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남 일부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과 위생관리 수행도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anitary Knowledge and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Gyeongnam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7, 2013년, pp.1139 - 1147  

안정미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김현아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교급식소 조리종사원의 위생지식과 위생관리 수행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1년 5월 13일부터 6월 10일까지 창원시 진해구에 소재하고 있는 초 중 고등학교 32개 학교의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총 276부가 회수(회수율 92%)되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리종사원의 위생지식의 평균 점수는 16.60점(20점 만점 기준)이었다. 조리사 자격증 유무(P<0.05), 학교형태(P<0.001), 일일 급식횟수(P<0.001)에 따라서는 위생지식이 차이를 보여 조리사 자격증이 있는 집단이 위생지식 수준이 높았으며, 고등학교의 위생지식 수준이 초 중학교의 위생지식 수준보다 높았고 하루 2 3식을 제공하는 학교가 1식 제공하는 학교보다 위생지식 수준이 높았다. 둘째, 전체 위생관리 수행도는 4.77점(5점 척도 기준)이었으며, 영역별로는 교차오염(4.88)> 배식관리(4.83)> 채소소독관리(4.81)> 세척관리(4.77)> 냉장 냉동관리(4.72)> 개인위생 관리(4.69)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리사 자격증 소지 여부(P<0.05), 1일 학생 급식인원수(P<0.001), 일일 급식횟수(P<0.05)가 전체 위생 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조리사 자격증을 소지한 집단이 미소지 집단보다 위생관리 수행도가 높았으며, 1일 학생 급식인원수 701~1,100명인 집단이 700명 이하인 집단보다 수행도가 높았고, 1일 급식회수가 2 3식인 집단이 하루 1식을 제공하는 집단보다 수행도가 높았다. 셋째, 위생지식과 위생관리 수행도의 관계 분석 결과 우선 위생지식 점수 수준이 높은 집단의 위생관리 수행도가 평균 4.85로 나타나 위생지식 점수 수준이 낮은 집단(4.66)에 비해 위생관리 수행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P<0.001). 또한 위생지식은 위생관리 수행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위생지식이 높은 조리종사원이 위생관리 수행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생지식이 위생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7.6%로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어(P<0.001) 위생지식이 위생관리 수행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의 위생지식이 높을수록 위생관리 수행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조리사 자격증이 있는 경우와 일일 배식횟수가 2 3식인 조리종사원의 위생지식이 높게 나타났으므로 조리사 자격증이 없는 경우와 배식횟수 1식인 종사원에 대한 교육이 좀 더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급식위생에 있어 제일 중요하다고 강조한 개인위생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수행도가 낮게 나타났으므로 향후 경남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원 대상 위생교육 시 개인위생에 대한 비중을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조리사 자격증이 없으며, 학생수가 적고 일일 배식횟수가 적을수록 위생관리 수행도가 낮게 조사되었으므로 이들을 위한 반복적인 위생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동시에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낮은 수행도의 원인을 밝혀 개선시켜야 할 것이다. 넷째, 위생지식이 위생관리 수행도에 영향 미치는 것이 밝혀졌으므로 향후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위생교육의 실시를 통하여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 수준의 향상이 이루어질 때 궁극적으로 위생관리 수행도의 향상을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anitary knowledge score and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among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For this purpose, a paper-bas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300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Jinhae-gu, Changwon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학교급식소 조리종사원의 위생지식과 위생관리 수행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1년 5월 13일부터 6월 10일까지 창원시 진해구에 소재하고 있는 초·중·고등학교 32개 학교의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총 276부가 회수(회수율 92%)되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남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위생지식과 위생관리 수행도의 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효율적인 학교급식 위생관리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금까지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 및 위생관리 수행도 관련 선행 연구들은 어느지역에서 이루어졌는가? 지금까지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 및 위생관리 수행도 관련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서울 및 경기(3, 11-14) 충북(9,15), 제주(6), 경북(16,17), 부산(8), 전북 (18), 전주(19), 대구(7), 울산(10) 등 다양한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학교급식소 조리종사원의 위생지식과 위생관리 수행도 간의 관계를 분석 한 결과는?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리종사원의 위생지식의 평균 점수는 16.60점(20점 만점 기준)이었다. 조리사 자격증 유무(P<0.05), 학교형태(P<0.001), 일일 급식횟수(P<0.001)에 따라서는 위생지식이 차이를 보여 조리사 자격증이 있는 집단이 위생지식 수준이 높았으며, 고등학교의 위생지식 수준이 초 중학교의 위생지식 수준보다 높았고 하루 2 3식을 제공하는 학교가 1식 제공하는 학교보다 위생지식 수준이 높았다. 둘째, 전체 위생관리 수행도는 4.77점(5점 척도 기준)이었으며, 영역별로는 교차오염(4.88)> 배식관리(4.83)> 채소소독관리(4.81)> 세척관리(4.77)> 냉장 냉동관리(4.72)> 개인위생 관리(4.69)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리사 자격증 소지 여부(P<0.05), 1일 학생 급식인원수(P<0.001), 일일 급식횟수(P<0.05)가 전체 위생 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조리사 자격증을 소지한 집단이 미소지 집단보다 위생관리 수행도가 높았으며, 1일 학생 급식인원수 701~1,100명인 집단이 700명 이하인 집단보다 수행도가 높았고, 1일 급식회수가 2 3식인 집단이 하루 1식을 제공하는 집단보다 수행도가 높았다. 셋째, 위생지식과 위생관리 수행도의 관계 분석 결과 우선 위생지식 점수 수준이 높은 집단의 위생관리 수행도가 평균 4.85로 나타나 위생지식 점수 수준이 낮은 집단(4.66)에 비해 위생관리 수행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P<0.001). 또한 위생지식은 위생관리 수행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위생지식이 높은 조리종사원이 위생관리 수행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생지식이 위생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7.6%로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어(P<0.001) 위생지식이 위생관리 수행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의 위생지식이 높을수록 위생관리 수행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서울 지역(4) 조리종사원의 위생지식 점수는 어떠한가? 서울 지역(4) 조리종사원의 위생지식 점수는 평균 11점 만점에서 8.02점, 부산지역(8)은 100점 만점에서 48.6점, 경북지역(16)은 100점 만점에서 7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Yang IS, Lee BY, Cha JA, Han KS, Chae IS, Lee JM. 2011. Foodservice in institutions. 3rd ed. Kyomunsa, Gyeonggido, Korea. p 43-44.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Guideline for hygiene management for school foodservice. 3rd ed.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p 52-93. 

  3. Hong WS, Yim JM, Choi YS. 2008. Sanitary performance and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Seoul. J Korean Diet Assoc 14: 382-395. 

  4. Lee KE, Ryu K. 2004. Influences of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food safety training on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Korean J Community Nutr 9: 597-605. 

  5. Lee SH, Yoo KM. 2006.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cooks of school feeding. Korean J Culinary Res 12: 22-36. 

  6. Song IS, Chae IS. 2008. The analysis of the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knowledge and performance degree of HACCP system in Jeju. Korean J Nutr 41: 870-886. 

  7. Jeong YG. 2008. Hygiene knowledge and work performance of the foodservice employees at the middle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after HACCP application in Daegu metropolitan city.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p 5, 26, 30-34, 59. 

  8. Shin HJ. 2009. Analysis of sanitary knowledge and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of culinary employees in schools located in Busan. M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Korea. p 21, 34, 45. 

  9. Han JS, Lee YE. 2011. Employees' sanitation practice level and sanitation knowledge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Chungbuk province. Korean J Human Ecology 20: 637-649. 

  10. Park SH. 2012. A study on the sanitary knowledge and practice level of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in Ulsan area. M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p 14, 17, 24, 34. 

  11. Yim JM. 2007. The evaluation of foodservice employees' sanitary performance and sanitary education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M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p 30, 67. 

  12. Hong WS, Yim JM, Choi YS. 2010. The sanitary performance and sanitary educ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in the Seoul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252-262. 

  13. Um YH. 2010. A study on actual sanitary management conditions and education plan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Korean J Culinary Res 16: 237-249. 

  14. Kim GY. 2010. Sanitary knowledge and management evaluation of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according to presence of cook certificate.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p 16, 17, 27, 52, 55, 57. 

  15. Lee YE. 2006.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sanitation training program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Chungbuk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2: 68-81. 

  16. Chang HW, Bae HJ. 2010. Assessment of food sanitation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food service workers in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implementing HACCP.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781-790. 

  17. Lee HY, Chang HW, Bae HJ. 2011.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bout sanitation management items performed by school food service workers.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21-31. 

  18. Yoon YJ. 2008. A study of hygien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MS Thesis. Kunsan National University, Kunsan, Korea. p 33, 35, 36, 43. 

  19. Han EH, Yang HS, Shon HS, Rho JO. 2005.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sanitary knowledge and practice level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Jeon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10-1218. 

  20. Lim JH. 2009. Education and performance for HACCP implementation of employees at contract foodservices. M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Korea. p 94. 

  21. Chang HW. 2007. Analysis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performance of sanitation management in Kyeongbuk province. M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Korea. p 8, 9, 26, 42-49. 

  22. Chae SI. 2005. Marketing research. 3rd ed. B & M books, Seoul, Korea. p 251. 

  23. Huh KO, Bae MK, Kim KO, Lee SS, Park SY. 2003. Research methodology and statistics in life sciences. Kyomunsa, Gyeonggi, Korea. p 157. 

  24. Lee KH. 2001. Research methodology in social sciences. Bupmunsa, Seoul, Korea. p 340. 

  25. Lee JH, Moon IO, Jung JE. 2008. Health statistics. Powerbook, Seoul, Korea. p 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