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격 습식 방사를 이용한 면 린터 기반 셀룰로스 재생 섬유 제조 및 평가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tton Linter Based Regenerated Cellulose Fiber by Dry Jet-wet Spinning

한국섬유공학회지 =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v.50 no.1, 2013년, pp.25 - 34  

김익모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고분자섬유신소재학과) ,  유미경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정보.전자 신소재공학과) ,  김갑진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고분자섬유신소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viscose rayon process, Lyocell process using NMMO as a solvent provides a naturally-friendly, less toxic, relatively simple method for producing regenerated cellulose fiber with excellent properties. Existing wood pulp based Lyocell, however, shows some disadvantages s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없는 면린터 펄프를 셀룰로스 원료로 사용하고 기존 리오셀 섬유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재생 셀룰로스를 제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이때 목재 펄프도 함께 사용하여 기격 습식방사법으로 재생 셀룰로스 필라멘트 섬유를 다양한 방사조건으로 제조하여 펄프의 원료의 차이가 재생 셀룰로스 섬유의 구조 및 기계적 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면 린터 펄프와 목재 펄프 기반으로 기격습식방사법을 이용하여 재생 셀룰로스 섬유를 제조하고, 기격습식방사의 중요한 인자인 dope 농도 및 권취속도에 따른 재생 셀룰로스 섬유의 구조 및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 이 후로 셀룰로스 펄프의 종류에 따른 물성의 비교는 셀룰로스의 농도를 11 wt%로 하는 것에 국한하도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yocell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셀룰로스를 유도체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용해할 수 있는 직접용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99% 이상 회수되어 정제가 가능하면서 인체에 무해한 amine-oxide 계열의 용매로 N-methylmorpholineN-oxide(NMMO)를 이용한 Lyocell 섬유가 개발되었다[1,6-8]. Lyocell은 기격습식방사법(dry jet-wet spinning)으로 섬유가 방사되기 때문에 결정 및 비결정 영역의 고배향성과 높은 결정성의 특징 등을 가지므로 높은 건·습 인장강도를 나타낸다[3,4,9].
Lyocell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목재 펄프를 리오셀 섬유의 원료로 사용할 경우에는 목재의 생육기간이 길고, 벌목 후 산림 복구에 오랜 기간이 소요되므로 산림훼손이라는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목재 펄프 내의 α-셀룰로스 함량은 50~60% 정도로 낮고, 분자량이 낮아서 고강력 재생 셀룰로스 섬유 제조에 문제가 있다. 반면에 셀룰로스의 원료로 면화에서 면방적용 린트를 채취하고 남은 면 린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면은 1년생 작물로 생육기간이 짧아 자연환경 훼손이 없고, α-셀룰로스 함량이 95% 이상으로 순도가 높으며, 목재 펄프에 비하여 분자량이 높으므로 고강력 재생 셀룰로스의 제조까지 가능하다.
과거 셀룰로스를 다루는데 문제점은 무엇인가? 환경오염, 석유 화학 물질의 고갈 등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천연고분자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중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유기 천연 자원인 셀룰로스는 결정화도와 분자내부의 높은 수소결합으로 인하여 용융이 불가능하고, 일반적 용매에 쉽게 용해되지 않아 재생시키는데 어려운 문제를 갖고 있었다[1-3]. 그러나 다양한 용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재생 셀룰로스 섬유는 약 100년전 합성 섬유에 비하여 흡습성 및 대전방지성 등 인체에 적합한 우수한 비스코스 레이온이 상업화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홍영근, "신 셀룰로오스 섬유", 고분자과학과 기술, 1996, 7, 41-52. 

  2. H.-P. Fink, P. Weigel, H. J. Purz, and J. Ganster, "Structure Formation of Regenerated Cellulose Materials from NMMO-Solutions", Prog Polym Sci, 2001, 26, 1473-1524. 

  3. T. Rosenau, A. Potthast, H. Sixta, and P. Kosma, "The Chemistry of Side Reactions and Byproduct Formation in the System NMMO/cellulose (Lyocell process)", Prog Polym Sci, 2001, 26, 1763-1837. 

  4. B. H. Moon, S. K. Lim, T. W. Son, Y. M. Jeon, C. J. Yoon, and Y. S. Oh,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Regenerated Cellulose Fibers from MMNO/Water/Cellulose", J Korean Fiber Soc, 1997, 34, 477-488. 

  5. 김기수, "셀룰로오스와 라이오셀(Lyocell) 섬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술동향분석보고서, 2003. 

  6. D. W. Chae, K. R. Choi, B. C. Kim, and Y. S. Oh, "Effect of Cellulose Pulp Type on the Mercerizing Behavior and Physical Properties of Lyocell Fibers", Text Res J, 2003, 73, 541-545. 

  7. K. E. Perepelkin, "Lyocell Fibres Based on Direct Dissolution of Cellulose in N-methylmorpholine N-oxide: Development and Prospects", Fibre Chem, 2007, 39, 163-172. 

  8. D. Loubinoux and S. Chaunis, "An Experimental Approach to Spinning New Cellulose Fibers with N-Methylmorpholine-Oxide as a Solvent", Text Res J, 1987, 57, 61-65. 

  9. E. Borbely, "Lyocell, the New Generation of Regenerated Cellulose", Acta Polytechnica Hungarica, 2008, 5, 11-18. 

  10. 김갑진, "광학현미경에 의한 섬유 및 필름의 굴절률 및 복굴절률 측정", 한국섬유공학회지, 1984, 21, 59-79. 

  11. W. Udomkichdecha and S. Chiarakorn, "Factors to Predict the Fibrillation Tendency of Lyocell Fibers", J Sci Res Chula Univ, 2001, 26, 49-56. 

  12. S. Park, J. O. Baker, M. E. Himmel, P. A. Parilla, and D. K. Johnson, "Cellulose Crystallinity Index: Measurement Techniques and Their Impact on Interpreting Cellulase Performance", Biotechnol Biofuels, 2010, 3, 1-10. 

  13. H. S. Paek, J. S. Park, S. M. Jo, W. S. Lee, and K. J. Kim, "The Effects of Preparation Conditions of Cellulose/NMMO (N-Methylmorpholine N-Oxide) Solutions on Physical Properties of Fibers", J Korean Fiber Soc, 1993, 30, 569-577. 

  14. Y. J. Jung, B. J. An, H. S. Kim, H. W. Choi, E. P. Lee, J. H. Lee, H. D. Kim, S. M. Park, and S. D. Kim,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Regenerated Composite Fibers Made from Styela Clava Tunics/PVA Blending(II)", J Korean Soc Dyers Finishers, 2008, 20, 31-38. 

  15. P. H. Hermans, "Degree of Lateral Order in Various Rayons as Deduced from X-ray Measurements", J Polym Sci, 1949, 4, 145-151. 

  16. R. Ibbett, J. Taylor, K. C. Schuster, and M. Cox, "Interpretation of Relaxation and Swelling Phenomena in Lyocell Regenerated Cellulosic Fibres and Textiles Associated with the Uptake of Solutions of Sodium Hydroxide", Cellulose, 2008, 15, 393-406. 

  17. Y. J. Jung, B. J. An, H. S. Kim, H. W. Choi, E. P. Lee, J. H. Lee, H. D. Kim, S. M. Park, and S. D. Kim,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Regenerated Composite Fibers Made from Styela Clava Tunics/PVA Blending(I)", J Korean Soc Dyers Finishers, 2008, 20, 1-8. 

  18. F. Carrillo, X. Colom, J. J. Sunol, and J. Saurina, "Structural FTIR Analysis and Thermal Characterisation of Lyocell and Viscose-type Fibres", Eur Polym J, 2004, 40, 2229-2234. 

  19. M. L. Nelson and R. T. O'Connor, "Relation of Certain Infrared Bands to Cellulose Crystallinity and Crystal Lattice Type. Part I. Spectra of Lattice Types I, 11, I11 and of Amorphous Cellulose", J Appl Polym Sci, 1964, 8, 1311-1324. 

  20. Y. Kataoka and T. Kondo, "FT-IR Microscopic Analysis of Changing Cellulose Crystalline Structure during Wood Cell Wall Formation", Macromolecules, 1998, 31, 760-764. 

  21. A. C. O'Sullivan, "Cellulose: The Structure Slowly Unravels", Cellulose, 1997, 4, 173-2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