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에 관광기후지수가 생리등가온도(PET)와 범용열기후지수(UTCI)와 같은 완전한 인간 에너지 균형 모델들을 포함함으로써 발전되어 오고 있다. 이 연구는 해변에서의 조경계획 및 설계를 위해, 2015년 봄과 여름에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월정리해변에서 인간 열환경지수 및 열쾌적성을 조사하였다. 미기후 측정과 국제표준화기구 10551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설문조사를 동시에 실시하였으며, 성인 869명이 참가하였다. 그 결과, 생리적인 요소만 고려된 '열환경 지각'과 '열환경 선호도'가 선형 회귀 분석에서 생리등가온도와 92.8과 87.6%의 높은 결정계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생리적 요소와 심리적 요소 둘 다 고려된 '열환경 평가', '열환경 수용도'와 '열환경 부담도'에서는 60.0, 21.1, 46.4%로 낮은 결정계수를 보였다. 그렇지만, 생리등가온도와의 상관성 분석에서는 모두 0.01 레벨에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 열환경 지수를 나타내는 '열환경 지각'에서 덥지도 춥지도 않는 '중간'의 생리등가온도의 범위는 $25{\sim}27^{\circ}C$로 나타났으나, 미국의 냉온난방협회 표준 55에서 추천한 20% 이하의 불만족성 범위는 없었다. 다만, '열환경 평가'와 '열환경 부담도'에서 $21{\sim}32^{\circ}C$$17{\sim}37^{\circ}C$의 생리등가온도 범위들이 그 추천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21{\sim}32^{\circ}C$의 생리등가온도를 해변지역의 조경계획 및 디자인뿐만 아니라 관광 및 레크리에이션 계획을 위한 인간 열쾌적성 범위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해변에서의 열 스트레스 레벨들은 한국의 내륙들보다 $2{\sim}5^{\circ}C$ 높게 나타났으며, 대만과 나이지리아와 같은 열대지역과 유사한 높은 결과들을 보였고, 서 중유럽과 이스라엘의 텔아비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limatic index for tourism(CIT) has recently been advanced, which includes complete human energy balance models such as physiological equivalent temperature(PET) and universal thermal climate index(UTCI). This study investigated human thermal sensation and comfort at Woljung-ri Beach, Jeju, Rep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여름철 관광 및 레크리에이션이 집중되는 장소인 해변지역의 조경계획 및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 조사로서 제주 특별자치도 구좌읍 월정리 해변을 방문한 내국인 관광객 및 제주도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미기후 측정을 실시하여, 인간 열환경지수 및 열쾌적성 모델 기준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월정리 해변에서 얻어진 기준으로, 향후 국내의 여러 해변지역에서의 추가 연구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여름철 해변지역의 관광 및 레크리에이션 계획/디자인을 위한 한국형 열환경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구좌읍 월정리 해변에서 관광객과 제주도민 성인을 대상으로 미기후 자료 측정과 설문조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내륙보다는 2~5℃ PET 높은 열환경 기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변지역이라는 특성상 열대성 기후인 타이완이나 나이지리아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 이 기준은 slightly cool에서 slightly warm까지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Figure 5의 a 참조). 이 연구는 시간적 범위로 봄철과 여름철로 한정되어 수행되어, 향후 가을철과 겨울철 자료를 측정하여 월정리 해변에서의 사계절 인간 열환경지수 및 열쾌적성 모델을 완성해 보고자 하며, 국내의 여러 해변지역에서의 추가 연구를 통해 한국형 기준을 만들어 보고자 한다. 또한, 기상청 자료를 이용한 PET, UTCI 등 인간 열환경지수를 계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할 것이며, 미기후요소들이 지수 및 열쾌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면, 조경계획 및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구축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 열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기후요소는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인간 열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기후요소들(기온, 습도, 풍속, 태양 및 지구 복사에너지)을 모두 포함하여 분석하는 인간 에너지 균형 모델(human energy balance model)에 기초하여 개발된 모델들인 predicted mean vote(PMV; Fanger, 1972), PET, comfort formula(COMFA; Brown and Gillespie, 1986; Brown and Gillespie, 1995; Vanos et al., 2012), OUT_SET*(Pickup and de Dear, 2000), UTCI를 이용한 연구들이 있었다.
기후가 인간의 열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할 수 있도록 만든 척도는? 기후가 인간의 열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면, 보다 쾌적한 생활환경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그 영향을 기후적인 관점에서 판단할 수 있도록 개발된 척도가 인간 열환경지수(human thermal sensation) 또는 인간 열쾌적성(human thermal comfort)이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지수와 모델들이 이용되고 있으며(Park, 2012), 도시계획과 조경 분야에서는 physiological equivalent temperature(PET; Höp e, 1999; Matzarakis et al.
생체기후도 챠트란? , 1999), 도시가로의 열 환경을 분석한 연구(Jeong and Yoon, 2001)가 있었다. 또한, 복사에너지를 제외한 기온, 습도, 풍속자료만으로 열쾌적성을 나타낸 ‘생체기후도 챠트(Bioclimatic chart)’를 이용해 도시공간 구성요소와 열쾌적성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Lee, 2006)와 ET*에서 유래된 standard effective temperature(SET*)을 이용해 공동주택 단지 내 열환경을 분석한 연구(Lim et al., 2008)도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rode, P., D. Fiala, K. Blazejczyk, I. Holmer, G. Jendritzky, B. Kampmann, B. Tinz and G. Havenith(2012a) Deriving the operational procedure for the universal thermal climate index(UTCI).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6: 481-494. 

  2. Brode, P., E. L. Kruger, F. A. Rossi and D. Fiala(2012b) Predicting urban outdoor thermal comfort by the universal thermal climate index UTCI-a case study in southern Brazil.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6: 471-480. 

  3. Brown, R. D. and T. J. Gillespie(1986) Estimating outdoor thermal comfort using a cylindrical radiation thermometer and an energy budget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30: 43-52. 

  4. Brown, R. D. and T. J. Gillespie(1995) Microclimatic Landscape Design: Creating Thermal Comfortand Energy Efficiency. New York: Wiley. 

  5. Cohen, P., O. Potchter andA. Matzarakis(2013) Human thermal perception of coastal mediterranean outdoor urban environments. Applied Geography 37: 1-10. 

  6. Fanger, P. O.(1972) Thermal Comfort: Analysis and Applications in Environmental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oo. 

  7. Gal, T., M. Rzepa, B. Gromek and J. Unger(2007) Comparison between sky view factor values computed by two different methods in an urban environment, ACTA Climatologica et Chrologica, Universitatis Szegediensis, Tomus 40-41: 17-26. 

  8. Hoppe, P.(1999) The physiological equivalent temperature-a universal index for the biometeorological assessment of the thermal enviro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43: 71-75. 

  9. Jeong, C. and I. Yoon(1998) Human solar heat load and thermal comfort in an outdoor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pplication 1(2): 65-74. 

  10. Jeong, C. and I. Yoon(2001) The effect of the thermal radiation interchange of the long-wave and the solar radiation on human thermal comfort in the urban canyo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7(9): 219-226. 

  11. Jeong, C., I. Yoon and Y. Choi(1999) Estimating the cooling effect of see breeze along canals and outdoor thermal comfort on urban heat load in summer.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Application 2(1): 19-25. 

  12. Jo, H. and T. Ahn(2010) A study on greenspace planning strategies for thermal comfort and energy saving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3): 23-32. 

  13. Joo, C., Y. Yoon, B. Park and W. Kim(2008) The influence of land cover types on thermal comfort in urban openspac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1(3): 59-65. 

  14. Ju, M., C. Lee and N. Ryu(2004) The effect of urban shade trees on the WBGT(Wet Bulb Globe Thermometer Index).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3): 51-59. 

  1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11)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Republic of Korea. 

  16. Lee, C. and N. Ryu(2010) The influence of landscape pavements on the WBGT of outdoor spaces without ventilation or shade at summer midda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2): 1-8. 

  17. Lee, E.(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Spatial Elements and the Thermal Comfort-The Case Study of Seoul.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8. Lee, J., D. Jung, J. Chon and Y. Song(2009) An evaluation of human thermal comfort and improvement of thermal environment by spatial structur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8-21. 

  19. Lim, J., H. Hwang, D. Song and T. Kim(2008) Assessment on thermal environment and human thermal comfort in residential building block through field measurement.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Autumn Annual Conference, 311-317. 

  20. Lin, T. P. and A. Matzarakis(2008) Tourism climate and thermal comfort in Sun Moon Lake, Taiwan. Int J Biometeorol 52: 281-290. 

  21. Matzarakis, A. and H. Mayer(1996) Another kind of environmental stress: thermal stress. WHO News 18: 7-10. 

  22. Matzarakis, A., F. Rutz and H. Mayer(2010) Modelling radiation fluxes in simple and complex environments: Basics of the RayMan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4(2): 131-139. 

  23. Matzarakis, A., H. Mayer and M. G. Iziomon(1999) Application of a universal thermal index: physiological equivalent temp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43: 76-84. 

  24. Moon, S., H. Kim and K. Lee(2010) A study on the urban climate mitigation effects with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with reference to Namyang-JuWalsanli Master-plan. Journal of the KIEAE 10(6): 11-19. 

  25. Nikolopoulou, M. and K. Steemers(2003) Thermal comfort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as a guide for designing urban spaces. Energy and Buildings 35: 95-101. 

  26. Nikolopoulou, N., N. Baker and K. Steemers(1999) Improvements to the globe thermometer for outdoor use. Architectural Science Review 42: 27-34. 

  27. Omonijo, A. G. and A. Matzarakis(2011) Climate and bioclimate analysis of Ondo State, Nigeria. Meteorologische Zeitschrift 20(5): 531-539. 

  28. Park, J., W. Jung, B. Kim, S. Yoon, J. Lee, E. Kim, G. Park, S. Kim and K. Jeong(2008)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 Korea wind chill temperature index (III)-principal experiment for development of the Korea wind chill temperature index.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7(10): 1093-1109. 

  29. Park, S.(2011) Human-Urban Radiation Exchange Simulation Model.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Victoria, Victoria, B.C., Canada. 

  30. Park, S.(2012)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methods with human thermal sens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1): 1-11. 

  31. Park, S.(2013) A way for creating human bioclimatic maps using human thermal sensation(comfort) and applying the maps to urban and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1): 21-33. 

  32. Park, S.(2014) Korean human thermal sensation and comfort model. The 20th International Congress of Biometeorology, Sept. 18-Oct. 2, 2014, Cleveland, USA. 

  33. Pickup J, de Dear R(2000) An outdoor thermal comfort index (OUTSET*) part I-the model and its assumptions. In: de Dear R, Kalma J, Oke T, Auliciems A (ed) Biometeorology and Urban Climatology at the Turn of the Millennium-selected Papers from the Conference ICB-ICUC' 99 (Sydney, 8-12 November 1999), WCASP-50, WMO/TD-No. 1026.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Geneva, pp 279-283. 

  34. Ryu, N. and C. Lee(2014) Effects for the thermal comfort index improvement of park woodlands and lawns in summe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6): 21-30. 

  35. Ryu, N. and C. Lee(2015) The gradient variation of thermal environments on the park woodland edge in summer-a study of Hadongsongrim and Hamyangsangri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6): 73-85. 

  36. Vanos, J. K., J. S. Warland, T. J. Gillespie and N. A. Kenny(2012) Improved predictive ability of climate-human-behaviour interactions with modifications to the COMFA outdoor energy budget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6(6): 1065-10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