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분자딸기 탄저병균의 병원성과 기주범위
Pathogenicity and Host Range of Pathogen Causing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Anthracnose in Korea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9 no.2, 2013년, pp.121 - 123  

정우성 (전북농업기술원 기후변화대응과) ,  김주희 (전북농업기술원 기후변화대응과) ,  이기권 (전북농업기술원 기후변화대응과) ,  정성수 (전북농업기술원 기후변화대응과) ,  이왕휴 (전북대학교 생물자원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과, 호박, 고추에서 분리된 탄저병균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 orbiculare, C. acutatum)이 복분자딸기에 병원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사과에서 분리된 탄저병균은 무상처 접종에서도 병원성을 나타냈다. 복분자 딸기에서 분리한 탄저병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 coccodes, C. acutatum)은 사과와 딸기에서는 dropping 접종에 의해 병원성을 보였으나 고추와 토마토에서는 낮은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rains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 coccodes, C. acutatum isolated from black raspberry were pathogenic to apple and strawberry after dropping inoculation, but showed weak pathogenicity in hot-pepper and tomato. The anthracnose pathogens of C. gloeosporioides, C. orbiculare, C. acuta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acutatum 균주도 기주범위가 넓으므로 타작물에서도 병원성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타 작물에서 분리한 Colletotrichum spp. 균주가 복분자딸기에 병원성이 있는지를 조사하여 복분자딸기 재배 전후 작물의 영향과 타작물로의 전파를 막는 등 방제에 활용하고자 기주범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과, 호박 및 고추에서 분리한 Colletotrichum spp.에 의한 복분자 딸기의 병원성 검정과정에서 dropping접종과 균총접종으로 접종방법을 달리한 결과, 접종방법에 따른 병원성 차이는? 에 의한 복분자딸기의 병원성 검정에서는 사과에서 분리한 균이 가장 강한 병원성을 나타냈으며 또한 고추와 호박에서 분리한 균들도 복분자딸기에 대해 병원성을 나타내었다(Table 2). Dropping 접종보다는 균총접종에서 병원성이 더 잘 발현되었다.
복분자딸기란 무엇인가?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는 장미과의 낙엽활엽관목으로 전라북도 고창군을 중심으로 재배되기 시작하여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최근에는 항산화, 항암 및 항균작용의 기능성이 밝혀지면서 복분자딸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생과 및 가공식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안정적 복분자 생산을 위해 병해충 발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Kwon 등, 2012; Park 등, 2008).
복분자딸기에 탄저병을 일으키는 원인균은 무엇인가? 그러나 복분자딸기의 생육기간 중에는 각종 병해가 발생하 여 피해를 일으키는데 특히 탄저병이 생육초기부터 발생하여 장마기를 경과하면서 급격히 증가하여 잎 뿐만 아니라 작은가지나 줄기에도 발생하여 피해를 초래한다(Kim 등, 2012; Kim 등, 2003, Kim 등, 2005). 작물에 발생하는 탄저병은 기주범위가 넓은데 복분자딸기에 탄저병을 일으키는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 coccodes, C. acutatum 균주도 기주범위가 넓으므로 타작물에서도 병원성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타 작물에서 분리한 Colletotrichum sp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Im, J. H. and Lee, S. G. 2004. Red pepper anthracnose :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t's cultural variations and pathogenicity. Res. Plant Dis. 10: 203-208. (In Korean) 

  2. Kwon, J. H., Kang, S. W., Kim, J. S. and Park, C. S. 2002. Anthracnose of Achyranthes japonica caused by Glomerella cingulata in Korea. Res. Plant Dis. 8: 59-61. (In Korean) 

  3. Kim, J. H., Cheong, S. S., Ryu, J., Choi, J. S., Choi, Y. G. and Lee, W. H. 2003. Anthracnose of raspberry (Rubus coreanus) caused by Colletotrichum coccodes in Korea. Plant Pathology J. 19: 335-335. 

  4. Kim, J. H., Jeong, U. S., Cheong, S. S., Lee, K. K., Lee, H. K. and Lee, W. H. 2012. Anthracnose of black raspberry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 coccodes, and C. acutatum in Korea. Res. Plant Dis. 18: 62-64. (In Korean) 

  5. Kim, J. H., Lee, K. K., Lee, H. K., Cheong, S. S., Ko, B. R. and Lee, W. H. 2005. Anthracnose of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C. acutatum in Korea. Plant Pathology J. 21: 409-409. 

  6. Kim, S. H., Yoon, J. T. and Lee, J. T. 2004. Pathogenesity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from other hosts on strawberry. Res. Plant Dis. 10: 130-134. (In Korean) 

  7. Kim, W. G., Cho, W. D., Lee, Y. H. and Lee, E. J. 1991. Anthracnose of ornamental plants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Penz. RDA J. Agri. Sci. 33: 20-25. 

  8. Kwon, J. W., Lee, H. K., Park, H. J. and Song, J. Y. 2012.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 extracts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25-32. (In Korean) 

  9. Park, Y. K., Choi, S. H, Kim S. H., Jang, Y. S., Han, J. Y. and Chung, H. G. 2008. Func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the fruits of Rubus coreanus according to cultivars. Korean Wood Sci. Tech. 36: 102-109. (In Korean) 

  10. Seo, I. G., Shim, C. K., Kim, D. K., Bae, D. W. and Kim, H. K. 2002. Identification of Glomerella cingulata from Dracaena sanderiana. Res. Plant Dis. 8: 224-227.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