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합 과학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두 중등학교의 사례 -무엇이 통합 과학교육을 가능하게 하는가?-
The Cases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Practices in Schools -What are the ways to facilitate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4, 2013년, pp.763 - 777  

안정용 (서울대학교) ,  나지연 (서울대학교) ,  송진웅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통합을 실천하고 있는 두 학교의 사례를 통해 학교 차원의 통합 과학교육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합을 실천하고 있는 학교에서 일어나는 통합은 어떤 형태인지 그리고 일반 학교와 구별되는 그 학교의 상황 요소는 무엇인지를 수업 참관, 교사 면담, 학교교육계획서 수집, 수업 동영상 분석, 학생 결과물 수집과 같은 다중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교는 통합의 유형, 수준, 교사의 역할, 학생 활동에서 차이를 드러냈으며 이러한 차이가 다른 모습의 통합 과학교육 사례를 보여주었다. 둘째, 두 학교가 통합을 실천할 수 있게 한 학교 상황 요소가 있었다. 통합교육을 실천한 학교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했을 때 '리더십', '교사 팀의 협력활동', '교육계획을 위한 시간확보', '유동적인 시간운영', '지역사회와 연계'와 같은 유사한 학교 상황요소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두 학교의 사례에서는 통합을 기존의 안정적 성격의 교육적 시도가 아닌 보수적인 교사 문화를 극복하여 학교 교육의 혁신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보수적 문화극복/혁신 추구'를 새로운 학교 상황 요소로 제안하였다. 또한 두 학교는 안정적인 교사 관계를 형성하였으나 선행 연구에 비해 단기간에 대규모로 실시되었기 때문에 선행 연구에서 제안한 '소규모의 안정적인 학습 환경' 대신 '협력적 친밀한 관계'로 요소를 수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case study on two schools practising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hereafter I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features of ISE in the schools actively practising ISE, to identify the contextual factors of the schools, and to give implications for implementi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교육자들이 과학 교육과정을 통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이유는? Mason, 1996). 이에 과학교육자들은 일상 속의 과학이 학교의 교과와 같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으므로 과학 교육과정을 통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e.g.
통합을 실천하고 있는 두 학교의 사례를 통해 학교 차원의 통합 과학교육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연구한 결과는?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교는 통합의 유형, 수준, 교사의 역할, 학생 활동에서 차이를 드러냈으며 이러한 차이가 다른 모습의 통합 과학교육 사례를 보여주었다. 둘째, 두 학교가 통합을 실천할 수 있게 한 학교 상황 요소가 있었다. 통합교육을 실천한 학교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했을 때 '리더십', '교사 팀의 협력활동', '교육계획을 위한 시간확보', '유동적인 시간운영', '지역사회와 연계'와 같은 유사한 학교 상황요소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두 학교의 사례에서는 통합을 기존의 안정적 성격의 교육적 시도가 아닌 보수적인 교사 문화를 극복하여 학교 교육의 혁신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보수적 문화극복/혁신 추구'를 새로운 학교 상황 요소로 제안하였다.
우리나라는 통합의 원리를 언제 도입하였나? Lehman, 1994). 우리나라에서도 4차 교육과정에서부터 교육과정 상에서 통합의 원리가 도입되었으며, 특히 초등교육에서 강조되었다. 그 이후 과학교육과정에서는 STS 접근 방법을 통해 통합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재복 (2000). 통합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사. 

  2. 손연아, 이학동 (1999). 통합과학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1), 41-61. 

  3. 이은미 (1997). 중학교 실업 교육과정의 통합에 관한 분석 연구: 기술, 산업 교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Berlin, D. F., & Hillen, J. A. (1994). Making connections in math and science: Identifying student outcome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4(6), 283-290. 

  5. Drake, S. (1998). Creating integrated curriculum: Proven ways to increase student learning. California: Corwin Press Inc. 

  6. Flowers, N., Mertens, S. B., & Mulhall, P. F. (2003) Middle school renewal: Lessons learned from more than adecade of middle grades research. Middle School Journal,35(2), 55-59. 

  7. Fogarty, R. (1991). How to integrate the curricula. 구자억, 구원회 (역) (1998).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 통합의 방법. 서울: 원미사. 

  8. Friedenberg, E. Z. (1965). Coming of age in America:Growth and acquiescence. New York: Vintage Books. 

  9. George, P. S. (1996). The integrated curriculum: A reality check. Middle School Journal, 28(1), 12-19. 

  10. Goodlad, J. I. (1984). A place called school: Prospects for the future. New York: McGraw-Hill. 

  11. Hargreaves, A., Earl, L., Moore, S., & Manning, S. (2001). Learning to change: Teaching beyond subjects and standards. San Francisco: Jossey-Bass. 

  12. Hatch, J. A. (2002).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s. 진영은 (역) (2008). 교육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 서울: 학지사. 

  13. Hurd, P. D. (1991). Why we must transform science education. Educational Leadership, 49(2), 33-35. 

  14. Ingram, J. B. (1979). Curriculum integration and lifelong education: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school curricula. 배진수, 이영만 (역) (1996). 교육과정 통합과 평생교육. 서울: 학지사. 

  15. Johnson, L. J., & Pugach, M. C. (1996). Role of collaborative dialogue in teachers' conceptions of appropriate practice for students at risk. Journal of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Consultation, 7(1), 9-24. 

  16. Lightfoot, S. L. (1983). The good high school: Portraits of character and culture. New York: Basic Books, Inc. 

  17. Lehman, J. R. (1994). Integrating science and mathematics: Perceptions of preservice and practicing elementary teacher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9(9), 642-649. 

  18. Mason, T. C. (1996). Integrated curricula: Potential and problem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7(4), 263-270. 

  19. Meier, S. L., Nicol, M., & Cobbs, G. (1998). Potential benefits and barriers to integration.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8(8), 438-447. 

  20. Pendergast, D., Flanagan, R., Land, R., Bahr, M., Mitchell, J., Weir, K., Noblett, G., Cain, M., Misich, T., Carrington, V., & Smith, J. (2005). Developing lifelong learners in the middle years of schooling. Melbourne: Ministerial Council on Education, Employment and Youth Affairs. 

  21. Rosenholtz, S. (1989). Teachers'workplace: The social organization of schools. New York: Longman. 

  22. Sarason, S. (1990). The predictable failure of educational reform. San Francisco: Jossey-Bass. 

  23. Son, Y., Pottenger, F., King, A., Young, D., & Choi, D. (2001). Theory and practice of curriculum design for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231-254. 

  24. Visher, M. G., Emanuel, D., & Teitelbaum, P. (1999). Key high school reform strategies: An overview of research findings. Berkeley: MPR Associates, Inc. 

  25. Wallace, J., Sheffield, R., Rennie, L., & Venville, G., (2007) Looking back, looking forward: Re-searching the conditions for curriculum integration in the middle years of schooling. The Australian Educational Researcher, 34(2), 29-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