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uccinia sp.에 의한 이팝나무 잎녹병 발생 및 중간기주 보고
First Report of Rust Disease on Fringe Tree by Puccinia sp. and Its Alternative Host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6 no.3, 2020년, pp.179 - 182  

유난희 (전남대학교 농화학과) ,  박애란 (전남대학교 농화학과) ,  윤혁준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 ,  손연경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 ,  이병희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 ,  김진철 (전남대학교 농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8년 7월 전라남도 강진군의 가로수 전체 이팝나무에 심각한 녹병증상이 발견되어 잎을 채집하였다. 채집한 이팝나무 잎 앞면에서 황색 및 갈색의 병반과 잎 뒷면에서 황색의 녹포자기가 관찰되었고, 현미경아래에서 41.2 ㎛ 크기의 구형 녹포자와 28.84 ㎛ 크기의 구형 하포자가 확인되었다. 이팝나무 녹병균의 부분 small subunit rR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1, 5.8S rRNA, ITS2, 부분 large subunit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나무 녹병균으로 보고 되어져 있는 Puccinia kusanoi와 가까운 근연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2019년 5월 무위사로 이팝나무 주변에 식재된 대나무에서도 녹병 병징이 관찰되었고, 잎 뒷면에서 동포자퇴와 동포자를 확인하였으며, 대나무에서 채집한 동포자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이팝나무 녹병균과 100% 일치하였다. 본 논문은 대나무 녹병균으로 알려진 P. kusanoi와 근연관계가 가까운 새로운 종 Puccinia sp. JCK-KCFR1 strain (MT729824)가 국내에서 이팝나무와 대나무를 기주교대하며 녹병을 발생시키는 것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July 2018, a serious rust symptom was found throughout the fringe trees planted in Gangjin-gun, Korea. Yellow and brown spots were observed on the adaxial (topside) surface of the collected fringe tree leaves, and yellow color aecia were observed on the abaxial (underside) surface leaves. The siz...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JCK-KCFR1 strain (MT729824)에 의해 발생하였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더불어 이팝나무와 대나무가 기주교대하면서 병환을 완성하는 것을 처음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 본 논문에서는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일대 이팝 나무 가로수에서 하절기 대대적으로 발생하는 녹병 병원균을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동정하였고, 관찰된 녹병균에 대한 형태적 특징 및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하고, 이팝나무 녹병균의 동절기 중간기주식물을 확인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이팝나무 녹병의 효과적인 방제연구에 활용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일대 이팝 나무 가로수에서 하절기 대대적으로 발생하는 녹병 병원균을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동정하였고, 관찰된 녹병균에 대한 형태적 특징 및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하고, 이팝나무 녹병균의 동절기 중간기주식물을 확인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이팝나무 녹병의 효과적인 방제연구에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eenken, L., Zoller, S. and Berndt. R. 2012. Rust fungi on Annonaceae II: the genus Dasyspora Berk. & M.A. Curtis. Mocologia 104: 659-681. 

  2. Dixon, L. J., Castlebury, L. A., Aime, M. C., Glynn, N. C. and Comstock, J. C. 2010.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sugarcane rust fungi. Mycol. Prog. 9: 459-468. 

  3. Fraiture, A. and Vanderweyen, A. 2020. Species of Puccinia Pers. nom. sanct. (rust fungi) on Bambusoideae in Belgium and in Europe. Cryptogam. Mycol. 41: 9-20. 

  4. Hiratsuka, N. and Chen, Z. C. 1991. A list of Uredinales collected from Taiwan. Trans. Mycol. Soc. Jpn. 62: 3-22. 

  5. Hiratsuka, N., Sato, S., Katsuya, K., Kakishima, M., Hiratsuka, Y., Kaneko, S. et al. 1992. The Rust flora of Japan. Tsukuba Shuppankai Takezono, Ibaraki, Japan. 1205 pp. 

  6. Ko, S.-J., Kim, H.-J., Myung, I.-S., Uhm, M.-J. and Choi, I.-Y. 2015. Occurrence of rust on Peucedanum japonicum caused by Puccinia jogashimensis in Korea. Res. Plant Dis. 21: 337-340. (In Korean) 

  7. Korea Forest Service. 2019. Roadside trees and forests. Current status of street trees in Korea (based at the end of 2018). URL http://www.forest.go.kr/kfsweb/kfi/kfs/ cms/cmsView.do?mnNKFS_03_14_01_03_03&cmsIdFC_001302 [4 September 2020]. (In Korean) 

  8. Lee, J. K., Cha, B., Shin, H. D. and Na, Y.-J. 2017. Tree diseases by biotic factors. In: Forest and Shade Tree Pathology, eds. by J. K. Lee, B. Cha, H. D. Shinand and Y.-J. Na, pp. 86-255. H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9. Lee, S. K., Km, K. H., Lee, C. K., Kim, D. Y. and Hwang, J. H. 2004. Morphological features of Coleosporium xanthoxyli and its alternate host in Korea. Res. Plant Dis. 10: 279-284. (In Korean) 

  10. Lee, S. H., Lee, C. K., Cho, S. E. and Shin, H. D. 2018. First report of rust caused by Puccinia oxalidis on Oxalis debilis var. corymbosa in Korea. Plant Dis. 103: 148. 

  11. Lee, S.-Y., Park, J.-W., Kang, I.-K. and Jung, H.-Y. 2020. First report of rust disease caused by Puccinia phragmitis on Rumex japonicus in Korea. Res. Plant Dis. 26: 53-56. (In Korean) 

  12. Reid, D. A. 1978. Two bambusicolous rust fungi new to Britain. Trans. Br. Mycol. Soc. 70: 459-463. 

  13. Shen, Y. M., Huang, T. C., Chung, W. H. and Hung, T. H. 2017. First report of rust caused by Puccinia kusanoi affecting Yushan cane (Yushania niitakayamensis) in Taiwan. Plant Dis. 101: 385. 

  14.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and Kumar, S. 2013.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30: 2725-2729. 

  15. Yoon, M.-Y., Choi, Y. H., Kang, M. S., Lee, J. H., Han, S. S., Myoung, I. S. et al. 2013. Disease control efficacy of the extract of Magnolia officinalis against perilla and zoysiagrass rusts. Res. Plant Dis. 19: 45-4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