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여대생의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 인지가 한국 패션브랜드 인지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orean National Image on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s Korean Fashion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7 no.4, 2013년, pp.439 - 451  

임현경 (가천대학교 의상학과) ,  이정우 (가천대학교 의상학과) ,  김미영 (가천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use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as subjects to classify the components of the Korean national image as well as understand the recognition difference of country image factors and Korean fashion images; in addition, it examined the differences of the effect of Korean national image f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국가이미지가 상품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먼저 Lee(1985)의 연구에서는 제조국 이미지가 상품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
  • 그러나 국가이미지를 형성하는 중 심속성은 이미지를 형성하는 대상인 국가의 특성에 따 라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Scott, 196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이미지가 한국의 패션브랜드 인지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먼저 한국 국가이미지의 구성요소들을 다양한 속성의 차원으로 분석해 내고자 한다.
  • 이상의 선행연구를 통해서 국가이미지는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국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국의 국가이미지 요인이 한국 패션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국제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한국의 국가이미지 요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중국에서 중요한 소비계층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 요인들을 도출하고, 도출된 한국 국가이미지 요인들간의 인지도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도출된 한 국의 국가이미지 요인들이 한국 패션브랜드 인지도와 한국 패션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한국 패션상품에 대해 우호적인 영향을 끌어낼 수 있는 한국의 국가이미지 요인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부가적인 관심으로 중국 여대생들이 선호하는 한국의 패션브랜드와 구매의도가 있는 패션브랜드도 조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국 시장의 주요 소비층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국 국가이미지의 구성차원을 밝히고, 한국 국가 이미지 요인의 인지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의 국가이미지가 한국 패션인지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밝혔다. 부가적인 관심으로 선호하는 한국 패션브랜드와 구매의도가 있는 한국 패션브랜드들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중국 시장의 주요 소비층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국 국가이미지의 구성차원을 밝히고, 한국 국가 이미지 요인의 인지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의 국가이미지가 한국 패션인지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밝혔다.
  • 또한, 한국의 국가이미지가 한국 패션인지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밝혔다. 부가적인 관심으로 선호하는 한국 패션브랜드와 구매의도가 있는 한국 패션브랜드들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부가적인 관심으로 중국 여대생들이 선호하는 한국 패션브랜드와 구매의도가 있는 한국 패션브랜드를 조사하였다
  • 또한 도출된 한 국의 국가이미지 요인들이 한국 패션브랜드 인지도와 한국 패션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한국 패션상품에 대해 우호적인 영향을 끌어낼 수 있는 한국의 국가이미지 요인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부가적인 관심으로 중국 여대생들이 선호하는 한국의 패션브랜드와 구매의도가 있는 패션브랜드도 조사하고자 한다.
  • 그러나 국가이미지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다차원적인 국가이미지 속성과 한국 패션상품에 대한 태도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중국에서 중요한 소비계층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 요인들을 도출하고, 도출된 한국 국가이미지 요인들간의 인지도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도출된 한 국의 국가이미지 요인들이 한국 패션브랜드 인지도와 한국 패션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한국 패션상품에 대해 우호적인 영향을 끌어낼 수 있는 한국의 국가이미지 요인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이미지는 소비자의 어떤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가? 국가이미지에 대한 연구는 원산지 효과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특정 국가의 구성이미지가 상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이어져 왔다(Heslop & Papadopoulos, 2000; Schooler, 1965; Wang & Lamb, 1983). 또한 국가이미지의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에서는 국가이미지가 소비자의 상품품질 지각, 구매의도, 상품평가, 상품 및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다양한 결과를 제시하기도 했다(Bilkey & Nes, 1982; Han & Terpstra, 1988). 특히 우리나라 패션브랜드들의 해외진출이 활발해진 이후, 외국인을 대상으로 국가이미지가 패션 제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Hong, 2010; Xu, 2011).
국가이미지란 무엇인가? 국가이미지란 국제사회에서 인식되는 한 나라의 이 미지로(Mun, 2011), 특정 국가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기 술적, 추론적, 정보적 차원에 대한 신념의 총합을 말한 다(Martin & Eroglu, 1993). 즉, 사람들이 어떤 대상에 대 해 경험한 여러 정보를 종합해서 만들어낸 심상으로, 대 상에 대한 경험과 정보를 바탕으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 다.
한류의 파급 효과가 한국 패션 상품 구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되는 이유는 어떤 연구 결과에 기인한 것인가? 결과를 살펴보면, 국가이미지에대한 6개의 요인들 중 ‘문화 · 사회’의 영향력이 가장 크고 다음은 ‘상품’, ‘정 치’, ‘스포츠’ 요인의 순으로 한국 패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 ‘기술’ 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l-Sulaiti, K. I., & Baker, M. J. (1998). Country-of-origin effects: A literature review. Marketing Intelligence & Planning, 16(3), 150-199. 

  2. An, J. S. (2005). The product quality perception and the purchasing behavior of Chinese consumers in the sports wear industry.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dustry Studies, 8(2), 35-59. 

  3. Bannister, J. P., & Saunders, J. A. (1978). UK consumers attitudes towards imports: The measurement of national stereotype image.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12(8), 562-570. 

  4. Bilkey, W. J., & Nes, E. (1982). Country of origin effects on product evaluation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13(1), 89-99. 

  5. Delong, M., Mingxin, B., Damhorst, M., Wu, J., Chao, H., & Li, M. (2004). Perception of US branded apparel in Shanghai.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8(2), 141-153. 

  6.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 (1990). Consumer behavior (6th ed.). Chicago: The Dryden Press. 

  7. Fashion and textile find new way in China. (2011, April 4). ITN News. Retrieved March 15, 2012, from http://www.itnk.co.kr 

  8. Gao, J. X. (2009). The impact of Korean country image type and brand awareness on the Chines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illa University, Busan. 

  9. Han, C. M., & Terpstra, V. (1988). Country of origin effects for uni-national and bi-national product.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19(2), 235-255. 

  10. Heslop, L., & Papadopoulos, N. (2000). Countries as brands Canadian products: An image problem. Ivey Business Journal, 65(2), 30-37. 

  11. Hong, L. (2010). The effect of national image of Korea on Chinese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12. Hsieh, M. H., Pan, S. L., & Setiono, R. (2004). Product, corporate, and country image dimensions and purchase behavior: A multicountry analysi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3), 251-270. 

  13. Hwang, B. Y. (1994). 미국 뉴욕타임즈 보도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1982년, 1992년, 1993년의 3개년간 보도의 내용분석 [The New York Times appeared in the United States to study the image of Korea: 1982, 1992, 1993, three years content analysis of new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4. Jin, E. W. (2012). The research of the formed on the client assets about Korean casual apparel brand of chinese foreign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5. Kelman, H. C. (1965). International behavior: a social-psychological analysis.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16. Keller, K. L. (2003).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2th ed.). NJ: Prentice-Hall, Inc. 

  17. Khang, H. K., Moon, H. J., & Yoon, J. W. (2007). A study on perceptions of images and cultural products of Korea by applying coorientation model. Advertising Research, (76), 9-28. 

  18. Kim, D. H. (2002). A study on the impact between hotel brand awareness and room sales productivity (Rev PA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eoul. 

  19. Kim, H. S. (2009). Evaluative criteria and brand preference by motivations for clothing purchases among Chinese female consumers.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0(1), 123-134. 

  20. Kim, J. E., & Park, G. S. (2004).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Hanliu phenomenon on the Chinese young generation's fashion sty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 154-164. 

  21. Kim, Y. K., Lee, C. H., & Sun, S. S. (2008). A study on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 a nation brand to the intentions of the nation's product purchase: Focusing on the Chinese Hallyu (Korean Wave).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16(2), 35-55. 

  22. Kim, Y. H. (2009a). A study on multilateral attribution of culture impacts on the image of country and product choice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Business Management, 28(2), 375-389. 

  23. Kim, Y. H. (2009b). Multilateral country attribution impacts on the image of Korea and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company's products: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of China. Management and Economy Review, 28(2), 7-26. 

  24. Kim, Y. S. (1999). 국가이미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review about national image]. 한국전통상학연구, 13 (2), 215-252. 

  25. Lee, C. S. (2007).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images and trust competitiveness toward Chinese consumer attitudes.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11(1), 29-49. 

  26. Lee, K. W. (1985). A study on use of national image for international adverti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7. Li, Z. G., Murray, L. W., & Scott, D. (2000). Global sourcing, multiple country-of-origin facets, and consumer reac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47(2), 121-133. 

  28. Liu, J. (2008). Study on Korean fashion brand attitude by Korean wave and fashion leadership of college women students in Chin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illa University, Busan. 

  29. Martin, I. M., & Eroglu, S. (1993). Measuring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Country imag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8(3), 191-210. 

  30. Mun, G. S. (2011). A study on entry strategies for world mar-ket of korean coporation by globalization of bland, focused on case approac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31. Nagashima, A. (1970). A comparison of Japanese and U.S. attitudes toward foreign products. Journal of Marketing, 34(1), 68-74. 

  32. Oh, M. Y., Park, J. M., & Jang, J. H. (2003). A study on factors of affecting country image.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4(1), 149-177. 

  33. Park, G. S. (1996). Cross-cultural communication and image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4(0), 53-68. 

  34. Presidential Council on Nation Branding. (2011). 문화한류를 통한 국가브랜드 맵 2011 [National brand map 2011 of Hanliu]. STORY OF KOREA. Retrieved March 15, 2012, from http://www.koreabrand.net 

  35. Roth, M. S., & Romeo, J. B. (1992). Matching product category and country image perceptions: A framework for managing country-of-origin effect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23(3), 477-497. 

  36. Schooler, R. D. (1965). Product bias in the central American common marke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4), 394-397. 

  37. Scott, W. A. (1965). Psychological and social correlates of international images: International behavior. New York: Holt. 

  38. Shin, H. C. (1999). 해외홍보 및 광고전략수립을 위한 '95-97'미국언론에 나타난 국가 이미지에 관한 고찰 [A study on national images appeared on major American news media from 1995 to 1997 for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 advertising strategy]. Advertising Research, 44(9), 65-88. 

  39. Stotlar, D. K. (1993). Sponsorship and the Olympic winter games. Sport Marketing Quarterly, 2(1), 35-43. 

  40. Su, S. (2010). The impact of country image on the Chines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8(1), 43-52. 

  41. Wang, C. K., & Lamb, C. W. (1983). The impact of selected environ-mental forces upon consumers willingness to buy foreign product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1(2), 71-84. 

  42. Xu, Y. Y. (2011). The effect of country image on brand personality, product evaluation and loyalty in Korea fashion brand-Focused on consumers of shanghai and shenya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43. Yang, W. D. (2010). Influences of south Korean popular cultures on preferences to and purchasing intentions on Korean fashion merchandise: Focusing on Dalian areas of Chin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44. Yoo, B., Donthu, N., & Lee, S. (2000). An examination of selected marketing mix elements and brand equity. Journal of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8(2), 195-211. 

  45. Yoon, S. H. (2006). The impacts of country image and brand personality on the Shanghai consumer's selection of Korean products. Journal of Korea Trade, 31(2), 263-282. 

  46. Zhang, N. (2010). An empirical study on hanliu's effect on the awareness, preference and loyalty of Korean apparel brand in Chin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47. Zhang, X. L.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of national image and product image of Korea on the Chinese consumer's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Tongmyong University, Bus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