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소중립 녹색도시 구현을 위한 계획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Indicator for Carbon Neutral Green City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13 no.2, 2013년, pp.131 - 139  

김유민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이주형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is establishing internal indicator list for achieving policy goal of Carbon Neutrality Green City. First of all, it started to construct the basic system of planning indicator based on through comprehension of current studies such as advanced researches, government gui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탄소중립 녹색도시’라는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국내에 적용 가능한 지표 체계를 도출하고 그 가운데에서도 보다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계획지표를 분석하여 계획지표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탄소중립 녹색도시 구현을 위한 계획지표 제시에 관한 연구이다. 선행연구로는 저탄소(탄소제로) 도시 및 주거단지의 개념 확립 및 사례분석 등의 연구가 있었으며, 도시차원에서 계획 및 운영될 필요가 있는 기준들이 제시되었다.
  • 본 연구에서 중요도 분석은 도시차원에서 저탄소 또는 탄소중립을 위한 기획, 계획 및 유지 관리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운용할 필요가 있는 계획지표를 도출하기 위해서 실시된다. 그렇기에 계획지표로 고려할 수 있는 지표로 49개라는 많은 수의 지표들이 고려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탄소중립 녹색도시’라는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국내에 적용 가능한 지표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산화탄소의 저감 대책마련을 위해 어떤 도시 개념들이 도입되었는가? 인류의 생명을 급격히 위협하는 양상으로 표출되어 기후변화 대응 중요성이 증대되어 온실가스의 주요 원인인 이산화탄소의 저감 대책마련에 각국은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녹색도시(Green City), 저탄소도시(Low Carbon City), 무배출도시(Zero Emission City), 탄소중립 도시(Carbon Neutral City)등 새롭고 다양한 도시 개념이 확립되었으며, 경제, 환경, 사회 발전 정책과 맞물려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이 가능한 도시 개발에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들은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세계 각 국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협의는 무엇이 있는가? 기후변화 대책 마련을 위해 세계 주요 나라들은 세계기 후회의(1972), 리우환경회의(1992), 교토의정서(2005), 발리로드맵(2007), G8정상회의(2008) 등을 통하여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협의를 하고 있으며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특히 제17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17)에서는 선진국의 ‘교토의정서 연장’과 함께 2020년 이후부터는 ‘한국’은 물론이고 중국, 인도, 주요 개도국을 포함한 ‘모든 당사국이 온실가스 감축체계에 참여’하는 ‘더반 플랫폼(Durban Platform)’을 채택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더반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기후변화 대책 마련을 위해 세계 주요 나라들은 세계기 후회의(1972), 리우환경회의(1992), 교토의정서(2005), 발리로드맵(2007), G8정상회의(2008) 등을 통하여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협의를 하고 있으며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특히 제17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17)에서는 선진국의 ‘교토의정서 연장’과 함께 2020년 이후부터는 ‘한국’은 물론이고 중국, 인도, 주요 개도국을 포함한 ‘모든 당사국이 온실가스 감축체계에 참여’하는 ‘더반 플랫폼(Durban Platform)’을 채택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주요 온실가스 배출국이 모두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게 됐으며, 단일 법적 체제에서 온난화 방지조치를 하는 ‘강제성’을 부여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강상준, 김아현(2009), 탄소저감을 위한 친환경 공간구성 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 국토해양부(2012),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군 계획 수립지침(훈령) 

  3. 국토연구원(2009), 기후변화에 대비한 도시계획적 대응방안 연구. 

  4. 김소진(2008), 환경친화적 도시개발을 위한 계획요소의 설정과 평가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녹색건축인증(2013), 친환경건축물인증(2012) 

  6. 박상헌, 강원발전연구원(2010),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방향, 지방행정, 59권678호, pp.66-69. 

  7. 박천보(2011), 구주지역 에너지 절약형 주거단지의 유형별 특성 고찰, 대한건축학회지, 27권4호, pp.213-221. 

  8. 반영운 외 5인(2008),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토 및 도시 개발전략,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지 318호, pp.3-17. 

  9. 변병설(2009), 저탄소 에너지 절약형 신도시 해외사례 및 조성 전략,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저탄소 에너지절약형 신도시 조성을 위한 세미나(2009-09), pp.3-33. 

  10. 이강식, 이명식,(2009), 탄소중립단지의 계획요소기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1. 이경기(2010), 탄소저감형 신도시 토지이용계획 모델 구축방안, 충북개발연구원. 

  12. 이상문(2012), 탄소중립도시, 조경. 

  13. 이재준, 최석환(200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구단위계획 차원에서의 탄소완화 계획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44권4호, pp.119-131. 

  14. 오용준(2009), 저탄소 에너지 절약형 도시계획의 정책과제 및 추진전략연구, 충남발전연구원. 

  15. 지승운(2010), 저탄소 녹색주거단지 설계요소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정광섭, 원제무(2009), 지속가능녹색도시 평가지표 및 모형개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정광섭, 구자훈, 김상원, 원제무(2009), 부동산개발사업의 투자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62권, pp.85-105. 

  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12), 탄소배출인벤토리 구축을 위한 녹색도시 모델 구상 및 CDM사업 추진방안. 

  19. 한국토지공사(2009), 저탄소 녹색도시 모델개발 및 시범도시 구상. 

  20. 한국토지공사(2009), 저탄소에너지절약형 신도시 조성방안 - 동탄2, 검단신도시를 중심으로 

  21. 행정안전부(2011), 지역 녹색경쟁력 지표.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