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국과 한국의 건강도시 사업 평가방법 비교 연구: 리버풀과 원주시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Healthy City Project Evaluation in U.K. and Korea: Focusing on Liverpool City and Wonju City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0 no.2, 2013년, pp.93 - 103  

강신희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남은우 (연세대학교 의료복지연구소 건강도시연구센터) ,  문지영 (강원대학교병원 예방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compare two healthy cities, Liverpool in England and Wonju in Korea, which evaluated healthy city projects and to reorient evaluation strategy which fits into Korean Healthy cities. Methods: Comparatives analysis was used by reviewing documents, healthy city plan and 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건강도시사업 실시 후 평가를 하였던, 국내외 2개 건강도시의 평가주체, 평가방법, 평가에 대한 피드백 등을 상호비교 함으로써 향후 국내 건강도시의 사업평가 계획 수립을 위해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방향 설정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특히, 원주시는 수차례의 담당자와의 인터뷰와 전화 연락을 통해 평가방법과 의문사항에 대해서 파악하였고, 영국 리버풀시는 e-mail을 통해 담당자와 논의하였다. 또한 연구진 간에도 분석내용에 대해 확인하는 절차를 거침으로 정확하고 객관화된 비교 분석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 본 논의에서는 두 도시의 사업평가방법을 상호 비교한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건강도시 사업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주요한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영국의 두 건강도시의 사업 평가체계를 비교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을 입수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영국의 리버풀시와 한국 원주시의 건강도시 사업 평가 방법을 비교하기 위하여 두 도시의 사업계 획서를 입수하여, 두 건강도시의 개요 및 범위, 사업 종류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 다만, 각 도시마다 필요에 따라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영역은 매우 다양하다. 질적인 방법은 수치화로는 표현하지 못하는 실제적인 현상을 알아보고 건강도시 사업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인터뷰, 포커스 그룹, 관찰, 사례연구 등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HO에 의하면 건강도시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 정의한 건강도시는 건강증진의 개념을 실현하는 것으로서 건강을 개인의 책임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인간을 둘러싼 물리적, 사회적 환경과 관련이 있다는 개념 하에 건강한 도시환경을 만들어 가는 것을 의미한다. 건강도시는 건강을 지키기 위해 보건·의료·복지의 중요성과 함께 시민들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인 건강수준을 높이기 위한 사회적 환경과 물리적인 환경을 포함한 지역사회의 여러 가지환경을 정비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원주시와 리버풀의 건강도시사업 평가체계 비교에서 평가 주체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는 건강도시 평가 주체의 차이이다. 리버풀시는 평가위원회와 위원의 구성이 자발적이며 그 구성원이 학계, 정부, 자원봉사 시민들로 다양한 특징이 있었고, 원주시는 지역의 대학 연구기관과 연계하여 건강도시사업 평가연구를 수행한 특징이 있다. 셋째는 평가항목의 차이이다.
건강도시를 만들기 위하여 필요한 것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 정의한 건강도시는 건강증진의 개념을 실현하는 것으로서 건강을 개인의 책임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인간을 둘러싼 물리적, 사회적 환경과 관련이 있다는 개념 하에 건강한 도시환경을 만들어 가는 것을 의미한다. 건강도시는 건강을 지키기 위해 보건·의료·복지의 중요성과 함께 시민들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인 건강수준을 높이기 위한 사회적 환경과 물리적인 환경을 포함한 지역사회의 여러 가지환경을 정비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lliance for Healthy Cities. Retrieved February 10, 2013, from http://www.alliance-healthycities.com. 

  2. Barton, H., Grant, M., Miticham, C., & Tsourou, C. (2009) Healthy urban planning in European cities.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4(1), 91-99. 

  3. Burton S. (1999). Evaluation of healthy city projects: Stakeholder analysis of tow projects in Bangladesh. Environment and Urbanization, 11(1), 41-52. 

  4. Coston, C., & Springett, J. (1997). Joint working in the production of a city health plan: The Liverpool experience.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2, 9-19. 

  5. Goumans, M., & Springett, J. (1997). From projects to policy: `Healthy Cities' as a mechanism for policy change for health?.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2(4), 311-322. 

  6. Green, G., Acres, J., Price, C., & Tsouros, A. (2009) City health development planning.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4(1), 72-80. 

  7. Green, G, Price, C., Lipp, A., & Priestley, R. (2009) Partnership structures in the WHO European healthy cities project.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4(1), 37-44. 

  8. Boonekamp, M. M. G., & Colomer, C., Tomas, A., Nunez, A. (1999) Healthy cities evaluation: The co-ordinator perspective.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4(2), 103-110. 

  9. Hall, C., Davies, J., & Sherriff, N. (2009) Health in the urban environment: a qualitative review of the Brighton and Hove WHO healthy city program. Journal of Urban Healthy, 87(1), 8-28. 

  10. Harpham, T., Burton, S., & Blue, I. (2001). Healthy city projects in developing countries: the first evaluation.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6(2), 111-125. 

  11. Iso, E. (2009) The introduction of health impact assessment in the WHO European healthy cities networks.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4(1), 64-71. 

  12. Kang, E. J. (2010). Study on the health planning and public policies for creating a healthy city. Planning and Policy, 345, 35-42. 

  13. Kim, J. H., Jhang, W. G., Kang, E. J., Koh, K. W., Kim, K. Y., Park, K. J., & Park, Y. H., (2011). Healthy cities approach as a new paradigm of public health policy,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8), 884-891. 

  14. Kim, J. M., & Koh, K. W. (2009). Assessment of individual,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capacity for healthy citi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2), 119-133. 

  15. Lafond, L. J., & Heritage, Z. (2009) National networks healthy cities in Europe.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4(1), 100-107. 

  16. Leeuw, D. E. (1999). Healthy cities: Urban social entrepreneurship for health.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4, 261-369. 

  17. Liverpool City. (1996). Liverpool City Health Plan. Liverpool, U.K: Liverpool city. 

  18. Liverpool City. (2010). Healthy City?: Report of Liverpool. U.K: Link Healthy City Task and Finish Group. 

  19. Nam, E. W. (2007), Review and prospective of the healthy citi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4(2), 123-134. 

  20. Nam, E. W., Moon, J. Y., & Lee, A. (2010). Evaluation of healthy city project using SPIRIT checklist: Wonju city case.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5), 15-25. 

  21. O'Neill, M., & Simard, P. (2006). Choosing indicators to evaluate healthy cities projects: A political task?.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1, 145-152. 

  22. Oh, Y. M., Kim, H. J., & Hong, K. S. (2011). Evaluation of the healthy cities in Korea(2008-2010).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3), 99-111. 

  23. Park, Y. H. (2013, April). Implementation strategy for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of healthy cities in Korea. In D. L. Evelyne (chair), Meeting on Implementation National Accreditation System for Healthy City and Technical Network. Symposium conducted at the meeting of WPRO,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Korea. 

  24. Ritsatakis, A. (2009) Equity and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t a city level.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4(1), 81-90. 

  25. Strobl, J., & Bruce, N. (2000). Achieving wider participation in strategic health planning: Experience from the consultation phase of Liverpool's 'City Health Plan'.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5, 215-225. 

  26. Tsouros, A. (2009) City leadership for heal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European healthy cities network.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4(1), 4-10. 

  27. Webster, P. (1999) Review of the 'City Health Profile' produced by WHO-Healthy Cities- do they present information on health and its determinants and what are their perceived benefit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33, 125-127. 

  28. Webster, P., & Lipp, A. (2009) The evolution of the WHO city health profiles: A content review.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4(1), 56-63. 

  29. WHO-EURO. (1997). Twenty steps for developing a healthy cities project (3rd ed.). Copenhagen, Denmark: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30. WHO-EURO. (1998). City health profiles: A review of progress. Copenhagen, Denmark: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31. WHO-EURO. (2003) National healthy cities networks : A powerful force for heal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Europe. Copenhagen, Denmark: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32. Wonju City. (2006). 5 year Plan for healthy city Wonju. Yonsei University, Wonju: Healthy City Research Center 

  33. Wonju City. (2010). Development of Healthy City Wonju Vision.. Yonsei University, Wonju: Healthy City Research Center 

  34. Yoon, T. H., Choi, M. H., Cheong, K. S., Kim, Y. H., Kim, K. Y., & Jung, B. G. (2011). Priority setting for the healthy city program in Busan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3), 31-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