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중 황해거버넌스에 관한 고찰
A Consideration on Yellow Sea Governance of Korea and China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19 no.2 = no.55, 2013년, pp.186 - 192  

조동오 (한국해양대학교) ,  주현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황해(Yellow Sea)는 평균수심(44 m)이 낮고 한국과 중국연안에 넓은 갯벌이 있어서 1차 생산성(>300 $gC/m^2/year$)이 매우 높아 수산자원 등 해양생물자원이 풍부한 생태물리환경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황해는 중국대륙과 한반도로 둘러싸인 반폐쇄해역(49만$km^2$)의 광역해양생태계로서 오염 및 남획 등에 의한 외부충격이 심할 경우 생태계의 균형이 파괴되고 회복이 불가능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최근 한 중간 어업협정 이후 중국 어민의 남획 및 불법조업 그리고 한 중 연안의 과도한 개발로 인한 환경피해로 황해생태계에 심각한 충격이 가해지고 있다. 본 논문은 한 중 황해거버넌스의 주요 구성요소인 이해당사자, 법률 및 제도, 정부조직 및 정책을 고찰하고 한 중 황해국제협력인 황해광역생태계보전사업(YSLME), 북서태평양보전실천계획(NOWPAP), 한 중황해환경공동조사사업의 평가를 통해 황해의 이용 및 개발압력의 지속적 증가에 대처하는 통합적 거버넌스체계의 구축을 제안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cause of the shallow depth of 44 m and large area of wetland in Korea and China, the class I productivity of Yellow Sea is very high (>300 $gC/m^2/year$), which is supporting substantial populations of fish, invertebrates, marine mammals and seabirds. However, the Yellow Sea is a larg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고에서는 황해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한·중의 개별 황해거버넌스와 황해국제협력체제의 거버넌스를 평가한다. 또한 해양거버넌스에서 강조되는 통합 또는 유기성 확보의 필요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 본 고에서는 관리능력에 대한 평가를 기준으로 한·중의 해양거버넌스를 비교·고찰하고자 한다.
  • 본 법률은 해양관련 개별법률들의 최상위 기본법으로서 해양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본 법의 원칙과 근거 하에 개별법률들이 제·개정되고 있다.
  • 본 사업은 생태환경과 인문환경이 유사한 양국이 해양환경과 수산자원의 보전이라는 동일한 목적으로 만들어낸 공동거버넌스로, 수산자원, 오염, 생태계, 생물다양성, 투자정책 등 5개 분과별 사업을 추진했다. 본 사업은 황해에 대해 한·중 양국이 공동의 진단을 시행하고 정량적인 정보를 공유한 점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MLTM, 2009a).
  • 본 연구에서는 황해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한·중 황해거버넌스를 관리능력을 기준으로 고찰하고, 통합적 거버넌스 관점에서 한·중 황해국제협력을 살펴보았다.
  • 황해거버넌스의 주요 이해당사자는 황해의 지속가능개발을 관리하는 정부(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황해를 터전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계(어선업, 양식업, 연안관광업, 염전업, 해양에너지, 석유가스, 해양생명공학 등), 황해에 거주하는 연안주민 및 어민, 황해를 연구하는 학계, 황해의 보전을 위한 일반시민단체(NGO) 등이다. 본고에서는 이해당사자들이 황해의 이용과 보전에 어떻게 행동하고, 또한 어떠한 이해관계를 형성하고 있는가에 대해 고찰한다. 관련 법률 및 제도는 황해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정책수립 및 집행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와 정책의 중복 및 사각지대 등 비효율성의 정도를 분석한다.
  • 본고에서는 황해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한·중의 개별 황해거버넌스와 황해국제협력체제의 거버넌스를 평가한다.
  • 한·중 양국은 황해의 지속가능한 개발과 이용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공유하기 위해 양자간 또는 주변국과 다양한 국제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있는바, YSLME, NOWPAP, 한·중황해환경공동조사사업 등의 대표적인 사업에 대한 고찰과 평가를 하기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해의 환경과 수산자원측면의 현재 상태는 어떠한가? 그러나 황해를 공유하고 있는 중국의 황해연안 및 한국의 서해안에는 많은 인구(약 6억명)가 거주하고 매립 및 육상오염물질의 유입으로 황해환경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으며 남획 및 치어 어획 등으로 수산자원도 고갈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황해가 가지는 생태·인문학적 가치를 보존하고 지속가능한 이용과 개발을 도모하고자 하는 황해 이용자의 공통된 인식이 형성되고 있다.
해양거버넌스란 무엇인가? 해양거버넌스는 해양과 관련된 특정한 목표나 지향점에 도달하기 위해 유기적으로 구축된 정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은 요소들의 네트워크 체제로 볼 수 있다.
해양거버넌스를 평가하는 방법은 크게 세가지로 구분되는데, 각각은 무엇을 대상으로 하는가? , 1999). 정책결과의 평가는 주로 해양정책이 해양자원 및 이해당사자에게 미친 영향이 그 대상이 되며, 정책수행의 평가는 정책수행의 정도와 정책목표의 달성정도를 강조한다. 관리능력의 평가는 관리구조와 과정의 적절성을 주요 대상으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 D. O.(2006), Evaluation of the ocean governance system in Korea. Marine Policy, Vol. 30, pp. 570-579. 

  2. Cho, Dong-Oh and Dong-Hyun Choi(2006), Governance Analysis of YSLME: Korea's Case. UNDP/GEF/YS/RWG-I.3/inf.1 rev.2. Date: 21 August 2006, pp. 51-87. 

  3. Cicin-Sain, B.(1993),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Ocean and Coastal Management, Vol. 21, pp. 11-43. 

  4. Jacques, P. and Z. A. Smith(2003), Ocean Politics and Policy. Santa Barbara: ABC-CLIO. p. 15. 

  5. Juda, L.(1999), Considerations in developing a functional approach to the governance of large marine ecosystems, Ocean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Law, Vol. 30, pp. 89-125. 

  6. Kenchington, R. and D. Crawford(1993), On the meaning of integration in coastal zone management. Ocean & Coastal Management, Vol. 21, pp. 109-127. 

  7. Kim, S. G.(2012), The impact of institutional arrangement on ocean governance: International trends and the case of Korea, Ocean & Coastal Management, Vol. 64, pp. 47-55. 

  8. MLTM(2009a), The study on establishment for national strategic plan of YSLME, pp. 19-25. 

  9. MLTM(2009b), Long-term strategie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marine environment project, p. 40. 

  10. MLTM, MSF, MEST, MOFAT, MOU, MND, MPAS, MCTS, MFAFF, MKE, ME, MOEL, KMA and KCG(2010), 2nd Basic Plan for Ocean and Fishery Development(2011-2020), pp. 66-68. 

  11. Olsen, S. B., K. Lowry and J. Tobey(1999), The Common Methodology for Learning: A Manual for Assessing Progress in Coastal Management. Coastal Resources Center, University of Rhode Island, p. 20. 

  12. SOA(2012), Bulletin of China's Ocean Environmental Statistics for the year of 2011, p. 5. 

  13. SOA(2013), Bulletin of China's Ocean Economic Statistics for the year of 2012, p. 3. 

  14. Underdal, A.(1980), Integrated marine policy - What? Why? How? Marine Policy, Vol. 4, pp. 159-169. 

  15. Wescott, G.(2000), The development and initial implementation of Australia's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Oceans Policy. Ocean & Coastal Management, Vol. 43, pp. 853-878. 

  16. Xu, X.(2006), Report on Governance Analysis of the Yellow Sea. UNDP/GEF/YS/RWG-I.3/inf.1 rev.2. Date: 21 August 2006, p. 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