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역 초등학교와 중학교 급식 종사자들의 위생관리 및 위생교육 실태 평가
The Sanitary Performance and Sanitary Educ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in the Seoul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6 no.3, 2010년, pp.252 - 262  

홍완수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 ,  임정미 (상명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  최영심 (상명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anitary performance and educ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by administering questionnaires to 358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and 171 middle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급식 조리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위생에 대한 사항을 분류하여 위생 관련 수행 정도를 조사하여 위생에 관한 인식이 향상될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조리종사들의 위생교육 내용과 유형 등을 통해 실제 적용하기 어려운 장애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급식을 위하여 바람직한 위생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급식 조리종사자들의 위생 업무(개인위생, 식재료관리, 작업공정별, 위생안전관리, 위생 교육)의 수행수준 및 위생 교육 내용과 위생 교육의 유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시 강동교육청과 강서 교육청에서 실시한 정기 위생교육에 참여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급식 조리종사자들을 조사 대상자로 하여 529부를 통계자료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급식 조리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위생에 대한 사항을 분류하여 위생 관련 수행 정도를 조사하여 위생에 관한 인식이 향상될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조리종사들의 위생교육 내용과 유형 등을 통해 실제 적용하기 어려운 장애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급식을 위하여 바람직한 위생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급식을 세계 여러 나라에서 정책적으로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교급식은 성장기 학생들에게 균형 잡힌 음식을 제공하고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키고 편식 교정과 올바른 식생활 습관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기 때문에 세계 여러 나라에서 정책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학교급식은 1992년에 공동 조리 급식제도를 도입하여 국가 정책 사업으로 성장을 거듭하면서 2003년부터는 전국적으로 전면 실시되고 있다.
국가 정책 사업으로 실시되는 있는 학교급식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5%이다(교육과학기술부 2008). 그러나 학교급식은 정부의 정책과 전문 위탁 업체의 참여로 급속하게 양적으로 성장하였지만 시설, 영양, 위생, 서비스 면에서 낙후된 실정이며 개선의 요구가 증가되면서 질적인 향상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또한 학교 급식의 급격한 확대로 인한 자원의 부족으로 시설의 미비 및 위생 관리 체계의 소홀함이 식중독 발생과 긴밀한 연관성을 보였다(Hong WS와 Yoon JY 2003, Kim SH 2005). Hong WS와 Yoon JY(2003)의 연구에서는 급식소에서의 위생 관리 목적은 식중독 사고 예방에 있으므로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 위생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이를 수행할 수있는 위생관리 지침과 절차가 필요하며 꾸준한 위생 교육을 통해 조리 종사자들이 충분히 인식하고 실천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학교급식의 위생안전을 위해 우리나라에서 하고 있는 노력은 무엇인가? 미국에서는 위생 관리자를 급식소에서 채용하여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 평가를 관리하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미국학교급식협회(American School Food Service Association)와 미국 국립급식관리지원기구(National Food Service Management Institute)에서 재정 지원을 받는 기구들이 학교 급식 인력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Hong WS 2002). 우리나라에서는 학교급식의 위생적인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1999년 개발된 HACCP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학교 급식의 위생관리 및 안전 점검을 추진해 왔으며 2003년부터 모든 학교 급식시설에 HACCP 시스템을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학교 급식의 안전성 향상에 노력하고 있다(Kim YS 2003, Kim SH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곽동경. 1998. 학교급식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HACCP 시스템 구축.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 연구보고서. 서울. pp 3-21 

  2. 교육과학기술부. 2005.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서. Available from http://www.moe.go.kr Accessed April 16. 2008 

  3. 교육과학기술부. 2008. 학교급식실시현황. Available from http://www.moe.go.kr Accessed March 27. 2010 

  4. 양일선. 1998. 초등학교 급식식단별을 위한 조리인력의 활용방안. 1995년도 학교급식질 향상을 위한 심포지움. pp 83-106 

  5. Anita E, Panagiota D. 2005. Experiences of th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s in the food service sector.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24(1):3-19 

  6. Bolton D J, Meally, A, Blair I S, McDowell D A, Cowan C. 2008. Food safety knowledge of head chefs and catering managers in Ireland. Food Control 19(3):291-300 

  7. Chong YK, Kwak TK. 2000. Perceived performance of sanitary management for school food service managers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 Nutr 5(1):100-108 

  8. Egan M B, Raats M M, Grubb S M, Eves A, Lumbers M L, Dean M S, Adams M R. 2007. A review of food safety and food hygiene training studies in the commercial sector. Food Control 18(10):1180-1190 

  9. Eo GH, Ryu K, Park SJ, Kwak TK. 2001. Need assessment of haccp-based sanitation training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based on sanitation knowledge test of employees. J Korean Diet Assoc 7(1):56-64 

  10. Farkas D. 1996. Creating awareness. Food management 31:100-104 

  11. Giampaoli, J, Cluskey M, Sneed J. 2002. Developing a practical audit tool for assessing employee food-handling practices. The Journal of Child Nutrion & Management 26. [online] Available at: http://docs.schoolnutrition.org/newsroom/jcnm/ 02spring/giampaoli2/. Accessed April 20. 2008 

  12. Ha SD. 2008. Management Policy and Safety Problem of School Food Services. Safe Food 3(1):13-21 

  13. Hong WS. 2002. Empirical research on employee job satisfaction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Life Science Research Institute 7:113-121 

  14. Hong WS. 2004. The evaluation of foodservice employees` sanitary performance in second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J Foodservice Management 7(1):7-28 

  15. Hong WS. 2005. The evaluation of foodservice employees' sanitary performance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rerations. J Foodservice Management 8(1):127-143 

  16. Hong WS, Yoon JY. 2003. Foodservice employees' sanitation and hygiene practice in school foodservice. Korean J Soc Food Sci 19(4):403-412 

  17. Hwang MA, Kim JG. 2003. A study on the sanitary condition of kitchens and facilities of school foodservice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part1. food sanitary, safety, inspection.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9(3):249-258 

  18. Kim EM, Lee MA, Jeong MK, Cho TO. 2008. Study on establishment of food material size specification based on elementary school men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8):1058-1068 

  19. Kim GM, Lee SY. 2009. Analysis of the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 sanitary education(seoul, gyeonggi, kangwon and choongchung areas in korea). Korean J Comm Nutr 14(5): 576-589 

  20. Kim JE. 2007. The influence of the hygiene practice on the HACCP hygiene education of employees cooking for school food services. Master's thesis. The Kyonggi University of Korea. pp 8-13 

  21. Kim JG. 2004. Studies on the food hygiene & safety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kitchen employees in school food-service programs-part 1. Kor. J. Env. Health 30(2): 173-183 

  22. Kim YS. 2003. The importance of hygiene condition and HACCP system application at school food service. Food Science and Industry 36(2):92-98 

  23. Kim SH. 2005. Evalua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students and employees about sanitary characteristics for high school foodservice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9):1414-1426 

  24. Kinnear J. 1997. What's your candidate's food safety. Food management 32:50-56 

  25. Kwak TK, Lee KM, Chang HJ, Kang YJ, Hong WS, Moon HK. 2005. Analysis of critical control points through field assessment of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 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3):290-300 

  26. Lee JH, Park JS. 1999. Attitudes of no-commercial foodesrvice dietitians toward hiring older workers. Kor J Nut 32(7): 821-826 

  27. Lee JH, Goh YK, Park KH, Ryu K. 2007. Assessment of food 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for school food service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 Nutr 12(3):310-321 

  28. Lee KA, Lyu ES. 2005. Comparison of Student Satisfaction with Foodservice of Middle School by Place for Meal Service in Busan Area. J Korea Soc Food Sci Nutr 34(2):209-218 

  29. Lee KE, Ryu K. 2004. Influences of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food safety training on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Korean J Comm Nutr 9(5):597-605 

  30. Lee SH, Yoo KM. 2006.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cooks of school feeding. Korean J Culinary Research 12(1): 22-36 

  31. Lee WJ. 2004.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needs and cost/benefit effects of quantities cooking equipments.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Kyungwon University. pp 35-43 

  32. Lee YE. 2006.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sanitation training program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chungbuk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2(1):68-81 

  33. Lee YJ. 2003. A comparative study on sanitary practices and perception of employees in elementary school, hospital and industry food service in the inchon area. J Korean Diet Assoc 9(1):22-31 

  34. McSwane D, Rue N, Linton R. 2005. Essentials of food safety and sanitation. Prentice Hall NJ 24-205 

  35. Mojca J, Valentina H, Peter R. 2008.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among food handlers in Slovenia. Food Control 19(12):1107-1118 

  36. Nam EJ, Kim HH, Park YH, Shin EK. 2005. Articles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food safety training program for employees in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food culture 20(5):615-620 

  37. Park SH, Lim YH. 2005. A study on the sanitary man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daejeon and chungnam. Korean J Comm Nutr 10(2):234-242 

  38. Park SH, Noh JM, Chang HJ, Kang YJ, Kwak TK. 2007. Risk factor analysis for preventing foodborne illness in restaurants and the development of food safety training material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5):589-600 

  39. Song NC, Lee HS, Lee KE. 2007. The factors (job burnout, job engagement, the workplace safety) influencing employees` job satisfaction in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Korean J Comm Nutr 12(5):606-616 

  40. Um YH. 2008.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of Employees according to the School Food Service Environments. Korean J Culinary Research 14(4): 357-367 

  41. Valerie KP, Laura AB, Carol WS, Amber DH, Kevin RR. 2008. Identifying specific beliefs to target to improve restaurant employees' intentions for performing three important food safety behaviors.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8(6):991-997 

  42. Yang HS, Han EH, Sohn HS, Rho JO. 2006. A study on the sanitary education program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Jeonju. Korean J Human Ecology 9(3):81-87 

  43. Yoon JY, Moon HK. 2007. Perception of Hygiene Education and Food Safety Knowledge among New Restaurant Owners - Focused in Gyeongnam Area. J Korean Diet Assoc 13(3): 265-276 

  44. Yoon MY, Lee IS. 2006. Analysis on Facilities & Basic Equipment of School Foodservice Safety in Pohang area. J Korean Diet Assoc 12(3):264-276 

  45. Youn S, Sneed J. 2003. Implementation of HACCP and prerequisite programs in school foodservice.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3(1):55-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