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axEnt 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산사태 발생가능성 예측
Prediction of Landslides Occurrence Probability under Climate Change using MaxEnt Model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2 no.1, 2013년, pp.39 - 50  

김호걸 (서울대학교대학원) ,  이동근 (서울대학교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모용원 (서울대학교대학원) ,  길승호 (서울대학교대학원) ,  박찬 (국립환경과학원기후변화연구과) ,  이수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ccurrence of landslides has been increasing due to extreme weather events(e.g. heavy rainfall, torrential rains) by climate change. Pyeongchang, Korea had seriously been damaged by landslides caused by a typhoon, Ewiniar in 2006. Moreover,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landslides are increasing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평창군을 대상으로 산사태 발생지점 조사자료와 기후인자, 지형인자, 식생인자를 기반으로 MaxEnt 모형을 구동하여 산사태 발생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모형의 예측정확도는 0.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산사태가 주로 강우량에 의해 발생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량 증가를 반영한 산사태 발생가능성 예측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상청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사태에 영향을 주는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을 설명하시오. 산사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크게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김경수 등, 2005). 내적요인은 지질요인과 지형요인을 의미하며, 외적요인은 기후요인으로 볼 수 있다(이부경, 2003). 세부적으로는 경사, 고도, 방위, 토심, 식생분포, 영급, 경급, 강우량 등이 산사태와 관련성이 높은 변수들이다.
통계적 모형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발생가능성 분석에 이용할 통계적 분포모형을 선정하기 위해 산사태 발생 예측에 사용되는 통계적 모형들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통계적 모형은 크게 요구하는 자료의 특성에 따라 출현자료와 비출현자료를 모두 요구하는 모형과 출현자료만을 요구하는 모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출현/비출현자료를 모두 필요로하는 모형의 경우에는 산사태 발생지점(출현 자료)과 함께 산사태 미발생지점(비출현자료)을 모형에 입력하여야만 한다.
산사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크게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산사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크게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김경수 등, 2005). 내적요인은 지질요인과 지형요인을 의미하며, 외적요인은 기후요인으로 볼 수 있다(이부경,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국립환경과학원, 2012, 기후변화 부문별 취약성 지도. 

  2. 권혁춘, 이병걸, 이창선, 고정우, 2011, 로지스틱회귀분석기법과 인공신경망기법을 이용한 제주지역 산사태가능성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9(3), 33-40. 

  3. 김경수, 김원영, 채병공, 송영석, 조용찬, 2005, 강우에 의해 발생된 자연사면 산사태의 지질공학적 분석 -용인.안성지역을 대상으로- , 대한지질공학회지 15(2), 105-121. 

  4. 김기흥, 정혜련, 박재현, 마호섭, 2011, 경남지역 산사태 발생지의 강우 및 지형특성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4(2), 33-45. 

  5. 김석우, 전근우, 김진학, 김민식, 김민석, 2012, 2011년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발생특성분석, 한국임학회지 101(1), 28-35. 

  6. 박종민, 마호섭, 강원석, 오경원, 박성학, 이성재, 2010, 전라북도 지역의 산사태발생 특성분석, 농업생명과학연구 44(4), 9-20. 

  7. 연영광, 2011, 로지스틱 회귀분석 기법을 이용한 강원도 산사태 취약성 평가 및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4), 116-128. 

  8. 오치영, 김경탁, 최철웅, 2009, SPOT5영상과 GIS분석을 이용한 인제지역의 산사태 특성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5(5), 445-454. 

  9. 윤홍식, 이동하, 서용철, 2009, GIS 기법 및 발생자료 분석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4), 59-74. 

  10. 이명진, 이사로, 전성우, 2012, 미래 확률강우량 및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도 분석기법 개발 및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2), 57-70. 

  11. 이부경, 2003, 지질방재공학, pp. 241-245. 

  12. 이수곤, 1999, 부산지역의 산사태 위험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2), 9-23. 

  13. 이진덕, 연상호, 김성길, 이호찬, 2002, 산사태의 발생가능지 예측을 위한 GIS의 적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1), 38-47. 

  14. 조명희, 조윤원, 2009, 기상과 지형자료를 통합한 산사태 위험지 예측 기법 개발 -울진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2), 1-10. 

  15. Elith J., Ferrier S., Huettmann F., and Leathwick J., 2006, The evaluation strip: A new and robust method for plotting predicted responses from species distribution models, Ecol Model 186(3), 280-289. 

  16. Felicisimo, A., Cuartero A., Remondo J. and Quiros E., 2012, Mapping landslide susceptibility with logistic regression, multiple adaptive regression splines,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and maximum entropy methods: a comparative study, Landslides (7 March 2012), pp.1-15. 

  17. Mathewson, C.C., Keaton, J.R. and Santi, P.M., 1990, Role of Bedrock Ground Water in the Initiation of Debris Flows and Sustained Post-Flow Stream Discharge, Bulletin of the Association of Engineering Geologists 27(1), 73-83. 

  18. Phillips, S.J., Anderson R.P. and Schapire R.E., 2004. A maximum entropy approach to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In: Proceedings of the Twenty-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Banff, Alberta, Canada, p. 83 ff. 

  19. Phillips, S.J. and Dudik, M., 2008. Modeling of species distributions with Maxent: new extensions and a comprehensive evaluation. Ecography 31, 161-175. 

  20. Pradhan B. and Lee S., 2010, Delineation of landslide hazard areas on Penang Island, Environment Earth Science 60, 1037-1054. 

  21. Vorpahl, P., Helmut E., Michael M. and Boris S., 2012, How can statistical models help to determine driving factors of landslides?, Ecological Modelling 239, 27-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