. Soc. Am. J., 46(3), 561-5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