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심 가로 녹음의 습구흑구온도(WBGT) 측정을 통한 보행자 열쾌적성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rmal Comforts for Pedestrians by WBGT Measurement on the Urban Street Green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1 no.3, 2013년, pp.22 - 30  

안동만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이재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  김보람 (서울대학교 대학원.경기개발연구원) ,  윤호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  손승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  최유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나래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  김혜령 (서울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심보행공간에서가로수녹음이보행자열쾌적성에미치는영향을WBGT(Wet Bulb Globe Temperature-습구흑구온도) 분석을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일사 영향을 많이 받아 열쾌적성이 저하되는 여름철(8월)에 측정하였으며, 보행공간 WBGT 지수는 한국표준협회 "KS A ISO 7243: 고온환경 WBGT 지수에 의한 열 스트레스 추정"과 일본국립환경연구소의 작업환경, 일상생활 및 운동 WBGT 지침을 활용하여 결과를 해석하였다. 강남구 테헤란로 4개 구간에 대해 측정한 결과, 가로수에 의해 일사가 차단된 녹음(shade)지점 WBGT 지수는 최저 $27.40^{\circ}C$~최고 $30.60^{\circ}C$로 나타났으며, 일사(sun)지점은 최저 $28.45^{\circ}C$~최고 $34.2^{\circ}C$로 나타났다. 모든 녹음 지점에서 보행환경에 적합한 열쾌적성을 보였으며, 구간 최고값을 비교해 보았을 때 녹음(shade)지점이 일사(sun)지점에 비해 $4^{\circ}C$ 낮은 WBGT 지수를 나타내 가로수 녹음의 열쾌적성 개선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행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및 행태조사 결과, 대부분 보행자는 일사를 피해 수목 하부 그늘 쪽 보행공간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늘을 이용하는 보행자의 75% 이상 녹음의 쾌적함을 보통 이상 쾌적하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로수 녹음의 열쾌적성 향상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향후 가로수 식재시 열환경을 고려하여 연속적인 녹음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정책적 변화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thermal comfort effects of urban street trees. As the usual dry bulb air temperature does not indicate properly how the average pedestrian feels the heat of a typical summer day under the strong sunshine, we adopted the Wet Bulb Globe Temperature(WBGT). WBGT involves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로수가 가진 다양한 환경적 기능 중 녹음의 효과를 열쾌적성 지수인 WBGT 지수 분석과 보행자 행태 및 설문조사를 통해 녹음이 보행자 열쾌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열환경을 고려한 가로수 식재 정책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도심 가로 보행공간에서 가로수 녹음에 의한 열쾌적성을 평가하였다. 다양한 열쾌적성 평가 지수 중 WBGT 지수를 활용하였고, 한국표준협회 KS A ISO 7243과 일본국립환경연구소 WBGT 지수와 지수별 작업/활동지침을 참고하였다.
  •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첫째, 관련 문헌을 통해 가로수 및 WBGT 지수에 대해 고찰하고, 가로 녹음의 쾌적성 분석을 위한 WBGT 지수 적용가능성을 파악한다. WBGT 지수 도출을 위해 흑구, 습구, 건구 온도를 측정한 후, 산출공식을 이용해 WBGT 지수 값을 도출하여 보행공간에 대한 열쾌적성을 평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 내에서 가로수는 어떤 기능을 하고 있나? 가로수는 도시 내 다른 녹지들과 연계하여 그린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필수 요소로 작용하며, 특히 보행공간에 식재한 가로수는 보행자의 쾌적성을 증진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나 가로수 관리효율성 저하, 주변 상권과의 마찰, 보행환경 정비사업에 의한 제거 및 수종 변경 등으로 인해 그 영역이 점차 축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시기후 개선을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전 지구적으로 도시열섬현상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일련의 연구들은 도시기후 개선을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공원, 녹지대, 정원조성, 옥상녹화, 벽면녹화 등과 같은 녹화방식을 제시하고, 도시열섬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녹지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Landsberg, 1981; 김수봉 등, 2001; 김운수, 2002; 김기호 등, 2004
우리나라 WBGT 지수의 기준은 어디서 정하고 있는가? WBGT 지수는 Yaglou와 Minard가 1957년 미군 훈련소에서 군인의 열 스트레스 측정을 위해 고안한 온열환경지표로서 여러 나라에서 각 나라 특성에 맞게 조정하여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방부, 노동부(작업 환경측정 및 정도 관리규정;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1-25호), 한국표준협회(KS A ISO, 2005 개정)등에서 그 기준을 정하고 있다. WBGT 지수는 흑구(복사열), 습구(습도와 바람), 건구(대기온도) 온도계 값을 기준식에 대입하여 도출한 값으로 나타나며, 각 지수값의 범위를 설정하여 인간의 열스트레스 적합한 온열환경 활동지침을 설정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권영아(2002) 서울의 도심 녹지가 주변 기온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박사학위논문. 

  2. 김기호, 김수봉, 정응호(2004) 도시열섬현상 저감을 위한 그린네트워크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3(6): 527-535. 

  3. 김대관, 윤여창(1996) 한국의 가로수 현황 및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산림경제연구 4(2): 37-50. 

  4. 김석철(2008) 하계 도심지에서의 흑구온도 특징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수봉, 김기호, 조진희(2001) 도시열섬현상의 원인과 대책. 환경과학논집 6(1): 63-89. 

  6. 김수봉, 김해동(2002) 도시의 수목이 기온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30(3): 25-34. 

  7. 김수봉, 정용호, 김기호(2006) 대구광역시 중구의 가로수 및 열섬 모자이크 현황 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15(4): 325-332. 

  8. 김운수(2002) 도시열섬 현상의 완화 방안. 도시문제 37(8): 58-73. 

  9. 김재화(2004) 가로수관련 자치법규 현황 및 개선방향. 동아대학교 연구논문집 27(2): 1-5. 

  10. 박수국(2012) 인간 열환경 지수를 이용한 조경계획 및 디자인 방법. 한국조경학회지 40(1): 1-11. 

  11. 성현찬(2003) 가로환경복원을 위한 도시의 주요 가로유형별 가로수 실태에 관한 연구: 경기도내 7개 도시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8(3): 245-257. 

  12. 성현찬, 문다미(2003) 도시녹지의 대기정화효과에 대한 분석적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3): 17-28. 

  13. 윤민호, 안동만(2009)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시녹지의 기온저감 효과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7(3): 46-53. 

  14. 윤용한(1999) 도시내 공원녹지가 주변 열환경에 미치는 영향. 건국자연과학연구지 10(2): 201-210. 

  15. 이춘석, 류남형(2010) 조경포장이 옥외공간의 온열쾌적성지수(WBGT)에 미치는 영향: 통풍과 차광이 배제된 하절기 주간의 조건에서. 한국조경학회지 38(2): 1-8. 

  16. 장동수, McPherson, E. G(2006) 도시 주차장내 수목그늘의 경제적 이익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3(6): 98-108. 

  17. 조현길, 안태원(2010) 열쾌적성과 에너지 절약을 위한 녹지계획 전략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8(3): 23-32. 

  18. 주민진(2004) 도심 녹음수의 옥외 열환경 조절 효과: WBGT를 중심으로. 진주산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최동호, 이부용(2007) 하절기 복사환경 관측을 통한 수목과 일사차폐 막 구조물의 자연냉각효과.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27(4): 137-146. 

  20. 최율(2011) 국내외 가로공간의 친환경요소 평가연구. 대한건축학회지연합회 논문집 13(2). 139-146. 

  21. 최재영(1992) 도시 가로수의 현황과 관리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KS A ISO 7243:2005 고온환경-습구 흑구 온도(WBGT)지수에 의한 열 스트레스 추정, 한국표준협회. 

  23. Budd, M. G.(2008) Wet-bulb globe temperature(WBGT)-its history and its limitations. Journal of Science and Medicine in Sport 11: 20-32. 

  24. Donovan. G. H. and T. B. David(2009) The value of shade; Estimating the effect of urban trees on summertime electricity use. Energy and Buildings 41: 662-668. 

  25. Landsberg, H. E.(1981) The Urban Climate. New York: Academic Press. 

  26. http://www.elis.go.kr 

  27. http://www.nles.go.jp 

  28. http://www.osha.gov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