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성기능 실태 및 영향요인
Factors Related to Female Sexual Dysfunction of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0 no.2, 2013년, pp.55 - 69  

이영선 (조선대학교 행정복지학부) ,  구혜완 (서울 해바라기 여성아동센터) ,  한인영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emale sexual dysfunc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 and to identify related factors. Methods: A total of 110 North Korean defector women who married and lived in South Korean community more than 1 yea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sel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북한이탈주민여성의 성기능 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 이에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연령, 학력 등 인구학적 특성 등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경우 이주과정에서 성적 트라우마를 경험한다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성폭력/강간 경험, 원하지 않는 성관계 경험 등이 성기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고려하여 성 경험에 대한 독립변수를 포함하여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하나원에서 적응교육을 마치고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여성을 대상으로 성기능 실태를 알아보고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연구이다. 이에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연령, 학력 등 인구학적 특성 등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
  • 또, 이들 중 상당수는 국내에서 새롭게 가족을 형성하며 살아가기 때문에 그들의 성 건강은 신체적, 정서적, 성적 건강의 측면에서 중요하며, 가족 전체의 건강과 관계적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성기능 실태와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으로 북한이탈주민 여성을 위한 성교육, 성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하나원에서 적응교육을 마친 이후 지역 사회 거주 북한이탈여성들의 성기능 실태와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성과 관련된 개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한국사회의 안정된 정착 및 건강관리를 위한 상담을 제공하거나 건강관련 정보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주고, 구체적인 성교육 서비스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며 향후 북한이탈주민 여성을 지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여러 연구들에서 북한이탈주민 여성은 이주과정에서 중혼, 강간, 인신매매 등 성적인 트라우마를 경험한다고 알려져 왔다(Moon, Kim, & Lee, 2000; Cho, 2005; Park, 2009). 이러한 성적인 트라우마는 여성 성 기능의 특성 상 성기능이 신체적인 의미 그 이상으로 정서, 심리, 사회 환경적인 영향들이 총체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Bae, 2004; Sohn, 2006) 외적인 성적 트라우마의 영향으로 성기능이 낮을 가능성을 가정하였다. 실제 연구결과에서는 FSFI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한 성기능 점수의 평균값이 1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이탈주민 여성에게 노출된 위험은 무엇인가?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경우 북한을 탈출하여 한국에 입국하는 과정에서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러시아 등 제3국을 거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보통 2년 이상 그곳에서 체류하게 된다. 불안정한 체류 상황에서 위협이나 협박에 의하여, 또는 안전을 위하여 현지인이나 조선족과의 강제결혼하거나, 인신매매, 성매매, 매춘, 성폭력 등의 위험에도 크게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Han, Ku, & Oh, 2010; Jung & Kim, 2004). Lee (2003)는 이러한 과정 중 강제 혼인을 당하거나 조직적으로 인신매매되어 성 산업에 종사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였고, 피난처를 찾아다니는 과정에서 중국 남성뿐만 아니라 여타 다른 남성들로부터 우발적인 성폭행을 당하는 등 성적 위협에 처하기도 한다고 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추이는? 북한이탈주민은 지난 1998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다 지난 2010년 7월에는 2만명을 넘어섰으며, 여성입국자 수의 증가세가 특히 두드러진다. 초기 입국자의 대부분은 남성이었으나, 2002년 여성의 비율이 50%를 넘었으며 최근 이 비율이 급증하여 2007, 2008년에는 78%를 넘었다가 2012년에는 72%에 육박하고 있는 실정이다(Ministry of Unification, 2012).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성을 무엇이라고 정의하는가? 북한이탈주민 여성을 포함하여 여성의 성은 매우 중요하며,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2002)에서는 성을 성행위를 넘어서 모든 개인의 삶에 통합되어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정의한다. 또한 성 건강은 성과 관련된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의미하며, 성관련 질환이나 성기능 장애의 부재를 넘어 강제적이지 않으며 차별, 폭력이 없는 모든 사람들이 보호받고 존중받아야할 성적 권리가 충족된 상태라고 정의내리고 있다(WHO,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Abdo, C., Oliveira, W. M., Moreira, E. D., & Fittipaldi, J. (2004). Prevalence of sexual dysfunctions and correlated conditions in a sample of Brazilian women-results of the Brazilian study on sexual behavior (BSSB). International Journal of Impotence Research, 16(2), 160-166. 

  2. Ahn, M. Y. (2007). Policy proposals for the promotion and cooperation of South & North Korean healthcare. Seoul, Korea: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Korea. 

  3. Bae, B. R. (2009).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9 : Principles and practice. Seoul, Korea:Cheonglam. 

  4. Bae, J. Y. (2004). A Study on female sexual dysfunction, sexual distress, sexual attitude and knowledge in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0(4), 342-350. 

  5. Bae, J. Y., Min, K. S., & Ahn, S. H. (2007). Construction of an explanatory model of female sexual dysrun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7), 1080-1090. 

  6. Carole J., Thomas, M. H., Ann, B., Michael, K. C., John, N. K, Sharon, L. H., & King, K. (1990).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in victims of rap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22(11), 713-716. 

  7. Chapman, J. D. (1989). A longitudinal study of sexuality and gynecologic health in abused wome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Osteopathic Association, 89(5), 619. 

  8. Chang, S. B., & Jeong, S. E. (1995). Pre-post changes of sexual satisfaction and spouse support of women who have had a hysterectom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5(1), 173-186. 

  9. Chang, S. B., Kang, H. S., & Kim, S. N. (1998). The sexual Satisfaction in Marri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1), 201-209. 

  10. Cho, Y. J. (2005). How to use 'testimony' in the studies of North Korean Women. Women's Studies Review, 21(1), 37-78. 

  11. Chun, N. M., & Park, Y. S. (2006). Sexual functioning in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2(4), 308-315. 

  12. Chun, N. M. (2010). Predictors of sexual desire, arousal, lubrication, orgasm, satisfaction, and pain in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1), 24-32. 

  13. Courtland, R. (2011, August). North Korean Refugees foundation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International.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n the Health of North Korean Migrants, Seoul, Korea. 

  14. Derogatis, L. R.(1997). The Derogatis interview for sexual functioning (DISF/DISF-SR): an introductory report. Journal of Sex & Marital Therapy, 23(4), 291-304. 

  15.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e Research Methods, 41, 1149-60. 

  16. Han, I. Y., Ku, H. J., & Oh, S. K. (2010). A study on sex knowledge among north Korean female. Journal of Korean Psychology, 15(1), 87-102. 

  17. Jeon, W. T., Yu, S. E., & Lee, Y. W. (2011). The Patterns and formation of national identity among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A grounded theory study. Journal of Unification Policy, 20(2), 1-35. 

  18. Jeon, Y. S. (2011). The Actual condition of counseling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local community : Focused on the counselor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publication. 

  19. Jung, T. Y., & Kim, Y. M. (2004). Effects of North Korea defectors` living experiences in South Korea on their self-perceptions and perceptions of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Psychology, 10(2), 61-81. 

  20. Kadri, K. H., Mchichi, A., & Mchakra, S. T. (2002). Sexual dysfunction in women: Population based epidemiological study.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5(2), 55-63. 

  21. Kang, C. Y. (2005). The stress copying style of the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in China. Journal of Korean Psychology, 10(1), 61-80. 

  22. Kim, J. H. (2011, August). North Korean Refugees foundation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Health of North Korean Migrants, Seoul, Korea. 

  23. Kim, J. K., Koh, H. J., & Lim, K. H. (2002) A Study on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activity according to sexual satisfaction of wife and husband after hysterectom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6(1), 71-82. 

  24. Kim, H. E., Jo, Y. R., & Park, H. S.(2007).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bdominal obesity and sexual dysfunction among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16(4), 170-176. 

  25. Kim, H. Y., So, H. S., Park, K. S., Jeong, S. J., Lee, J. Y., & Ryu, S. B. (2002). Development of the Korean-version of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 Korean journal of andrology, 20(1), 50-56. 

  26. Kim, H. Y., So, H. S., & Chae, M. J. (2009). Sexual function of breast cancer survivors and healthy women : A comparative study. Asian Oncology Nursing, 9(1), 60-66. 

  27. Kim, H. Y.,& Lee, E. S. (2010). Sexual dysfunction and related factors in married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9(3), 329-338. 

  28. Kim, S. G. (2011, August). North Korean Refugees foundation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health of north Korean migrants, Seoul, Korea. 

  29. Kwon, H. K. (2004). A review of counseling models of sexual abuse and outcome research,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6(2), 187-205. 

  30. Laumann, E. O., Paik, A., & Rosen, R. C. (1999). Sexual dysfunction in the United States: Prevalence and predictors.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1, 537-544. 

  31. Lee, K. S. (2006). A study on the social adaptation process of women migrants : Focusing on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in South Korea. Journal of Asian Women, 45(1), 191-234. 

  32. Lee, M. S. (1998). Psychological aspect of sexual dysfunction.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19(7), 508-514. 

  33. Lee, M. S., Choi, J. H., & Lee, H. S. (1989) The preliminary study of standardization of derogatis sexual functioning inventor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8(1), 143-158. 

  34. Lee, S. R. (2003). North Korea women defectors's social plan for early adaptation. The National Unification Advisory Council, Women Committee conference materials. 

  35. Lee, Y. P., Kim, S. J., & Jeong, G. H. (2000). Pregnant Women's Attitude and Satisfaction for Sexua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5), 1292-1302. 

  36. Leonard, L. M., Iverson, K. M., & Follette, V. M. (2008). Sexual functioning and sexual satisfaction among women who report a history of childhood and/or adolescent sexual abuse. Journal of Sex & Marital Therapy, 34, 375-384. 

  37. Lutfey, K. E., Link, C. L., Rosen, R. C., Wiegel, M., & McKinlay, J. B. (2009).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sexual activity and function in women: Results from the Boston area community health (BACH) survey. Archives of Sexual Behavior, 38(4), 514-527. 

  38. Min, S. K. (2005). Modern Psychiatry. Seoul, Korea: IljoGak. 

  39. Ministry of Unification. (2012). Statistics for North Korean defectors. Retrieved from http://www.unikorea.go.kr/CmsWeb/viewPage.req?idxPG0000000365. 

  40. Moon, S. J., Kim, J. H., & Lee, M. K. (2000). A study on the motive of escape from the North Korea and the life situation of female fugitives in China: based on the interview with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in Yenben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8(5), 137-157. 

  41. Noh, I. S. (2011, August). North Korean Refugees foundation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health of North Korean Migrants, Seoul, Korea. 

  42. Park, H. S., Koo, H. Y., & Won, S. H. (2004). Sexual funct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in women and their predi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3(4), 505-513. 

  43. Park, J. R. (2009). Female saeteomins` childcare and work: The current state and support measures. Journal of hanminjok, 28, 97-135. 

  44. Ponholzer, A., Roehlich, M., Racz, U., Temml, C., & Ladersbacher, S. (2005). Female sexual dysfunction in a health Austrian cohort: Prevalence and risk factors. European Urology, 47(3), 366-374. 

  45. Rosen, R., Brown, C., Heiman, J., Leiblum, S., Meston, C., & Shabsigh. (2000). The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 A multidimensional self-report instrument for the assessment of female sexual function. Journal of Sex & Marital Therapy, 26, 191-208. 

  46. Safarinejad, M. R. (2006). Female sexual dysfunction in a population-based study in Iran: Preval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nternationals Journal of Impotence Research, 18 (4), 382-395. 

  47. Sgroi, S. M. (1982). A conceptual framework for child sexual abuse: Handbook of clinical intervention in child sexual abuse. Lexington, MA: Lexington books. 

  48. Sohn, Y. S. (2006). Female sexual dysfunction.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9(10), 2043-2054. 

  49. Song, A. H., Jeon, H., Kim, S. W., Park, J. S., & Son, H. (2008).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female sexual dysfunction in young Korean women: An internet-based survey. Journal of Sexual Medicine, 5, 1694-1701. 

  5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Report of consultation on sexual health. Geneva, Switzerland: Author. 

  51. Wiegel, H., Meston, C., & Rosen, R. (2005). The female sexual function index(FSFI) : cross-valication and development of clinical cut-off scores, Journal of Sex and Marital Therapy, 31(1), 1-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