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이상기후가 세계 곳곳 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빈번한 산불 발생 및 산불의 대형화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산불은 재산피해, 인명피해 뿐만 아니라 특히, 생태계 파괴를 촉진시키는 매우 심각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산불로 인한 생태계 파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산불확산 및 패턴 수리모델이 개발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바람 요인이 고려된 산불패턴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수리 모델을 제안하였다. 모델은 격자기반위에서 구성되었으며 셀룰라오토마타 방법을 사용하였다. 모델에서, 숲은 불이 쉽게 옮겨 붙는 나무와 그렇지 않은 나무 두 종류로 구성되었다. 산불이 확산되는 과정에서 연소된 나무의 개수가 전체 시뮬레이션 격자개수의 25% (= 10,000) 되는 시점(T)을 세 개의 독립변수인, 전체 나무밀도, 불 전이 확률이 큰 나무 밀도, 그리고 바람의 세기에 대해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조사하였다. 나무 밀도가 커질수록, T의 값은 줄어들었고, 바람의 세기가 커질수록 T의 값이 줄어들었다. 나무밀도가 너무 크거나 작은 경우, 바람의 효과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산불확산모델은 실제 산불 문제에 적용되어 효과적 대응방안 마련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cause forest fires are predicted to increase in severity and frequency under global climate change with important environmental implications, an understanding of fire dynamics is critical for mitigation of these negative effects. For the reason, researchers with different background, such as eco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에 제안된 대부분의 기존 산불모델에서는 하나의 나무 종을 고려하고 바람의 효과를 고려하지 않거나 혹은 단순한 바람을 묘사하는 행렬만을 고려하였다[22]. 본 모델에서는 바람의 효과와 두 종의 나무를 고려하여 보다 현실적인 산불확산의 동역학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모델을 통하여 바람이 산불확산에 어떠한 영향을 가져오는지 확인하였고 서로 다른 연소 확률을 가지는 두 종의 나무 밀도 변화를 통해 산불 확산 패턴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셀룰라오토마타 방식으로 구현된 산불 모델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방정식 기반 모델에 비해 훨씬 단순한 규칙을 가지고 비선형성이 강한 복잡한 산불확산 과정을 잘 보여 주었다.

가설 설정

  • 를 도입하였다. Fig.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연소중인 나무주위로 저항성이 큰 나무와 적은 나무가 분포해있을 때, 바람이 아래에서 위쪽으로 분다고 가정하면 연소중인 나무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3개의 나무에만 바람의 영향이 미친다고 가정하였다[22].
  • 하지만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산불의 파라메타간 상호작용에 관한 방대한 데이터를 요구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결정론적 시뮬레이션 모델은 전 역적 에너지 밸런스 방정식을 사용하며, 비 연소 연료로 전이되는 에너지가 연료 연소에 의해 방출되는 에너지에 비례한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이러한 모델들은 연소 지역으로부터 비 연소 연료로의 하나 혹은 몇 가지의 에너지 전이 과정을 고려한 것들로서, 그러한 에너지 전이 과정의 고려는 산불 확산 동역학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 이것은 산불 확산 제어 전략기술 개발 이라는 측면에서 잘 통제되어져야 하는 변수가 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다. 본 모델은 평지의 공간을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지형 변수는 산불의 확산에 매우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 많은 실험결과와 야외 관측 자료들이 보여 주고 있다.
  • 두 서로 다른 나무 종은 불이 옮겨 붙을 확률은 Pt로 기술되었다. 불이 전이될 가능성이 큰 나무의 확률과 작은 나무의 확률은 각각 1.0 과 0.5 으로 가정하였다. 예를 들어, 불전이 확률이 큰 나무가 이웃격자에 불타는 나무를 가지고 있다면 무조건 불이 옮겨 붙게 되며, 반대로 불 전이 확률이 작은 나무의 이웃격자에 불타는 나무가 있다면, 불이 옮겨 붙을 수도 있고 붙지 않을 수도 있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확률적 시뮬레이션 모델의 접근법은 어떠한가? 이러한 시뮬레이션 모델들은 일반적으로 확률적 시뮬레이션과 결정론적 시뮬레이션으로 구분 될 수 있다[11-13]. 확률적 시뮬레이션 모델은 일반적으로 연소 파라메타인 연료의 종류와 연료의 습도정도 그리고 바람의 영향 등의 실제 야외에서 얻어지는 자료를 토대로 확률 통계적 방법론으로 표현하는 접근법을 가진다. 이러한 모델들은 모든 변수에 대해 실험 자료가 반영된 확률개념을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 산림에서 산불이 발생지점으로부터 어떻게 진행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예측 할 수 있다.
산불의 확산 패턴을 분석하고 이해하기 위한 대안으로 시뮬레이션 연구가 사용되는 이유는? 풍향과 풍속은 산불확산에 있어 중요한 인자 중 하나 이다[9]. 산불의 확산은 기후, 발화, 식생의 종류, 수분의 함량 및 지형 등 복잡한 상호작용을 가지고 있으므로[10] 산불의 패턴을 분석하여 어떤 환경요인이 패턴 형성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주었는지를 이해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시뮬레이션 연구는 산불의 확산 패턴을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대안적인 접근법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산불 발생 조건에 필요한 3요소는 무엇인가? 산불 발생 조건은 연료(나무 등), 산소, 열 3가지 요소가 필요하며, 발생한 산불은 연료의 종류, 기상, 지형요인의 영향을 받아 연소형태와 강도가 달라진다[8]. 산불의 확산에 있어 중요한 인자들은 풍속, 지형, 경사, 산림연료의 수분함량, 산림연료의 무게, 연료의 종류, 상대습도 등 다양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Malamud BD, Morein G, Turcotte DL., "Forest-fires: an example of self-organized critical behavior," Science. Vol. 281, pp. 1840-1842, 1998. 

  2. Ratz A., "Long-term spatial patterns created by fire: a model oriented towards boreal forests,"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Vol. 5, pp. 25-34, 1995. 

  3. Diaz DR, Lloret F, Pons X, Terradas J., "Satelite evidence of decreasing resilience in Mediterranean plant communities after recurrent wildfires," Ecol. Vol. 83, pp. 2293-2303, 2002. 

  4. Pinol J, Terradas J, and Lloret F., "Climate Warming, Wildfire Hazard, and Wildfire Occurrence in Coastal Eastern Spain," Climatic Change. Vol. 38, pp. 345-357, 1998. 

  5. Flannigan MD, Stocks BJ, Wotton BM., "Climate change and forest fire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262, pp. 221-230, 2000. 

  6. McCoy VM, and Burn CR., "Potential alteration by climate change of the forest fire regime in the boreal forest of central Yukon Territory," Arctic. Vol. 58, pp. 276-285, 2005. 

  7. Clark TL, Jenkins MA, Coen J and David P., "A Coupled Atmospheric Fire Model: Convective Feedback on Fire Line Dynamic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ol. 35, pp. 875-901, 1996. 

  8. Burgan RE, and Rothermel RC., "fire behavior prediction and fuel modeling system FUEL subsystem," General Technical Report INT-167. pp. 126, 1984. 

  9. Ioannis K, and Adonios T., "A model for predictiong forest fire spreading using cellular automata," Ecological Modelling Vol. 99, pp. 87-97, 1997. 

  10. Hargrove WW, Gardner RH, Turner MG, Romme WH, Despain DG., "Simulating fire patterns in heterogencous landscapes," Ecological Modelling. Vol. 135, pp. 243-263, 2000. 

  11. Pitts WM, "Wind Effects on Fires" Progress in Energy and Combustion Science. Vol. 17, pp. 83-134, 1991. 

  12. Beer T., "Bushfire rate-of-spread forecasting: Deterministic and statistical approaches to fire modelling," Journal of Forecasting. Vol. 10, pp. 301, 1991. 

  13. Halada L, Weisenpacher P., "Principles of forest fire spread models and their simulation", Journal of the Applied Mathematics, Statistics and Informatics. Vol. 1, pp. 3-13, 2005. 

  14. Boychuk D, Braun WJ, Kulperger RJ, Krougly ZL, Stanford DA., "A stochastic forest fire growth model",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Statistics. Vol. 16, pp. 133-151, 2009. 

  15. Ball GL and Guertin DP., "Improved re growth model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Vol. 2, pp. 47-54, 1992. 

  16. Vasconcelos MJ, Geurtin GP., "Firemap simulation of fire growth wit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Vol. 2, pp. 87-96, 1992. 

  17. Feunekes U., "Error analysis in fire simulation models", MS. Thesis, University of New Brunswick, Fredericton, NB, 1991. 

  18. Eastman JR., "guide to GIS and image processing", Clark Lab, Clark University, Worcestar, MA, USA. Vol. 2, 1999. 

  19. Berjak SG, Hearne JW., "An improved cellular automaton model for simulating fire in a spatially heterogeneous Savanna system", Ecological Modelling. Vol. 148, pp. 133-151, 2002. 

  20. Matsinos YG, Troumbis AY., "Modelling spatiotemporal dynamics of a community of annual plant species: implications for management of biodiversity",Ecological Modelling. Vol. 149, pp 71. 2002. 

  21. Loibl W, Toetzer T, "Modeling growth and densification processes in suburban regions-simulation of landscape transition with spatial agents", Environmental Modelling and Software. Vol. 18, pp. 553-563, 2003. 

  22. Encinas AH, Encinas LH, White SH, del Rey AM, Sanchez GR., "Simulation of forest fire fronts using cellular automata", Advances in Engineering Software. Vol. 38, pp. 372-378,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