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산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의 제초활성
Herbicid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Pine, Nut Pine, Larch and Khingan Fir in Korea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2 no.1, 2013년, pp.30 - 37  

윤미선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조해미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연보람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최정섭 (한국화학연구원 친환경신물질연구그룹) ,  김성문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대표적인 침엽수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로부터 추출된 정유의 제초활성을 이해하는데 있었다.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의 기내 종자발아 제초활성 검정 결과, 유채에 대한 $GR_{50}$ 값은 각각 0, 4,766, 1,865, $5,934{\mu}g\;ml^{-1}$으로 소나무를 제외하고는 제초활성을 나타내었다. 온실조건에서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 10%를 5종의 화본과 잡초와 5종의 광엽잡초에 처리한 결과 도꼬마리를 제외하고는 24시간 내에 완전 고사되었으며, 처리 식물의 부위는 타는 듯한 화염상 증상을 나타내었고, 처리 3일 이후에는 신초가 재생하여 4종 식물 정유는 속효성, 비선택성, 비이행성 특성을 나타내었다.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의 정유를 GC-MS로 분석한 결과 각각 16종, 25종, 25종, 16종의 유기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이들 정유에는 탄화수소, 알코올, 케톤, 에스테르가 공통적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그리고 정유 4종의 주 화합물은 3-carene, bornyl acetate, camphene, limonene, ${\alpha}$-pinene, ${\beta}$-pinene, ${\beta}$-phellandrene 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herbicid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isolated from leaves of pine (Pinus densiflora), nut pine (Pinus koraiensis), larch (Larix kaempferi) and khingan fir (Abies nephrolepsis) in Korea. In a seed bioassay, essential oils of nut pine, larch and khing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대표 침엽수 4종으로부터 추출된 정유의 경엽처리 제초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온실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원예용 상토((주)부농)가 충진되어 있는 사각 플라스틱 포트(350 cm2)에 화본과잡초 5종{미국개기장(Panicum dichotomiflorum), 바랭이(Digiraria sanguinalis), 수수 (Sorghum bicolor), 돌피(Echinochloa crus-galli), 개밀 (Agropyron smithi)}과 광엽잡초 5종{까마중(Solanum nigrum), 자귀풀(Aeschynomene indica), 어저귀(Abutilon avicennae), 도꼬마리(Xanthium strumarium), 메꽃(Calystegia japonica)}을 파종한 후 온실조건에서 10일간 생육시켰다.
  • , 2007) 무엇보다도 재료의 대량확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가장 유망한 재료가 산림자원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자원 중 쉽게 대량으로 구할 수 있는 소나무, 잣나무, 분비나무, 낙엽송으로부터 정유를 확보하고, 정유의 살초활성을 검정하였으며, 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화합물 분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대표적인 침엽수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로부터 추출된 정유의 제초활성을 이해하는데 있었다.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의 기내 종자발아 제초활성 검정 결과, 유채에 대한 GR50 값은 각각 0, 4,766, 1,865, 5,934 µg ml-1으로 소나무를 제외하고는 제초활성을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침엽수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는 어떤 생물학적 특성이 있는가? , 2008) 산림자원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엽수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는 항염증성, 살균성, 식욕증진, 건위강장성, 순환촉진성, 탈취성, 거담성, 살충성, 신경안전성 등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서(Mishra and Dubey, 1994) 의약품 개발에 활용이 가능하며, 진달래 (Rhododendon mucronulatum) 정유는 balsamic, coniferous, woody한 향취를 가지고 있어서(Park and Kim., 2008) 향장품 제조를 위한 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식물 정유는 어떤 용품으로 활용이 가능한가? 식물 정유(essential oil)는 의료용품, 가정용품, 보안용품, 환경 및 위생용품, 공업용품, 사료용품 뿐만 아니라 농업용품으로의 활용이 가능하여(Batish et al., 2008) 산림자원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침엽수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의 기내 종자발아 제초활성 검정 결과, 유채에 대한 GR50 값은?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대표적인 침엽수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로부터 추출된 정유의 제초활성을 이해하는데 있었다.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의 기내 종자발아 제초활성 검정 결과, 유채에 대한 GR50 값은 각각 0, 4,766, 1,865, 5,934 µg ml-1으로 소나무를 제외하고는 제초활성을 나타내었다. 온실조건에서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 10%를 5종의 화본과 잡초와 5종의 광엽잡초에 처리한 결과 도꼬마리를 제외하고는 24시간 내에 완전 고사되었으며, 처리 식물의 부위는 타는 듯한 화염상 증상을 나타내었고, 처리 3일 이후에는 신초가 재생하여 4종 식물 정유는 속효성, 비선택성, 비이행성 특성을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inard, L.D. and Isman, M.B. 2006. Phytotoxicity of clove oil and its primary constituent eugenol and the role of leaf epicuticular wax in the susceptibility to these essential oils. Weed Sci. 54(5):833-837. 

  2. Batish, D.R., Singh, H.P., Setia, N., Kohli, R.K., Kaur, S. and Yadav, S.S. 2007. Alternative control of littleseed canary grass using eucalypt oil. Agron. Sust. Dev. 27:171-177. 

  3. Batish, D.R., Sing, H.P., Kohli, R.K. and Kaur, S. 2008. Eucalyptus essential oil as a natural pesticide. Forest Ecol. Management 256:2166-2174. 

  4. Choi, H.J., Wang, H.Y., Kim, Y.N., Heo, S.J., Kim, N.K. et al. 2008. Composition and cytotoxicity of essential oil extracted by steam distillation from horseweed (Erigeron canadensis L.) in Kor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1):55-59. (In Korean) 

  5. Dudai, N., Poljakoff-Mayber, A., Mayer, A.M., Putievsky, E. and Lerner, H.R. 1999. Essential oils as allelochemicals and their potential use as bioherbicides. J. Chem. Ecol. 25:1079-1089. 

  6. Kim, S. 2005. Search for Korean native plants with herbicidal composition. Kor. J. Weed Sci. 26(3):225-245. (In Korean) 

  7. Kim, S., Kim, H.Y., Hwang, K.H. and Chun, I.J. 2008. Herbicid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Glenchoma hederacea. Kor. J. Weed Sci. 28(2):152-160. (In Korean) 

  8. Kong, W.S. 2004.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native Korean conifers. J. Kor. Geographical Soc. 39(4):528-543. 

  9.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1.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report. p. 54-55. (In Korean) 

  10. Lee, S.E., Yun, M.S., Yeon, B.R., Choi, J.S., Cho, N.K. et al. 2010. Herbicidal activity of benzaldehyde in cajuput (Melaleuca cajeputi) essential oil. Kor. J. Weed Sci. 30(3):183-190. (In Korean) 

  11. Mishra, A.K. and Dubey, N.K. 1994. Evaluation of some essential oils for their toxicity against fungi causing deterioration of stored food commodities. Appl. Environ. Microbiol. 60(4): 1101-1105. 

  12. Park, Y.H. and Kim, S. 2008. Composition and cytotoxicity of essential oil from Korean rhododendron (Rhododendon mucronulatum Turcz. var. ciliatum Nakai).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3):233-237. (In Korean) 

  13. Park, Y.H., Choi, H.J., Wang, H.Y., Kim, H.Y., Heo, S.J. et al. 2007. Voltile components of Erigeron canadensis L. in Korea. Kor. J. Weed Sci. 27(3):268-274. (In Korean) 

  14. Salamci, E., Kordali, S., Kotan, R., Cakir, A. and Kaya, Y. 2007. Chemical compositions, antimicrobial and herbicidal effects of essential oils isolated from Turkish Tanacetum aucheranum and Tanacetum chiliophyllum var. chiliophyllum. Biochem. System. Ecol. 35:569-581. 

  15. Tworkoski, T. 2002. Herbicidal effects of essential oils. Weed Sci. 50:425-431. 

  16. Yun, M.S., Yeon, B.R., Cho, H.M., Choi, J.S. and Kim, S. 2012. Hebicid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amyris (Amyris balsamifera). Weed Turf. Sci. J. 1(4):44-49.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