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0년대 초반부터 연안준설 사업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고, 기타 연안개발 사업과도 중첩되어 준설토의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주변해역에 대한 환경 영향이 심화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2011년 제출된 해역이용협의서 중 준설이 포함된 사업의 해수 및 해저 퇴적물에 대한 해양환경영향평가 현황을 파악하였다. 해양환경영향평가 항목 중 일반 항목들의 조사 비율은 대체로 높은 반면, 중금속 등 유해 물질의 경우에는 세부항목들 간 조사 비율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한편 중금속 분석 시 협의서 작성 지침에 따른 전처리 과정(완전 분해)과 분석 방법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다. 또한 작성 지침에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결과값에 대해 신뢰도 확보를 위한 검증(회수율 및 검출한계 산정) 수행 현황도 매우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로 인해 연안 준설 및 개발에 따른 주변 해양환경영향평가가 부실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해양 수질 및 퇴적물 환경에 대해 보다 엄정한 평가와 진단을 위해서는 협의서 작성에 관한 세부 지침의 보완이 요구되며, 해역이용협의 제도의 개선을 통해 정확한 해양환경영향평가가 수행되도록 협의서 작성지침의 준수 의무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early 2000s, demand for coastal dredging projects have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dredged sediments have showed the continuing marked increases through the multiple projects with other coastal development and constructions. As significant or potential degradation of marine env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준설관련 대상 사업 추진을 위한 해역이용협의 시 해양 수질 및 퇴적물 내 세부 환경영향 평가 항목들의 조사 시기와 분석 과정, 결과값 검증 등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여,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화된 분석과 측정이 수행되도록 보완책 및 세부지침 마련을 강구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정확한 분석 자료를 근거로 해역이용협의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최근 고시된 준설토의 재활용 또는 외해 투기 시, 기준 농도값과의 비교·평가를 위해 보완 및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해안선의 특징은? 우리나라는 국토 면적이 협소한 반면, 삼면이 바다와 접해 있어 해안선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1960년대 이후 임해 산업단지 조성, 항만 및 어항 개발, 그리고 인구 밀집으로 인한 상가 및 택지 개발 등이 준설과 매립을 수반하는 연안복합 개발사업 형식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Maeng, 2007; Kim et al.
준설 과정에서 가장 눈에 띄는 현상은? 준설 과정에서 가장 눈에 띄는 현상은 부유물질(Suspended solids: SS)의 일시적 농도 가중 및 확산에 의한 인위적인 탁도의 증가로써 지금까지는 이러한 부유사 확산의 범위를 예측하고 이를 저감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 데에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Lee et al., 2003).
오염 준설토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처리 방안에 대한 국내연구는? , 2004). 이에 따라 최근 국내에서도 준설토에 대한 해양 투기(Ocean dumping: Asterisk 8 in relation with Clause 2, Article 12 of Enforcement Regulation of Marine Environmental Management Act), 유효 활용(Beneficial use: Notification No. 2012-338 of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등을 위한 환경 기준을 수립하여, 정밀한 분석과 엄정한 평가를 통해 적절한 준설토 처리 방안이 이행되도록 유도하고 있다(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ovelli, S., J. Faganeli, C. De Vittor, S. Predonzanani, A. Acquavita and M. Horvat(2008), Benthic fluxes of mercury species in a lagoon environment (Grado Lagoon, Northern Adriatic Sea, Italy). Applied Geochemistry, Vol. 23, pp. 529-546. 

  2. Craft, C. B., E. D. Ceneca and S. W. Broome(1991), Loss on ignition and Kjeldahl digestion for estimating organic carbon and total nitrogen in estuarine marsh soils: Calibration with dry combustion. Estuaries, Vol. 14, No. 2, pp. 175-179. 

  3. Erftemeijer, P. L. A. and R. R. R. Lewis III(2006), Environmental impacts of dredging on seagrasses: A review.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52, pp. 1553-1572. 

  4. Gonneea, M. E., A. Paytan and J. A. Herrera-Silveira(2004), Tracing organic matter sources and carbon burial in mangrove sediments over the past 160 year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 61, pp. 211-227. 

  5. Han, S. K., J. Y. Park and M. H. Lee(2005), A study on distribution property of organic pollutants in southwest coastal waters.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Vol. 14, No. 6, pp. 597-603. 

  6. Heiskanen, A. S and A. Keck(1996), Distribution and sinking rates of phytoplankton, detritus, and particulate biogenic silica in the Laptev Sea and Lena River (Arctic Siberia). Marine Chemistry, Vol. 53, pp. 229-245. 

  7. Hirota, J. and J. P. Szyper(1975), Separation of total particulate carbon into inorganic and organic components.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20, No. 5, pp. 896-900. 

  8. Hong, J. T., B. S. Na, J. Y. Kim, Y. K. Koh, S. T. Youn, S. E. Shin, H. G. Kim, B. C. Moon and K. H. Oh(2007), Sedimentary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impact of sediments in Tamjin River and Doam Bay.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16, No. 6, pp. 393-405. 

  9. Kang, M. G. and Y. C. Choi(2003), The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and surface sediment of C, N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in summ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6, No. 4, pp. 13-23. 

  10. Kim, G. Y., D. I. Lee, K. A. Jeon, K. H. Eom and Y. S. Woo(2009), Diagnosis for review of statement and system improvements of consultation on the coastal area utiliz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5, No. 4, pp. 345-354. 

  11. Kim, J. H., Y. K. Oh and B. Y. Park(1999), Residue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in the coastal environment on the Ch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Vol. 8, No. 4, pp. 503-507. 

  12. Kim, K. H., S. K. Son, J. W. Son and S. J. Ju(2006), Methodological comparison of the quantification of total carbon and organic carbon in marine sedi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9, No. 4, pp. 235-242. 

  13.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2000-2011), Korea Ocean Observing and Forecasting System (KOOFS), http://www. khoa.go.kr/koofs/. 

  14. Kwon, Y. T.(2004), Evaluation of heavy metals content in the shellfish and sediment on the dumping site of dredged sediment.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Kyungnam Univ., Vol. 27, pp. 17-32. 

  15. Lee, C. W., Y. T. Kwon and J. H. Yun(2004), Development of Dredging index for the rationall remediation of polluted coastal sedi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7, No. 2, pp. 70-74. 

  16. Lee, D. I., D. S. Park, K. H. Eom, G. Y. Kim, H. S. Cho, J. K. Kim, Y. K. Seo and G. W. Baeck(2009), Improvement of the marine environmental assessment for dredging and ocean disposal of coastal sediment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18, No. 3, pp. 131-141. 

  17. Lee, J. W., J. H. Maeng, K. W. Cho, G. W. Yang and Y. S. Kim(2003),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olid(SS) in harbor construction(II) - The Landfill construction and the grab dredging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6, No. 2, pp. 46-53. 

  18. Lim, D. I., J. Y. Choi, H. S. Jung, H. W. Choi and Y. O. Kim(2007a), National background level analysi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Korean coastal sediments.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29, No. 4, pp. 379-389. 

  19. Lim, D. I., J. Y. Choi, H. S. Jung, K. C. Rho and K. S. Ahn(2007b), Recent sediment accumulation and origin of shelf mud deposits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Progress in Oceanography, Vol. 73, pp. 145-159. 

  20. Maeng, J. H.(2007), Mitigation plan on adverse environmental impacts due to reclamation and dredging projects in the sea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7, No. 3, pp. 31-38. 

  21.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2012a), Guidelines for Practitioners on the System of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s, pp. 177-198. 

  22.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2012b), Operation of the Appraisal Authority to Assess Environmental Impacts on the Sea Area Utilization in the Year 2011, pp. 6-40. 

  23.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2007), Criteria Establishment for Decontamination and Beneficial Use of Dredged Sediments (Final research report), pp. 327-349. 

  24. Moon, H. B., K. Kannan, H. G. Choi, Y. R. An and S. G. Choi(2010), Concentrations and accumulation features of PCDDs, PCDFs and dioxin-like PCBs in cetaceans from Korean coastal waters. Chemosphere, Vol. 79, pp. 733-739. 

  25.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2012), Marine Environmental Management Act, http://www.law.go.kr/. 

  26. Oh, D. Y., K. K. Choi, I. A. Huh, I. S. Hwang, Y. H. Kim, J. Hur, H. S. Shin, J. E. Oh, W. S. Shin and J. H. Park(2011), Correlation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between total digestion and aqua regia digestion for sediments from Yeongsan and Seomjin watershe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33, No. 1, pp. 32-38. 

  27. Park, J. T.(2008), "A study on compositions for aggregation utilization of marine sediments (dredged material) in major harbors", Master's Thesis, Kwongwoon Univ., Seoul, pp. 23-40. 

  28. Park, M. G., S. R. Yang, J. H. Shim, C. S. Chung, G. H. Hong, S. J. Bae and D. B. Yang(2002), Is nitrogen uptake rate by phytoplankton below the euphotic zone in the Yellow Sea considerab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7, No. 2, pp. 60-67. 

  29. Poole, H. N. and W. R. G. Atkins(1929), Photo-electric measurement of submarine illumination throughout the year. Journal of the Marine Biololgical Association of the U.K., Vol. 16, pp. 297-324. 

  30. Son, J. W., Y. C. Park and H. J. Lee(2003), Characteristics of total organic carbon and chemical oxygen demand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8, No. 3, pp. 317-326. 

  31. Um, I. K., D. L. Lim, M. K. Lee, S. K. Jeon and H. S. Jung(2003), Spatial variability and contents of metals in the surficial sediments of Youngil Bay, East Coast of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24, No. 5, pp. 477-490. 

  32. Yim, U. H., S. H. Hong and W. J. Shim(2007),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Hs in sediments from the marine environment of Korea. Chemosphere, Vol. 68, pp. 85-92. 

  33. Yoon, G. L. and W. S. Jeong(2008), Assessment of contamination of Harbor dredged materials for beneficial use.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24, No. 5, pp. 15-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