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도시프로젝트에서의 도시건강프로파일 개발사례
Demonstrative development of City Health Profile in Healthy City Project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1 no.3, 2014년, pp.109 - 117  

임백빈 (동서대학교 레포츠 과학부 운동처방학전공) ,  고광욱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희숙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  신용현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lthough many cities have adopted Healthy Cities approach in Republic of Korea, few studies have been reported about city health profile. So we report a case of city health profile made of subjective indexes and objective indicators using available recent evidence. Methods: To assess su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표는 한 도농통합시를 대상으로 주관적 지수와 객관적 지표를 망라하여 자료의 분석과 해석을 용이 하게 할 수 있도록 시계열적 비교를 가능하게 하면서 일개도시의 지표를 광역시도 차원과 비교할 수 있도록 도시건강프로파일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관적 도시건강지수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주관적 도시건강지수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여자가 49.9%로 남자보다 많았으며, 연령으로는 45세∼64세가 61.4%로 가장 많았다. 대졸자 이상이 62.6%로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월평균 가구 소득이 301만원∼ 400만원인 사람이 26.3%로 가장 많았다. 소속으로는 일반인 (45.9%)과 공무원(42.5%)이 비슷하였으며 거주지가 ‘동지역’인 사람이 63.9%로 읍 면지역인 사람보다 많았다[Table 1].
도시건강프로파일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그 유래는 1984년 토론토시에서의 워크샵이 효시가 되어 1986년 세계보건기구 유럽사무국에서 ‘모든 인류에게 건강(Health for All)’을 보장하기 위한 일차보건의료 (Primary Health Care)의 원칙과 전략을 도시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고, 도시의 의제화 하고자 제안된 후 전세계로 확산되어 건강한 생활터 만들기의 대표적 사업으로 활성화 되어왔다. 도시건강프로파일은 시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집약하여 문제점과 개선영역을 제시하고 실행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Bae, 2012).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역 건강도시연맹(Alliance for Healthy Cities)과 대한민국 건강도시 협의회에 국내의 다수 지자체가 참여하고 있지만 도시건강프로파일은 주로 세계보건기구 유럽지침서의 9개 예시 항목에 따라 작성되어 온 것으로 보이고 다양한 학술적 지견들이 반영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인구 당 비율은 무엇을 기준으로 산출하였는가? 소지역별 사망률 자료는 3년간 사망률로 작성된 표준화 사망 비(Standardized Mortality Ratio) 기존자료(Kim, 2011)를 활용하였다. 인구 당 비율의 산출은 당해 연도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e, S. S. (2012). Theory and approach of health promotion. Seoul: Gyechukmunhwasa. 

  2. Kim, J. H., Jhang, W. G.,, Kang, E. J., Koh, K. W., Kim, K. W., Park, K. J., & Park, Y. H. (2012). Healthy cities approach as a new paradigm of public health policy. J Korean Med Assoc, 54(8), 884-891. 

  3. Kim, K. T. (2011). Is your village healthy? Hangyeore 21. T Retrieved from http://h21.hani.co.kr/arti/cover/cover_general/28863.html 

  4. Koh, K. W., & Shin, Y. H. (2012). Profile and plan for healthy city pohang. Busa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of Kosin University. 

  5. Koh, K. W., Kim, J. M., Kim, Y. J., & Song, S. E. (2006). Project report of healthy city Jinju city. Busa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of Kosin University. 

  6. Marc Lalonde. (1974). A new perspective on the health of Canadians: a working document. Ottawa: Government of Canada. 

  7. McKweon, T. (1979). The role of medicine: dream, mirage or nemesis? Oxford: Blackwell. 

  8. Nam, E. W., Park, J. S., &, Song, A. (2006). An assessment of healthy city level by comparing health city index - Comparisons among the selected cities of Korea, Japan and England.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16(2), 1-20. 

  9. Pohang city government. (2012). City administration board:welfare and health Retrieved from http://www.ipohang.org/Board/?boardpds&wsr복지/보건/ 

  10. Risa, F. B., & Kawachi, I. (2000). Social epidemiology.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1. Rudolph, L., Caplan, J., Ben-Moshe, K., & Dillon, L. (2013). Health in All Policies: A Guide for State and Local Governments. Washington, DC and Oakland, CA: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nd Public Health Institute. 

  12. Shin, Y. J., Yoon, T. H., & Kim, M. H. etc. (2009), Health promotion strategies and programmes development for health inequalities alleviation. Seoul: Health promotion initiative supporting corporation. 

  13. The City of Toronto. (1996). Signs of progress, signs of caution. Toronto: Ontario Healthy Communities Coalition, 

  14. Wilkinson, R., & Marmot, M. (2003).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The solid facts. Second edi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5.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Kobe Center. (2010). Urban Health Equity Assessment and Response Tool. Kobe: WHO Kobe Center 

  16.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1998). City Health Profiles: how to report on health in your city. Copenhagen: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17.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Regional Office of Europe. (1988). City health profiles:how to report on health in your city. Copenhagen: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18. Yoo, W. S., Kim, K. Y., & Koh, K. W. (2007). Introduction of Health Impact Assessment and Healthy Cities as a Tool for Tackling Health Inequality. J Prev Med Public Health, 40(6), 439-4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