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강유전체 박막 형성방법에 따른 용액 공정 기반 강유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 의존성
Dependence of Ferroelectric Film Formation Method on Electrical Characteristics in Solution-processed Ferroelectric Field Effect Transistor 원문보기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 전자공학회논문지, v.50 no.7, 2013년, pp.102 - 108  

김우영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  배진혁 (경북대학교 전자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용액 공정 기반으로 유기 전자소자를 제작할 시, 회전 도포 방법을 이용하는데 이 방법의 단점 중의 하나는 후속 회전 도포할 때 용액 속의 용매에 의해 이미 제작된 유기 박막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후속적인 박막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의 종류는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용매들의 적절한 조합으로 인해 다층 박막 제작이 가능함을 보이고, 이를 이용하여 용액 공정 기반 유기 트랜지스터를 제작하여 성능의 향상을 보일 것이다. 트랜지스터의 구조는 하부 게이트 하부 접촉 (bottom gate, bottom contact) 구조로 제작되었고 게이트 절연체강유전체 고분자로 제작되었는데 한 번의 회전 도포 방법과 두 번의 회전 도포 방법으로 동일 두께를 형성하여 두 트랜지스터를 제작, 드레인 전압에 따른 소스-드레인 전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소스-게이트 누설 전류 감소 효과가 있었고, ON 상태에서의 소스-드레인 전류의 상승효과도 관찰되었다. 전류-전압 그래프로부터 계산된 이동도는 약 2.7배 증가되었다. 그러므로 용액 공정 기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제작할 시, 게이트 절연체를 다층 구조로 제작하면 성능 향상에 이점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manufacturing of solution-processed organic electronic devices, a spin coating method is frequently used, but which has a big problem. Solvent in a solution has a decisive effect such as physical and chemical damage for successive solution-based film deposition. Such a severe damage by solvent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5] 기존의 연구에서 강유전체 박막을 이용하여 다층 구조를 제작할 수 있음을 보였는데, 공정에 사용될 용매들의 쌍극자 모멘트에 따라 녹일 수 있는 용매와 녹일 수 없는 용매로 분류하여 적절한 비율로 섞으면 특정 비율에서 용해도가 매우 낮아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용액 공정 기반 강유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제작하여 게이트 절연체가 다층 구조로 제작될 경우, 트랜지스터 성능이 더 뛰어나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용액 공정 기반으로 유기 전자소자를 제작하는 방법 중 회전 도포 방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용액 공정 기반으로 유기 전자소자를 제작할 시, 회전 도포 방법을 이용하는데 이 방법의 단점 중의 하나는 후속 회전 도포할 때 용액 속의 용매에 의해 이미 제작된 유기 박막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후속적인 박막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의 종류는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전자소자는 시스템의 기능이 집접화되고 복잡해질수록 무엇을 더 많이 필요로 하게 되는가? 용액 공정은 용액 상태로 유기물을 기판 또는 이미 형성되어 있는 다른 유기물 박막 위에 성막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치게 되는데, 이때 용액의 용매가 이미 형성된 유기물 박막을 녹이거나 변형 시켜서 전자소자로서의 기능 상실, 두께 불균일화, 누설전류 증가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자소자는 시스템의 기능이 집적화되고 복잡해질수록 더 많은 다층 구조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층수가 많아질수록 적절한 용매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제한적이 되고 공정을 어렵게 한다. 최근 본 연구그룹은 이러한 제한적인 용매 선택을 좀 더 완화하여 공정마진을 넓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회전 도포 방법의 단점에서 나오는 문제들로 인해 어떤 것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가? 용액 공정 기반으로 유기 전자소자를 제작할 시, 회전 도포 방법을 이용하는데 이 방법의 단점 중의 하나는 후속 회전 도포할 때 용액 속의 용매에 의해 이미 제작된 유기 박막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후속적인 박막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의 종류는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용매들의 적절한 조합으로 인해 다층 박막 제작이 가능함을 보이고, 이를 이용하여 용액 공정 기반 유기 트랜지스터를 제작하여 성능의 향상을 보일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R.-H. Kim, S. Kim, Y. M. Song, H. Jeong, T.-I. Kim, J. Lee, X. Li, K. D. Choquette and J. A. Rogers, "Flexible Vertical Light Emitting Diodes," Small 8(20), 3123-3128 (2012) 

  2. F. N. Ishikawa , H.-k. Chang , K. Ryu , P.-c. Chen , A. Badmaev , L. G. De Arco , G. Shen and C. Zhou, "Transparent Electronics Based on Transfer Printed Aligned Carbon Nanotubes on Rigid and Flexible Substrates", ACS Nano, 3 (1), pp 73-79 (2009) 

  3. D.-H. Kim, J. Viventi, J. J. Amsden, J. Xiao, L. Vigeland, Y.-S. Kim, J A. Blanco, B. Panilaitis, E. S. Frechette, D. Contreras, D. L. Kaplan, F. G. Omenetto, Y. Huang, K.-C. Hwang, M. R. Zakin, B. Litt and J. A. Rogers, "Dissolvable Films of Silk Fibroin for Ultrathin Conformal Bio-Integrated Electronics," Nature Materials 9, 511-517 (2010). 

  4. D.-H. Kim, R. Ghaffari, N. Lu, S. Wang, S. P. Leeb, H. Keume, R. D'Angelo, L. Klinker, Y. Su, C. Lu, Y.-S. Kim, A. Ameen, Y. Li, Y. Zhang, B. de Graff, Y.-Y. Hsu, Z. Liu, J. Ruskin, L. Xu, C. Lu, F. G. Omenetto, Y. Huang, M. Mansour, M. J. Slepian and J. A. Rogers, "Electronic Sensor and Actuator Webs for Large-Area Complex Geometry Cardiac Mapping and Therapy,"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SA, 109(49) 19910-19915 (2012) 

  5. W. Y. Kim, J.-H. Bae, and H. C. Lee,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erroelectric Multilayered Films Fabricated by Solvent Blending",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1, no.9, p.1518 (2012) 

  6. T. Furukawa, "Ferroelectric properties of vinylidene fluoride copolymers", Phase Transitions, vol.18, pp.143-211 (1989) 

  7. S. E. Frittz, T. W. Kelley, and C. D. Frisbie, "Effect of Dielectric Roughness on Performance of Pentacene TFTs and Restoration of Performance with a Polymeric Smoothing Layer", 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B, vol.109(21), pp.10574-10577 (2005) 

  8. D. Choi, S. Jin, Y. Lee, S. H. Kim, D. S. Chung, K. Hong, C. Yang, J. Jung, J. K. Kim, M. Ree, and C. E. Park, "Dielectric Observation of Interfacial Morphology in Poly(3-hexylthiophene) Transistor: Relationship between Grain Boundary and Field-Effect Mobiity", ACS Applied Materials and Interfaces, vol. 2(1), pp.48-53 (2010) 

  9. S. Fujisaki, H. Ishiwara, and Y. Fujisaki, "Low - voltage operation of ferroelectric poly (vinylidene fluoride- trifluoroethylene) copolymer capacitors and metal - ferroelectric - insulator - semiconductor diodes", Applied Physics Letters, vol.90, pp.162902 (2007) 

  10. Y. J. Park, H. J. Jeong, J. Chang, S. J. Kang, and C. Park, "Recent Development in Polymer Ferroelectric Field Effect Transistor Memory",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vol.8 (1), pp.51-65 (2008) 

  11. S. J. Kang, W. J. Lee, D. H. Chang, and Y. S. Yoon, "A Study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and Electrical Conduction of PVDF Thin Films by Physical Vapor Deposition", 전자공학회논문지 SD편, vol. 37(5), pp.9-15 (2000) 

  12. D. H. Chang, S. J. Kang, and Y. S. Yoon"Pyroelectric Properties of the $\beta$ -PVDF (Poly(vilnylidene fluoride)) Thin Film Prepared by Vacuum Deposition with Applying Electric Field", 전자공학회논문지 SD편, vol.39(5), pp.23-30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