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잠재적 접근성 측정
Potential Accessibility of Public Healthcare Facilities in Rural Areas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0 no.2, 2013년, pp.431 - 450  

이준모 (동신대학교 도시조경학과) ,  조순철 (동신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황정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잠재적 접근성을 측정하고 지역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공공보건시설의 수요에 해당하는 인구를 대시메트릭 매핑기법을 활용하여 공간적으로 미시적인 수준에서 구축 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접근도를 측정하였다. 최소거리 기반의 공공보건시설의 접근도 측정결과, 군지역과 읍면지역은 거주지로부터 각각 1,845m와 1,777m가 떨어져 있었다. 강원도와 경상북도에 입지하고 있는 지역들이 상대적으로 접근도가 낮았으며, 면지역의 접근도가 읍지역보다는 다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잠재적 접근도의 현황과 지역 간의 격차를 구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향후 공공보건시설의 입지를 탐색하고 의료시설의 전달체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aims to evaluate the potential accessibility of public healthcare facilities in rural areas. Population is prepared and analyzed in spatially microscopic level using dasymetric mapping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accessibility to public facilities which is conducted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공보건시설은 의료시설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우리나라의 농촌에서 농촌주민의 생명과 건강을 유지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공공시설이기 때문에 공간적 형평성에 입각하여 입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시메트릭 매핑(dasymetric mapping) 기법을 통해 공공보건시설의 수요에 해당하는 인구를 공간적으로 미시적인 수준에서 구축하여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접근성 수준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잠재적 접근성을 측정하였다. 공공보건시설의 수요에 해당하는 인구를 대시메트릭 매핑기법을 활용하여 공간적으로 미시적인 수준에서 접근도를 산출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접근성을 측정하고 지역 간 차이를 확인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공공보건시설의 공급에 관한 자료는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분석방법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 공공보건시설의 공급에 관한 자료는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분석방법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커버리지 접근방법이 지닌 문제점을 탈피하고, 우리나라 농촌 공공보건시설의 입지 패턴 등을 고려하여 최소거리 기반으로 공공보건시설의 접근성을 분석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잠재적 접근성(potential accessibility)을 측정하고 지역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공공보건시설은 의료시설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우리나라의 농촌에서 농촌주민의 생명과 건강을 유지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공공시설이기 때문에 공간적 형평성에 입각하여 입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최근 들어 이와 관련된 공간통계기법이 많이 개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보건시설의 수요에 해당하는 인구수를 공간적으로 미시적인 수준에서 구축하여 공공보건시설의 잠재적 접근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서로 다른 공급규모를 반영하는 것이 타당하나 세 가지 시설의 공급규모에 관한 자료는 구득이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시설을 동일한 공급으로 가정하며, 주거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시설로의 접근성을 산출한다. 주거지역과 공공보건시설 간의 거리는 도로의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시메트릭 매핑 기법으로 무엇이 가능한가? 공공보건시설은 의료시설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우리나라의 농촌에서 농촌주민의 생명과 건강을 유지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공공시설이기 때문에 공간적 형평성에 입각하여 입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시메트릭 매핑(dasymetric mapping) 기법을 통해 공공보건시설의 수요에 해당하는 인구를 공간적으로 미시적인 수준에서 구축하여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접근성 수준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자 한다.
공공보건시설의 역할은?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잠재적 접근성(potential accessibility)을 측정하고 지역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공공보건시설은 의료시설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우리나라의 농촌에서 농촌주민의 생명과 건강을 유지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공공시설이기 때문에 공간적 형평성에 입각하여 입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시메트릭 매핑(dasymetric mapping) 기법을 통해 공공보건시설의 수요에 해당하는 인구를 공간적으로 미시적인 수준에서 구축하여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접근성 수준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자 한다.
병원 및 의료 환경 시설의 위치는 어디여야 하는가? 규범적 관점에서 공공의료 시설이나 인력은 국민이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의료 시설 및 인력의 수요와 공급 간에는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시설자원이 그렇듯이 의료 자원도 이와 같은 원칙을 달성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정화, & 이경원. (1997). 의료개혁의 현안과 정책과제. 한국행정학보, 31(4), 4183-4204. 

  2. 김현중, 이성우, & 조덕호. (2011).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공간적 형평성 및 입지 효율성 분석. 농촌경제, 34(4), 1-24. 

  3. 김황배, & 김시곤. (2006). 접근성이론과 GIS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한 행정기관의 입지선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6(3), 385-391. 

  4. 농촌진흥청. (2012). 농촌생활지표로 본 농촌사회 변화와 전망. 

  5. 손정렬, & 오수경. (2007). GIS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접근성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5), 576-594. 

  6. 오영호. (2008). GIS를 이용한 주요 보건의료인력의 지리적 분포에 대한 연구. 보건복지포럼, 141, 59-72. 

  7. 이상일, & 김감영. (2007). GIs-기반 대시메트릭 매핑(dasymetric mapping) 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인구밀도 분포의 재현. 한국지도학회지, 7(2), 53-67. 

  8. 이수형, & 신호성. (2011). 공간분석을 이용한 외래의료서비스 접근성 요인분석. 보건행정학회지, 21(1), 23-43. 

  9. 이춘희, & 이주형. (2006). 도시접근성 분석에 의한 공공시설입지정책의 시사점. 지역연구, 22(1), 113-133. 

  10. 이희연. (2004). 응급의료기관의 공간분포와 응급의료 서비스 수급의 공간적 격차.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3), 606-623. 

  11. 조대헌, 신정엽, 김감영, & 이건학. (2010). 농촌지역 공공 보건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6(2), 137-153. 

  12. 통계청. (2010). e-지방지표. 

  13. 허수진. (2001). 강남구 의료시설 입지에 관한 연구. 녹우연구논집, 39, 281-303. 

  14. Hewko, J., Smoyer-Tomic, K. E. & Hodgson, M. J. (2002). Measuring neighborhood spatial accessibility to urban amenities: does aggregation error matter?, Environment and Planning A, 34(7), 1185-1206. 

  15. Joseph, A. E. & Phillips, D. R. (1984).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Geographical perspectives on health care delivery. London, UK: Harper & Row. 

  16. Luo, W. (2004). Using a GIS-based Floating Catchment Method to Assess Areas with Shortage of Physicians. Health & Place, 10, 1-11. 

  17. McGrail, M. R. & Humphreys, J. S. (2009). Measuring Spatial Accessibility to Primary Care in rural Areas: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 Method, Applied Geography, 29(4), 533-541. 

  18. Paez, A., Mercado, R. G., Farber, S., Morency, C. & Roorda, M. (2010). Accessibility to health care facilities in Montreal Island : an application of relative accessibility indicators from the perspective of senior and non-senior resi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Geographics, 9(52), 1-15. 

  19. Penchansky, R., & Thomas, J. W. (1981). The concept of access : definition and relationship to consumer satisfaction, Med Care, 19(2), 127-140. 

  20. Schuurman, N., Berube, M. & Crooks, V. A. (2010). Measuring potential spatial access to primary health care physicians using a modified gravity model, Canadian Geographer, 54, 29-54. 

  21. Talen, E. (2003). Neighborhoods as service providers: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pedestrian access.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30, 181-200. 

  22. Yang, D. H., George, R. & Mullner, R. (2006). Comparing GIS-based methods of measuring spatial accessibility to health services, Journal of Medical Systems, 30(1), 23-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