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수업에서 구현된 두 과학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내용
The Contents of Practical Knowledge Realized in Two Science Teachers' Classes on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4, 2013년, pp.807 - 825  

김소정 (계산고등학교) ,  맹승호 (강원대학교) ,  차현정 (서울대학교) ,  김찬종 (서울대학교) ,  최승언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과정을 목적으로 설계된 수업을 실행한 두 과학 교사의 과학 수업에서 형성되었던 실천적 지식의 내용을 Elbaz가 제시한 실천적 지식의 5가지 내용 범주를 준거로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두 과학 교사의 과학 수업에 대한 참여 관찰 및 수업 촬영 비디오 자료를 바탕으로 행위 동안의 반성 과정 및 수업 후 면담에 반영된 교사들의 내러티브를 통한 행위에 대한 반성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두 과학 교사의 수업 실행 과정에서 학생들이 과학적인 모델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비계를 제공할 때 교과내용 지식에 대한 실천적 지식이 발현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 교육 과정에 대한 교사의 지식이 어려운 과학 개념의 이해와 전달에서 주어진 학습 목표에 적절한 모델 형성으로 수업의 목표를 변화하는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3) 참여 교사의 교수법 지식의 실행은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수업의 의도에 맞추어 학생들의 모둠 활동과 모델 생성 활동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4) 교사의 자아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학생들이 모둠 활동을 통해 과학적 모델을 구성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으려면, 교사는 조력자, 안내자, 그리고 격려자로서 자신의 역할을 인식하고 변화된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5) 두 참여 교사의 학습 환경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각 모둠과 교사가 형성한 상호작용의 양상을 통해 발현되었으며, 두 교사는 함께 뛰는 운동 선수 또는 그라운드 옆의 코치와 같은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 모델 구성에 대한 영역 특이적 실천적 지식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wo scienc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shaped during their science classes which intend to realize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s.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was qualitatively examined in terms of five content categories defined by Elbaz through the refle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델이란 무엇인가?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이 과학 지식 구성 과정에 참여하는 것은, 과학자들이 자연 현상 그 자체 또는 현상이 발생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과학적 아이디어를 표상하는 방법으로서 모델을 만들어 활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과학 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이 직접 모델 구성 과정(modeling)에 참여하는 방식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Kahn, 2007; Schwarz & Gwekwerere, 2007). 모델이란 일반적으로 생각, 사물, 사건, 과정 또는 시스템을 구체적이고 시각적인 표상으로 나타낸 것(Gilbert & Boulter, 2003)을 말하는데, 과학 지식을 구성하기 위한 과학적 모델은 과학적 현상을 이해하거나 설명하기 위하여 그 현상을 그림이나 다이어 그램, 구체적인 복제품, 컴퓨터 시뮬레이션 및 수학적 표현 등으로 시각화하거나, 외현적으로 표상화한 개념적 모형을 말한다(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과학적 모델은 표상하고자 하는 과학적 현상을 완벽하게 재현하기보다는 중요한 특징이나 원리를 중심으로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과학 지식을 구성하기 위한 과학적 모델이란 무엇인가?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이 과학 지식 구성 과정에 참여하는 것은, 과학자들이 자연 현상 그 자체 또는 현상이 발생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과학적 아이디어를 표상하는 방법으로서 모델을 만들어 활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과학 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이 직접 모델 구성 과정(modeling)에 참여하는 방식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Kahn, 2007; Schwarz & Gwekwerere, 2007). 모델이란 일반적으로 생각, 사물, 사건, 과정 또는 시스템을 구체적이고 시각적인 표상으로 나타낸 것(Gilbert & Boulter, 2003)을 말하는데, 과학 지식을 구성하기 위한 과학적 모델은 과학적 현상을 이해하거나 설명하기 위하여 그 현상을 그림이나 다이어 그램, 구체적인 복제품, 컴퓨터 시뮬레이션 및 수학적 표현 등으로 시각화하거나, 외현적으로 표상화한 개념적 모형을 말한다(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과학적 모델은 표상하고자 하는 과학적 현상을 완벽하게 재현하기보다는 중요한 특징이나 원리를 중심으로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두 과학 교사의 과학 수업에 대한 참여 관찰 및 수업 촬영 비디오 자료를 바탕으로 행위 동안의 반성 과정 및 수업 후 면담에 반영된 교사들의 내러티브를 통한 행위에 대한 반성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 한 결과는? 이를 위해 두 과학 교사의 과학 수업에 대한 참여 관찰 및 수업 촬영 비디오 자료를 바탕으로 행위 동안의 반성 과정 및 수업 후 면담에 반영된 교사들의 내러티브를 통한 행위에 대한 반성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두 과학 교사의 수업 실행 과정에서 학생들이 과학적인 모델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비계를 제공할 때 교과내용 지식에 대한 실천적 지식이 발현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 교육 과정에 대한 교사의 지식이 어려운 과학 개념의 이해와 전달에서 주어진 학습 목표에 적절한 모델 형성으로 수업의 목표를 변화하는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3) 참여 교사의 교수법 지식의 실행은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수업의 의도에 맞추어 학생들의 모둠 활동과 모델 생성 활동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4) 교사의 자아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학생들이 모둠 활동을 통해 과학적 모델을 구성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으려면, 교사는 조력자, 안내자, 그리고 격려자로서 자신의 역할을 인식하고 변화된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5) 두 참여 교사의 학습 환경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각 모둠과 교사가 형성한 상호작용의 양상을 통해 발현되었으며, 두 교사는 함께 뛰는 운동 선수 또는 그라운드 옆의 코치와 같은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 모델 구성에 대한 영역 특이적 실천적 지식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은희, 김찬종, 최승언, 유준희, 박현주, 이신영, 김희백 (2012). 심장 혈액 흐름의 모형 구성 과정에서 나타난 소집단 상호작용과 소집단 규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372-387. 

  2. 김영천 (2006). 질적방법연구론I. 서울: 문음사. 

  3. 유은정, 이선경, 최종림, 김찬종 (2010). 과학 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생애사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 971-987. 

  4. 이선경, 오필석, 김혜리, 이경호, 김찬종, 김희백(2009). 과학 교사의 교수내용지식과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 관점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27-57. 

  5. 이신영, 김찬종, 최승언, 유준희, 박현주, 강은희, 김희백 (2012). 소집단 상호작용에 따른 심장 내 혈액 흐름에 대한 소집단 모델 발달 유형과 추론 과정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805-822. 

  6. 조영미, 오필석 (2011). 과학 실험 수업에 과한 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구조'분석. 초등과학교육,30(2), 162-177. 

  7. 한혜진, 이선경, 김찬종, 이경호, 김희백, 오필석, 맹승호 (2009).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과학교사의 교수실행 변화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22-42. 

  8. 홍미화 (2006). 교사의 실천적 지식으로 읽은 초등 사회과 수업.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9. Clement, J. J. (2008). Creative model construction in scientists and students. Netherlands: Springer. 

  10. Cobb, P., Confrey, J., diSessa, A., Lehrer, R., & Schauble, L. (2003). Design experiments in educational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er, 32(1), 9 13. 

  11. Connelly , F. M., & Clandinin, D. J. (1990).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Educational Researcher, 19(5), 2-14. 

  12. Crawford, B., & Cullin, M. (2005). Dynamic assessments of preservice teachers'knowledge of models and modelling. Research and the Quality of Science Education, 6, 309-323. 

  13. Elbaz, F. (1981).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Report of a case study. Curriculum Inquiry, 11(1), 43-71. 

  14. Elbaz, F. (1983). Teacher thinking: A study of practical knowledge. New York: Nichols Publishing Company. 

  15. Eric, C., & Dias, M. (2005). Building the authority of experience in communities of practice: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practical knowledge through coteaching in inquiry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9, 470-491. 

  16. Feral, O, B. (2007). Effects of model based teaching on pre service physics teachers'conceptions of the moon, moon phases, and other lunar phenomen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5), 555-593. 

  17. Gilbert, J. K., & Boulter, C. J. (2003). Learning science through models and modelling. In B. J. Fraser & K. G. Tobin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pp. 53-66).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8. Gilbert, J. K., Pietrocola, M., Zylbersztajn, A., & Franco, C. (2000). Science and education: Notion of reality, theory, and model. In, J. K. Gilbert & C. J. Boulter (Eds.), Developing models in science education (pp. 19-40). Lond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 Halloun, I. A. (2006). Modeling theory in science education. Boston: Kluwer Academic. 

  20. Khan, S. (2007). Model-based inquiries in chemistry. Science Education, 91(6), 877-905. 

  21. Leinhardt, G., & Greeno, J.(1986). The cognitive skill of teach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2), 75-95. 

  22.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23.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Committee 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New K-12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4. Schon, D.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 York: Basic Books. 

  25. Schwarz, C. V., & White, B. Y. (2005). Meta modeling knowledge: Developing students'understanding of scientific modeling. Cognition and Instruction, 23(2), 165-205. 

  26. Schwarz, C., & Gwekwerere, T. (2007). Using a guided inquiry and modeling instructional framework to support preservice K-8 science teaching. Science Education, 91(1),158-1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