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 거주 조선족 노인이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건강증진 행위 관계
Acculturation Str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Korean Chinese Elderly Immigrants Living in Korea 원문보기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13 no.2, 2016년, pp.70 - 80  

김향란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 ,  송미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the Korean Chinese elderly immigrants living in Korea, focusing on the buffer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Methods: We included 132 completed questionnaires in the analysis. The buffering e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 노인 이주자들이 한국에서 정착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행위 현황을 조사하고,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중심으로 검증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향후 국내 거주 조선족 노인 이주자들을 위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erry에 의한 문화적응 스트레스 정의는? Berry3)는 국가 간 이주와 같이 다른 지역에 이주하여 새로운 문화에 적응할 때는 문화적 충격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데 이를 문화적응 스트레스(acculturation stress)라고 정의하였다.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언어적 장애, 문화적 충격, 그리고 이민에 대한 기대와 현실과의 차이 등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만 60세 이상의 조선족 노인 입국자가 증가한 이유는? 국내의 외국인 이주자 중에는 중국 국적의 조선족 동포 이주자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2007년 3월에 중국 국적의 동포들에 대한 방문취업제가 시행된 것이 계기가 되었다. 만 60세 이상의 조선족 노인의 경우 재외동포(F-4) 비자로 한국 거주가 가능하기 때문에 입국자들이 증가하였다. 특히 2010년부터는 외국국적의 동포들이 장기체류가 가능하게 되면서 체류기간이 10년 이상 된 이주자들도 많아지고있다.
노인이주자의 건강증진행위 중 신체활동 영역 수행 정도가 낮은 이유는? 둘째, 노인이주자의 건강증진행위의 하부 영역에서 특히 신체활동 영역의 수행 정도가 낮다. 그 이유는 오랜 근무시간으로 인해 신체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이나 장소가 부족하다. 향후 건강증진 프로그램에서 이 점을 감안하여 근무지에서도 짧은 휴식시간을 활용하여 신체활동 수행이 가능한 신체활동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ee JY, Park W. A study on the formation of Korean-Chinese worker in Korea. Korean Assoc Northeast Asia Stud. 2009;51:99-119. 

  2. Immigration.go.kr [Internet]. Seoul: Korea Immigration Service; 2014 [updated 2015 July]. Available from: http://www.immigration.go.kr 

  3. Berry JW. Acculturation: living successfully in two cultures. Int J Intercult Relat. 2005;29(6):697-712. http://dx.doi.org/10.1016/j.ijintrel.2005.07.013 

  4. Berry JW, Kim U, Minde T, Mok D. Comparative studies of acculturative stress. Int Migr Rev. 1987;21(3):491-511. http://dx.doi.org/10.2307/2546607 

  5. Shin HS, Kim MY. Acculturative stress and current perception of stress in Korean immigrants. East West Nurs Res. 2006;12(1):43-55. 

  6. Bui Q, Doescher M, Takeuchi D, Taylor V.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chronic back and neck problems among Latino-Americans. J Immigr Minor Health. 2011;13(2):194-201. http://dx.doi.org/10.1007/s10903-010-9371-3 

  7. Lee S-W, Kim KS, Kim TG, Ryu HW, Lee M-Y, Won YL,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in migrant workers in Kyung-gi province in Korea.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9;21(1):76-86. 

  8. Leininger M. Transcultural nursing: concepts, theories and practices. New York: John Wiley & Sons; 1978. 

  9. Walker SN, Volkan K, Sechrist KR, Pender NJ. Health-promoting life styles of older adults: comparisons with young and middle-aged adults, correlates and patterns. Adv Nurs Sci. 1988;11(1):76-90. 

  10. Seo HM, Hah YS.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the elderly-application of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J Korean Acad Nurs. 2004;34(7):1288-97. 

  11. Sung MH, Lim YM. The study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the elderly women. J Korean Acad Nurs. 2003;33(6):762-71. 

  12. Glanz K, Rimer BK, Viswanath K.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4th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2008. 

  13. Kim HK.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for migrant workers on cultural adjustment. J Ind Econ Bus. 2009;22(1):385-409. 

  14. Sandhu DS, Asrabadi BR. Development of an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s: preliminary findings. Psychol Rep. 1994;75(1):435-48. 

  15. Kim MS. Acculturation stress management of migrant workers through cultural and educational life in South Korea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14. 

  16. Park JW.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5. 

  17.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 Res. 1987;36(2):76-81. 

  18. Kim BC. The social security system in major countries-China. Sejong: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19. Kee B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6;35(2):298-307. 

  20. Kim BC. The social security system in major countries-China. Sejong: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21. Kim S, Kim SH. Foreign workers' acculturative stress in Korea society. J Korea Acad Ind Coop Soc. 2013;14(8):3832-42. http://dx.doi.org/10.5762/KAIS.2013.14.8.3832 

  22. Lee SH, Lee YJ, Kim SY, Kim SJ.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in migrant workers. J Korean Acad Nurs. 2009;39(6):899-910. http://dx.doi.org/10.4040/jkan.2009.39.6.899 

  23. Hong SY, Kim GJ. A Study of the Acculturation Meaning among Chinese-Chosun Residential Care Attendants in Long-Term Care Settings.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0;30(4):1263-80. 

  24. Yang OK, Park HK, Sohn GH. A study on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among migrant workers in Korea. Ment Health Soc Work. 2010;35:141-75. 

  25. Jung JK, Park YH. Acculturation,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behavior among foreign workers in South Korea. Korean J Soc Welf Res. 2012;32:29-52. 

  26. Cao MS. Factors influencing health-promotion behaviors in Chosunjok workers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7. 

  27. Pender NJ, Murdaugh CL, Parsons MA.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6th ed. New Jersey: Pearson;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