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쇼 연출을 위한 패션모델들의 몰입 체험
The Flow Experience of Fashion Models' for Fashion Show Production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7 no.4, 2013년, pp.554 - 564  

유영준 (세종대학교 체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flow experience through the experiences related to fashion models' role performance; subsequentl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fashion models' flow experience could be divided into characteristics such as temporality, spatial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패션모델들의 역할 수행과 관련된 체험을 통해 몰입 체험의 특성과 의미를 밝혀 성공적인 패션쇼 연출에 도움이 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패션모델들의 몰입 체험은 각각 시간성, 공간성, 관계성, 신체성, 유희성 등의 특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 분류화된 주제들은 각각 몰입 체험의 특성으로서 시간성, 공간성, 관계성, 신체성, 유희성과 탁월한 역할 수행과 관련된 체험 등으로 의미개념화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참여자들을 의미부여 전문가로 유용하여 그들의 체험이 제대로 반영됐는지 살펴 진실성을 검증하였다. 개념화된 자료는 이후 탁월함이 발휘되는 완전한 순간에서의 의미와 그러한 국면에서 발휘되는 탁월함을 연출미로 특성화할 수 있었다.
  •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현상학적인 관점에서 패션 모델들의 몰입 체험의 특성과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즉, 이 연구의 목적은 시 · 공간적 인지, 타인과의 관계, 신체와 관련된 몰입 체험의 본질적 요소들과 몰입의 궁극적인 국면으로서 완전한 순간 등에 관해 수행된 현상학적 연구들을 바탕으로 현재 활동하고 있는 패션모델들 7인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패션쇼에서 그들이 역할 수행을 통해 경험하는 몰입 체험의 특성과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 이상과 같은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패션쇼에서 패션모델들의 역할 수행을 통해 경험하는 몰입 체험의 본질적 요소들로 밝혀진 시간, 공간, 신체 등과 관련된 체험과 타인과의 관계, 주어진 상황에서 느끼는 즐거움 등에 관한 체험, 그리고 탁월한 역할 수행이 발휘되는 완전한 순간에 관한 체험자료를 바탕으로 분류화-개념화-특성화의 자료분석을 통해 참여자들의 몰입 체험의 특성과 의미를 밝힘으로써, 패션모델들의 연기와 패션쇼의 연출력을 제고하여 성공적인 패션쇼를 연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즉, 이 연구의 목적은 시 · 공간적 인지, 타인과의 관계, 신체와 관련된 몰입 체험의 본질적 요소들과 몰입의 궁극적인 국면으로서 완전한 순간 등에 관해 수행된 현상학적 연구들을 바탕으로 현재 활동하고 있는 패션모델들 7인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패션쇼에서 그들이 역할 수행을 통해 경험하는 몰입 체험의 특성과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모델과 관련된 산업의 규모는 어느정도 인가? 패션모델과 관련된 산업의 규모는 8,000억 원에 이르며 지망생 또한 수 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Jung, 2008).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패션모델이 대중들에게 지속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성공적인 패션쇼를 연출하기 위해서 연출자가 하는 일은? 성공적인 패션쇼를 연출하기 위해서 연출자는 디자이너가 개발한 의상을 중심으로 무대, 조명, 음악, 효과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적절하게 배치한다. 이때 패션모델들은 패션쇼와 의상에 적절한 신체 움직임, 즉 워킹, 포즈, 턴 등의 연기 행위를 통해, 관객들에게 의상의 매력을 표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패션모델들의 몰입 체험은 각각 시간성, 공간성, 관계성, 신체성, 유희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몰입 체험의 특성은? 그 결과 패션모델들의 몰입 체험은 각각 시간성, 공간성, 관계성, 신체성, 유희성 등의 특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몰입 체험의 특성은 패션모델들이 패션쇼에서의 역할 수행을 단순한 일로써 보지 않고 재밌고 즐거운 것으로 느끼면서 적정 수준의 각성상태를 유지하여 역할에 완전히 몰두하여 주의집중하였을때 경험할 수 있는 주관적인 체험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Byrd-Bredbenner, C., Murray, J., & Schlussel, Y. (2005). Temporal changes in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idealized females and young women in general. Journal of Women & Health, 41(2), 13-29. 

  2. Csikszentmihalyi, M. (1977a). Play and intrinsic rewards.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13(3), 41-63. 

  3. Csikszentmihalyi, M. (1977b).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Jossey-bass. 

  4.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 Row. 

  5. Csikszentmihalyi, M. (2004).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I. S. Choi, Trans.). Seoul: Hanulim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in 1990) 

  6. Csikszentmihalyi, M., & Rathunde, K. (1992). The measurement of flow in everyday life: toward a theory of emergent motivation. Na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40, 57-97. 

  7. Choi, H. J., & Shin, Y. O. (2008). The effects of the components of a fashion show on viewing satisfactio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2(1), 45-61. 

  8. Choi, Y. J., & Lee, S. H. (2004). A perfect moment in modern dace: A phenomen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12(10), 381-400. 

  9. Gould, D., Jackson, S. A., & Finch, L. M. (1993). Life at the top: The experiences of U.S. national champion figure skaters. The Sport Psychologist, 7(4), 354-374. 

  10. Guba, E. G. (1981). Criteria for assessing the trustworthiness of naturalistic inquiries. 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Journal, 2, 75-91. 

  11. Han, S. H. (2004). Aesthetic contemplation on body, walking and pose of fashion mode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12. Hein, H. (1968). Play as an aesthetic in sport. British Journal of Aesthetics, 16, 197-213. 

  13. Higuchi, S. (1987). Sports aesthetics- Sports aesthtic exploration. Tokyo: Fumaido publication. 

  14. Huizinga, J. (1993).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 element in culture (Y. S. Kim, Trans.). Seoul: Kachi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in 1938) 

  15. Hwang, H. M. (1999). I'm a fashion show director, too. Seoul: Publication JungJu. 

  16. Inoue, S. (1984).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sport experi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17. Jung, E. A., & Son, S. Y. (2010). Labor experiences of fashion models in Korea: Acceptance of 'body project' and 'pro (fessional) spirit'.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26(3), 1-30. 

  18. Jung, J. W. (2006). The meaning and phenomenon of consumption culture for body in consumption society.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9(1), 83-101. 

  19. Jung, M. J. (2008, June 18). Ten thousands aspirants in model academy.department etc. Seoul economy. retireved January 31, 2013, from http://economy.hankooki.com/lpage/hotissue/200806/e2008061813525697010.htm 

  20. Kaelin, E. F. (1968). The well played game: Note toward an aesthetics of sport. Quest, 10, 119-131. 

  21. Kang, Y. W. (1996). A study on the experiential analysis of the competitive experience in spor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22. Kang, Y. W., Kim, P. S., Kim, Y. S., Park, L. H., & KIm, T. H. (2005). A qualitative study on the soccer coaching experience of youth soccer coache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4(6), 89-101. 

  23. Kernis, M. H. (1993). The roles of stability and level of selfesteem in psychological functioning. In R. F. Baumeister (Ed.), Sellf-esteem: The puzzle of low self-regard (Plenum series in social/clinical psychology) (pp. 167-182). New York: Plenum. 

  24. Kim, D. S. (2005). Woman power working. Seoul: Ries & book. 

  25. Kim, E. H. (2001). Feminie ideal and dress in the 20th century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2), 494-504. 

  26. Kim, H. H., & Kim, K. Y. (1999). Gender differences and developmental changes of adolescents' self-esteem.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7(5), 1-17. 

  27. Kim, H. M., Chun, B. K., & Han, H. W. (2012). The influence of sensation seeking of leisure dance participants on dance commitment and addiction to dance.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1(6), 469-478. 

  28. Kim, H. Y. (2004).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motivations and limitation to attend leisure sports and the fun of the spor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29. Kim, J. W., & Shin, S. W. (2001). An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on the fashion model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3(4), 313-322. 

  30. Kim, M. J., & Park, C. (2004). Model theory and practice. Seoul: Hunminsa. 

  31.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2005). Handbook of sport psychology. Seoul: rainbowbooks. 

  32. Kim, T. H. (2008). Phenomenological analysis for during golf game of LPGA.KLPGA play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33. Kostelanetz, R. (1973). Fanfare for TV football. Intellectual Digest, 3(12), 53-54. 

  34. Lee, S. H., & Lee, D. G. (2010). The aesthetic experience structure of the Kumdo's performer. Philosophy of movement.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17(4), 1-18. 

  35. Lee, S. S., & Oh, K. J. (2004). The effect of shaper and weight based self-evaluation and body dissatisfaction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3(1), 91-106. 

  36. Lim, I. S. (2004). The experience and intention of cosmetic surgery in the looks-discriminatory society.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20(1), 95-122. 

  37. MacAloon, J., Csikszentmihalyi, M., Harris, J. C., & Park, R. J. (1983). Deep play and the flow experience in rock climbing. In J. C. Harris & R. J. Park (Eds.), Play, games and sports in cultural contexts (pp. 361-384). Champaign, IL: Human Kinetics Publishers. 

  38. Mears, A. (2006, August). Relations of the catwalk: Gender, power, and economics in the fashion modeling marke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 of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Montreal. 

  39. Park, J. S. (2010). Fashion and power.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40. Park, S. H. (2003). Precedents and actecedents of flow in destination websites. Journal of Tourism & Leisure Research, 14(3), 229-247. 

  41. Shin, H. (2007). Sports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Seou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ress. 

  42. Song, J. A.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involvement and fashion leadership of fashion models and colleg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3(4), 323-329. 

  43. Stone, R. (1981). Of zen and the experience of moving. Quest, 33(1), 12. 

  44. Thomas, S. (1972). The perfect moment: An experiential sport aesthetic.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45. Warwick, A., & Cavallaro, D. (1998). Fashioning the frame: Boundaries, dress and the body. Oxford: Berg. 

  46. Yang, E. S., & Choi, S. I. (2009). Topmodel making. Seoul: Choongang books. 

  47. Yun, S. L., & Lee, J. J. (2001). A case study on fashion show stage setting.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1(1), 53-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