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간과 대도시 화물자동차 통행발생 특성 비교
The Comparison Between Regional and Urban Truck Movement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3 no.4, 2013년, pp.1559 - 1569  

한진석 (한국교통연구원 국가교통DB센터) ,  박민철 (한국교통연구원 국가교통DB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적 범위에 따른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 특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지역간 및 대도시 화물수요모형 추정의 차이점을 도출하고 지역적 범위에 적합한 화물수요모형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역간 및 대도시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화물자동차 속성, 출발지 특성, 도착지 특성, 적재품목을 고려한 서열로짓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다양한 특성이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간 화물자동차와 대도시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 특성은 화물자동차 속성, 출발지 특성, 도착지 특성, 적재품목에서 모두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간 화물자동차는 대도시와 달리 출발지 및 도착지 유형이 제조업이고, 출발지 및 도착지의 산업단지 생산액이 클수록 통행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deduct the difference between regional and urban commercial trip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and urban truck movements. To achieve thi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ruck trips and various truck generation attributes such as truck attrib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별 화물자동차의 속성, 출발지 존 유형 및 특성, 도착지 존 유형 및 특성, 그리고 적재품목 유형 등 다양한 관점에서 지역적 범위에 따른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가지려 노력하였으며, 이와 같이 지역적 범위에 따라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 특성이 상이함을 제시하는 것은 현재 국내에서 적용하는 화물통행수요 추정 방법론의 개선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화물자동차 통행수요 추정시 지역적 범위에 적합한 화물자동차의 통행 특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본 연구에서는 통행발생 측면에서 화물자동차의 통행수요 추정시 반영되어야 할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 특성은 화물자동차의 1일 총 통행수를 기준으로 검토하였으며, 해당 요인들에 대한 영향력을 지역간과 대도시로 구분하여 검토함으로써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 특성은 지역적 범위에 따라 상이하게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화물자동차 속성, 출발지 존 유형 및 특성, 도착지존 유형 및 특성, 그리고 적재품목 유형이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에 미치는 영향력을 지역간과 대도시로 구분하여 각각 검토하기 위하여,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모형을 지역적 범위에 따라 각각 구축하여 추정하였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화물자동차 통행수요 추정시 지역적 범위에 적합한 화물자동차의 통행 특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본 연구에서는 통행발생 측면에서 화물자동차의 통행수요 추정시 반영되어야 할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 특성은 화물자동차의 1일 총 통행수를 기준으로 검토하였으며, 해당 요인들에 대한 영향력을 지역간과 대도시로 구분하여 검토함으로써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 특성은 지역적 범위에 따라 상이하게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 국내의 경우 최창호(2003)는 1997년 제1차 물류현황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물동량 O/D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화물자동차의 평균 적재율을 도시내와 지역간 각각에 대해 산정하였다. 해당 연구에서는 도시내 화물자동차 통행과 지역간 화물자동차 통행의 통행량 구성비 분포, 통행거리 분포 대비 운송되는 화물중량의 분포, 운송업종별 통행분포 등을 비교함으로써 도시내와 지역간 화물자동차의 통행특성이 상이함을 검토하였다. 성홍모 외(2008)는 2005년 화물자동차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간과 대도시에 대한 화물자동차의 통행행태를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의 분포 가정에 따라 서열프로빗모형과 서열로짓모형이 구분된다. 서열프로빗모형의 오차항은 평균이 0이고 분산이 1인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며, 서열로짓모형의 오차항은 평균이 0인 로지스틱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서열이산선택모형 중 서열로짓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지역간과 대도시의 화물자동차 통행수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의 유형에 따라 구축된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모형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이산적(discrete)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별 화물자동차의 속성, 출발지 존 유형 및 특성, 도착지 존 유형 및 특성, 그리고 적재품목 유형 등 다양한 관점에서 지역적 범위에 따른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가지려 노력하였으며, 이와 같이 지역적 범위에 따라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 특성이 상이함을 제시하는 것은 현재 국내에서 적용하는 화물통행수요 추정 방법론의 개선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화물에 대한 분석존별 유형(생산지, 중간경유지, 소비지 등)을 별도로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 존 유형 및 특성과 도착지 존 유형 및 특성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물통행수요는 어떻게 활용되어 지는가? 화물통행수요는 지역간 화물과 대도시(특별시, 광역시) 화물로 구분되어 추정되며, 추정결과는 여객통행수요와 함께 교통물류 SOC 사업의 평가와 각종 교통정책의 타당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또한 화물통행수요는 지역적 범위에 따라 대규모 국가사업에 활용되는 지역간 화물통행수요와 수도권을 포함한 광역시의 교통물류정책을 위한 대도시 화물통행수요로 구분할 수 있는 동시에, 추정결과에 따라 물동량 통행수요와 화물자동차 통행수요로 구분할 수 있다.
화물통행수요 모형의 한계는 무엇인가? 현재 국내의 화물통행수요 추정 방법론과 결과의 활용은 모두 국가차원의 지역간 물류활동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특히 화물자동차 통행수요는 지역간 화물통행수요 추정에 적합한 물동량 기반의 화물수요모형을 기반으로 산출된다. 그러나 물동량 기반의 화물수요모형은 화물의 특성(품목별 속성 등)은 고려할 수 있으나, 화물자동차의 특성(업종, 톤급별 통행유형 등)은 충분하게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Holguín-Veras, 2002).
화물통행수요는 추정결과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화물통행수요는 지역간 화물과 대도시(특별시, 광역시) 화물로 구분되어 추정되며, 추정결과는 여객통행수요와 함께 교통물류 SOC 사업의 평가와 각종 교통정책의 타당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또한 화물통행수요는 지역적 범위에 따라 대규모 국가사업에 활용되는 지역간 화물통행수요와 수도권을 포함한 광역시의 교통물류정책을 위한 대도시 화물통행수요로 구분할 수 있는 동시에, 추정결과에 따라 물동량 통행수요와 화물자동차 통행수요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국내의 화물통행수요 추정 방법론과 결과의 활용은 모두 국가차원의 지역간 물류활동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특히 화물자동차 통행수요는 지역간 화물통행수요 추정에 적합한 물동량 기반의 화물수요모형을 기반으로 산출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atterjee, A. (2004). "Freight transportation planning for urban areas." Institute of Transportation Engineers, ITE Journals, 74(12), pp. 20-24. 

  2. Choi, C. H. (2003). "Estimation of vehicle loading rates for commodity based models based on urban and regional truck trip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3, No. 2, pp. 147-158 (in Korean). 

  3. Greene, W. H. (1990). Econometric analysis, Macmillan. 

  4. Holguin-Veras, J. (2002). "Revealed preference analysis of the commercial vehicle choice proces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ASCE, Vol. 28, No. 4, pp. 336-346 (in Korean). 

  5. Holguin-Veras, J. and Patil, G. R. (2005). "Observed trip chain behavior of commercial vehicles."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1906, pp. 74-80. 

  6. Hunt, J. D. and Stefan, K. J. (2007). Tour-based microsimulation of urban commercial movement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41, pp. 981-1013. 

  7. Joh, C. H., Kim, C. S. and Seong, H. M. (2008). "An activity-based analysis of heavy-vehicle trip chains."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ol. 11, No. 2, pp. 192-202 (in Korean). 

  8. Kim, H. S., Park, D. J., Kim, C. S., Choi, C. H. and Kim, G. S. (2010). "An analysis of choice behavior for tour type of commercial vehicle using decision tree." Journal of Korean Society Transportation, Vol. 28, No. 6, pp. 43-54 (in Korean). 

  9. Park, M. C., Hahn, J. S. and Seong, H. M. (2011). Estimation methods of urban freight travel demand,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in Korean). 

  10. Raothanachonkun, P., Sano, K., Wisetjindawat, W. and Matsumoto, S. (2007). "Estimation truck trip origin-destination with commoditybased and empty trip models."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2008,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the National Academies, Washington, D.C., pp. 43-50. 

  11. Seong, H. M., Kim, C. S. and Shin, S. J. (2008). "An analysis on truck trip chain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Transportation, Vol. 26, No. 5, pp. 7-16 (in Korean). 

  12. Sorratini, J. A. and Smith Jr, R. L. (2000). "Development of a statewide truck trip forecasting model based on commodity flows and input-output coefficients."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1707, pp. 49-55. 

  13. Statistics Korea, http://kostat.go.kr (in Korean). 

  14. Stefan, K. J., Hunt, J. D., McMillan, J. D. P. and Farhan, A. (2007). "Development of a fleet allocator model for calgary." Canada,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1994,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the National Academies, Washington, D.C., pp. 89-93. 

  15.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06). National transportation database in 2005: Freight O/D Survey on the National A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