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내 자연형 하천 조성을 위한 적정 공간기능 배분과 조성방안 연구 - 서울시 서대문구 홍제천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s and the Distribution of Proper Spatial Function for Restoring Urban Streams into Close-to-Nature Streams - A Case Study of Hongjecheon(Stream) in Seodaemun-Gu, Seoul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1 no.3, 2013년, pp.43 - 55  

정태준 (국립환경과학원 자연자원연구과)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 하천의 자연형 하천 조성을 목표로 도시 하천에 요구되는 이용기능, 생태기능, 경관기능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여 각 공간에 적합한 공간기능을 설정하고, 이에 적합한 조성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홍제천으로 유로연장은 총 6.12km이며, 2003년 말부터 자연형 하천 조성 계획을 수립하여 정비가 완료되었다. 평가 항목 및 지표는 총 3단계를 거쳐서 선정하였다. 먼저 문헌 검색을 통하여 하천 및 공원 평가 기준을 설정하고, 도시 하천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를 추가하였다. 다음으로 목표 적합성, 지표 검증, 유사 항목 병합의 단계를 거쳐 최종 평가 항목 및 지표를 선정하였다. 최종 평가 항목은 이용기능에서 이용요구도, 이용편의성, 생태기능에서 생물다양성, 생물 서식 잠재성, 희귀성, 경관기능에서 역사 문화요소 및 경관성으로 선정되었다. 구간별 평가 결과, 이용요구도가 높게 평가된 구간 1~4는 시민휴양지구, 주요녹지와의 거리가 가깝고 하천 고유성이 남아있는 구간 5~6은 생태보전 복원지구, 이용요구도가 높고, 이용편의성이 좋은 구간 7~8은 하천 연속성을 고려하여 자연이용지구, 역사 문화자원 및 조망점이 다수 분포하고, 녹시율이 높은 구간 9~10은 하천경관지구로 설정되었고, 각 구간별로 세부 공간기능과 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간기능 배분 결과, 하천의 자연적 특성과 함께 인문 사회적 특성, 주변의 경관적 특성이 반영된 공간기능 배분이 이루어져 도시 하천에 요구되는 여러 가지 기능들에 대한 합리적인 공간계획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hat properly organizes urban close-to-nature streams by evaluating the city park functions, ecological functions and landscape functions required for urban stream and setting up space function suitable for the space. The site of this study is Hongjec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부분적인 구간계획을 수립할 경우 이상적인 계획이 수립되었다 할지라도 상류의 상황이 변하면 해당구간으로의 입력 특성들이 변하게 되어 그 출력이 달라지므로 결국 이전에 수립된 계획은 부적절한 계획이 되기 쉽다(권일순, 200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 7에서 설정한 등급유형별 관리방향을 기초로 하고, 하천의 연속성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홍제천의 구간별 공간 기능 배분과 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도시 하천의 자연형 하천 조성을 위하여 도시 하천에 요구되는 기능을 도출하고, 하천 구간별 기능 평가를 실시하여 적합한 공간 기능 배분과 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 하천 평가를 위하여 전체 구간을 하천을 통과하는 교량과 구간별 길이 600m 내외의 10개 구간으로 구분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도시 하천의 적정한 자연형 하천 정비를 위하여 서울을 흐르고 있는 대표적인 도시 하천인 홍제천과 주변 지역을 대상으로 인문·사회적 특성, 생태적 특성, 경관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구간별 적정 공간기능을 합리적으로 구분하여 자연형 하천으로 기능할 수 있는 조성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거리를 산출하였다. 하천 식생의 자연성 및 잠재 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홍제천 제외지의 식생유형 및 식생피도를 조사하였다. 식생유형은 하천에 출현하는 우점종에 따라 구분하였고, 습지성자생초지, 건조지성자생초지, 녹화지, 관리대상초지, 나지 및 기타지역으로 구분하였고, 피도는 구간별 면적 대비 식생 피복 비율로 0~100%까지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의 기능은 어떻게 나뉘는가? 하천은 여러 가지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이용 측면과 자연측면으로 나눌 수 있고, 이용측면에서는이수기능, 치수기능, 친수기능, 공간기능, 자연측면에서는 동․식물 서식처의 제공, 수질정화작용, 물질의 소비지(sink), 공급지(source), 전환자의 기능(transformer), 어류와 야생동물의 이동통로, 그린네트워크의 근간이 된다(이경렬, 1998). 또한 도시 하천의 기능은 이수기능, 치수기능, 환경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 중 환경기능은 수질 정화나 생태계 서식처로서의 자연보전기능, 수상 위락, 수변 경관 형성, 정서 함양 공간으로서 친수기능, 공간이용, 피난 및 방재, 지리 분할을 하는 공간기능으로 세분되며, 최근의 자연형 하천 복원에서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 기능이다. 이와 같이 도시 하천은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기존의 하천 정비 사업들은 시대에 따라 하천의 다양한 기능 중 이수, 치수, 공원화 등 특정 기능만을 고려하여 복원되어 왔고, 따라서 하천이 본래의 기능을 다하는데 이용적, 생태적, 경관적 문제점을 드러냈다.
자연형 하천을 표방한 사업의 한계점은?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자연형 하천을 표방한 하천정비사업이 대도시를 중심으로 추진되어 중랑천, 우이천, 홍제천, 탄천 등이 자연형 하천으로 정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자연형 하천을 표방한 사업들은 생물 서식처 보전, 복원, 창조보다는 공원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하천의 기본적인 환경기능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
하천의 이용적, 생태적, 경관적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제시하는가? 이와 같이 도시 하천은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기존의 하천 정비 사업들은 시대에 따라 하천의 다양한 기능 중 이수, 치수, 공원화 등 특정 기능만을 고려하여 복원되어 왔고, 따라서 하천이 본래의 기능을 다하는데 이용적, 생태적, 경관적 문제점을 드러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 하천의 적정한 자연형 하천 정비를 위하여 서울을 흐르고 있는 대표적인 도시 하천인 홍제천과 주변 지역을 대상으로 인문․사회적 특성, 생태적 특성, 경관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구간별 적정 공간기능을 합리적으로 구분하여 자연형 하천으로 기능할 수 있는 조성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시하천의 기능에 대한 구간별 평가를 선행하여 구간별 공간기능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하천 복원 시 도시 하천 본래의 기능을 다할 수 있는 조성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건설교통부(1996) 하천공간 정비기법 개발 조사.연구. 건설교통부 보고서. 

  2. 건설교통부(2000) 하천정비 기본계획 - 탄천, 홍제천, 불광천 -. 건설교통부 보고서. 

  3. 고은주(2005) 생태적 기능을 고려한 도시녹지 종합평가 방법 - 울산광역시를 사례로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곽정인(2007) 도심 시가화지역 야생조류 서식 기반 조성을 위한 토지이용구조와 녹지구조 개선 방안 연구 - 서울특별시 강동구를 대상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권일순(2007) 하천생태 복원을 위한 도시 중.소하천의 자연형 하천 조성에 관한 연구 - 양재천, 홍제천 유역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석규(2006) 자연 친화적 하천 정비사업의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영빈, 이호진(1995) 지역 특성에 따른 근린공원의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5(2): 277-282. 

  8. 김영숙, 박헌우, 권미경, 김수일(2002) 산림환경구조에 따른 조류군집 비교 연구. 한국조류학회지 9(2): 105-114. 

  9. 김재우(1998) 중.소하천의 자연형 복원에 관한 연구 - 호안조성기법을 중심으로 -.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노태환(2009) 도심 녹지축 기능 향상을 위한 식재설계기법 연구 - 인천 중앙공원을 대상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봉진, 윤연중, 오윤근, 신종이(2005) 하천공간정비계획을 위한 하천구 역구분과 기능공간배치 평가방법. 한국수자원학회지 38(2): 78-88. 

  12. 박익수(2000) 자연형 하천복원을 위한 도시중소하천의 하천자연도 평가에 관한 연구 - 수원천, 학의천, 경안천을 대상으로 -.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서울특별시(2005) 도시생태현황도 정비. 서울특별시 보고서. 

  14. 성현찬(1998) 경기도 도시공원의 시민접근성 비교와 향상방안. 경기연구 3: 63-94. 

  15. 성현찬, 민수현(2003) 도시녹지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 도시 가로수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31(2): 48-57. 

  16. 손상락, 윤병구(2002) 도시민의 공원녹지의식에 의거한 공원녹지정책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4); 59-81. 

  17. 송주일, 윤세의(2008) 하천공간관리를 위한 하천구역 구분 기법 연구. 국토연구, 59: 61-78. 

  18. 송주일, 이준호, 윤세의(2008) 도시 하천의 복원과 관리를 위한 하천평가 기법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8(3B) 283-296. 

  19. 이경렬(1998) 양재천 자연형 하천 복원 계획.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상호(2000) 안양천의 자연형 하천 설치 구간 선정을 위한 하천평가 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산업과학연구 9: 90-102. 

  21. 이영만(2002) 통계생태학. 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262쪽. 

  22. 조용현(1997) 생태적 복원을 위한 중소하천자연도 평가 방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조경학 박사학위논문. 

  23. 한국토지공사(1997) 친수형 단지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공사 보고서. 

  24. 한봉호(2000)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녹지축의 생태적 특성 평가 및 식재모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허미선(1995) GIS를 활용한 서울시 도시근린공원 접근성의 효율적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환경부(1997) 국내 여건에 맞는 자연형 하천 공법의 개발 - 하천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 환경부 보고서. 

  27. 홍병국, 송화영, 양수영, 제현수, 주경민, 이동훈(2004) 노원구 소재 도심공원의 소음실태 조사. 한국소음진동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pp. 782-785. 

  28. 驚谷いづみ, 矢原?一(1996). 保全生態學入門. 文一總合出版, 東京. 

  29. 日本建設省東部地方建設局(1994) 東北の自然豊かな川づくり-近自然河川改善計劃檢討計劃書マニコアル-. 

  30. 自然環境復元硏究會(1994) 水邊ビオト-プ. 

  31. Collier, K. J. and R. H. S. McColl(1992) "Assessing the natural value of New Zealand Rivers", in P. J. Boon et al., 1992, River Connservation Management, New York: John Wiley & Sons. 

  32. Colin, J. B., N. D. Burgess and D. A. Hill(1997) Bird Census Techniques. Academic press limited(4th), London. 

  33. Shannon, C. E. and W. Weaver(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34. Spellerberg, Ian F.(1992) Evaluation and Assessment for Conservation, London: Champman & Hall. 

  35. Tilghman, N. G.(1987) Characteristics of urban woodlands affecting breeding bird diversity and abundanc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4: 481-495. 

  36. USDA(1998) Stream visual assessment protocol. National Water and Climate Center Technical Note 99(1): 3. 

  37. Vannote, R. L., G. W. Minshall, K. W. Cummins, J. R. Sedell and C. E. Cushing(1980) The river continuum conncep. Canada Journal of Fish and Aquatic Science 37: 130-137. 

  38. http://hongje.sdm.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