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사태해석을 위한 GIS기반의 강우침투-지하수흐름 예측 기법 제안
Predicting Rainfall Infiltration-Groundwater Flow Based on GIS for a Landslide Analysis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29 no.7, 2013년, pp.75 - 89  

김정환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정상섬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배덕효 (세종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 해석을 위한 GIS기반의 지반수문학적인 강우침투-지하수 흐름 모델(YSGWF, YonSei GroundWater Flow)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흙의 불포화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개선된 Green-Ampt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지하수의 흐름을 계산하기 위하여 Darcy의 법칙과 GIS의 래스트 모델을 사용하였다. GIS 수치표고모델그리드 형태의 래스트 모델(Raster Model)로 변환하여 기반암 데이터를 모델링 하였으며, 경사와 흐름 방향을 분석하여 지하수 흐름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지하수의 분포는 지표면으로 부터 강우 침투에 의해 일시적으로 형성되는 습윤대, 함양되기 전까지의 불포화대, 기반암 상부의 지하수대로 구분하였으며, 지하수대 상부의 연직방향 침투와 지하수대에서의 수평방향 흐름을 고려하여 3차원적인 지하수 흐름을 계산하도록 하였다. 실제 사례와 비교한 결과, 본 지하수 예측모델(YSGWF)에 의한 산사태 해석 결과는 산사태 발생지역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검증을 토대로 실제 산지에 대한 산사태 해석을 위한 지하수 예측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scribes a GIS-based geohydrologic methodology, called YSGWF (YonSei GroundWater Flow) for predicting the rainfall infiltration-groundwater flow of slopes. This physical-based model was developed by the combination of modified Green-Ampt model that considers the unsaturated soil parame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방법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GIS의 래스트 모델과 Darcy의 법칙을 이용하여, 2차원적인 흐름과 수직방향 지하수위의 변화량을 산정하여, 지하수의 변화량을 예측하는 기법인 YSGWF 모델을 개발하였다. YSGWF 모델은 산사태해석을 위한 GIS기반의 지하수 예측기법으로 다음과 같은 가정을 기본으로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 해석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지하수의 분포를 예측할 수 있는 GIS 기반의 지하수 예측 기법(YSGWF)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YSGWF 모델을 무한사면 파괴모델과 결합하여 산사태 예측 기법인 YS-Slope(Kim 등, 2012)을 개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지하수의 분포를 예측할 수 있는 지하수 예측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강우침투에서 흙의 불포화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개선된 Green-Ampt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지하수의 흐름을 계산하기 위하여 Darcy의 법칙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래스트 모델(Soller et al.
  • Hammond(1992)는 식생의 하중과 점착력으로 환산한 뿌리의 지반보강 효과를 고려하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지하수와 일시지하수가 같이 분포하는 경우에 대한 불포화 토사 사면의 안정 해석이 가능하 도록 무한사면파괴 모델을 개선하였다. Fig.
  • 개발된 YSGWF 모델을 무한사면 파괴모델과 결합하여 산사태 예측 기법인 YS-Slope(Kim 등, 2012)을 개선하였다. 제안된 해석 기법의 검증을 위하여 기존 산사태 해석 기법 및 실제 사례와 비교하였으며, 실제 산지의 산사태 예측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1) 대수층은 균질하다.
  • 4) 지하수는 셀 단위로 계산하며, 셀 내의 지하수 흐름은 무시한다.
  • 4와 같이 지표면으로 부터 강우 침투에 의해 일시 적으로 형성되는 습윤대, 함양되기 전까지의 불포화대, 기반암 상부의 지하수대로 구분하였으며, 지하수 상부의 연직방향 침투와 지하수대에서의 수평방향 흐름을 고려하여 3차원적인 지하수 흐름을 계산하였다. 또한, Green-Ampt 모델과 같이 침윤전선에서 모관 흡수력과 침윤전선 윗부분 또는 아랫부분에서의 함수량 결손 및투수계수는 일정하다고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지하수의 분포와 모관흡수력의 분포를 정리하여 Fig.
  • 래스트 모델의 경사 데이 터와 유역과 흐름의 벡터데이터를 이중적인 방법을 사용하므로, 유역 경계에서 자료의 왜곡과 데이터 변화에 의한 계산 한계 등의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흙 속의 물의 흐름에서 운동에너지를 무시하는 것으로 가정하 였으며, 따라서 각 물의 흐름은 이웃하지 않는 셀의 흐름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유역과 흐름 경로의 벡터데이터가 필요하지 않으며, Fig.
  • 본 연구에서는 Fig.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윤전선에서 모관 흡수력과 침윤전선 윗부분에서의 함수량 결손및 투수계수는 일정하다는 Green-Ampt(1911)의 기본 가정은 그대로 이용하였으나, Green-Ampt 모델이 투수 계수와 강우강도의 관계를 명확히 구분하고 있지 않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 Fig.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우강도와 투수계수의 크기를 비교하여 강우에 의한 누적침투량을 달리 산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Mein and Larson, 1973; Kim et al., 2012). 또한 Mein과 Larson (1973)의 폰딩(ponding) 시간을 반영하여 강우의 침투-
  • 기존 연구에서 Sangrey 등(1984)은 강우량과 강우지 속시간에 따른 지하수위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지하수위 예측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모델은 대수층은 균질하고, 지하수 공급의 증가는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변화하며, 유출량은 상수의 값을 갖는다고 가정하였다. 유입량과 유출량이 동일하다는 조건하에 유역 전체를 하나의 모의 요소로 고려하는 집중형 모델(lumped model)을이용하고 있어 유역에 대한 정확한 물리적 요소를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 지하수문 모델은 강우의 지표 침투와 함양, 그리고 지하수의 흐름과 관련한 모델이다. 이 모델의 개발에서 대 수층은 균질하고, 함양은 흙의 수리학적 특성과 강우강 도에 의해 시간에 따라 변화하며, 지하수의 흐름은 불포 화영역(Vadose zone) 하부 지하수에서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 침투량(I R)과 함양량(R)을 구하기 위하여, 흙의 불포화특성을 고려한 개선된 Green-Ampt 모델(Green-Ampt, 1911; Mein and Larson, 1973)을 개선하여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우에 의한 산사태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산사태의 발생은 넓은 범위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며, 지반, 지형, 식생, 강우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잡하게 연관되 어 있으므로, 여러 가지 인자들을 고려한 광역적 평가에 의한 산사태 위험관리가 필요하다. 강우에 의한 산사태는 침투에 의해 습윤대가 임계 깊 이에 도달하여 발생되는 경우와, 지하수 상승에 의한 유 효응력 감소로 발생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Kim, 1994; Jeong, 2009). 강우에 의한 산사태 문제에서 흙의 불포화 특성을 고려하는 것은 산사태 해석 결과를 결정 하는데 매우 중요하며(Jeong, 2009), 강우의 침투-유출 의 수문모형 적용에서 정확한 침투량 산정을 위해서는 흙의 불포화 특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물리적 기반의 산사태 모형이란 무엇인가? 복잡한 산지 지형에 내리는 강우에 대해 지반은 공간적 으로 서로 다른 함수 상태를 가지며, 강우의 침투와 지 하수 흐름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물리적 기반의 산사 태 모형의 사용이 강우에 의한 산사태를 예측하는 데 핵심이 된다. 물리적 기반의 산사태 모형은 지형학적 요 소, 기상학적 요소, 수문학적 요소 및 지반공학적 요소 를 결합하여 물리모델을 구성하고, 수치표고모델, 지반 정보, 강우 정보 등을 입력하여 산사태를 예측하는 방법 이다.(Zonghu et al.
물리적 기반의 산사태해석 모형에는 어떤 모형들이 있으며 그들은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을 갖는가? 물리적 기반의 산사태해석 모형들은 대부분 사면 파괴 이론과 수문 모형을 결합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SINMAP (Stability INdex MAPping), TRIGRS(Transient Rainfall Infiltration and Grid- based Regional Slope-stability analysis), SHALSTAB(Shallow Landsliding STABility model) 등의 모형이 있으며, 모두 무한사면 파괴 모델과 수문모델의 결합으로 이루어졌다는 유사점이 있으나, 입력 변수와 수 문 모델에서 차이점을 가진다. SINMAP과 SHALSTAB은 지하수의 흐름은 사면의 경사를 따른다는 기본 가정과 TOPMODEL의 상부 지형의 지하수 기여면적 개념(Bev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http://www.kma.go.kr, Auto Weather System (AWS). 

  2. Baum, R.L., Savage, W.Z., and Godt, J.W. (2008), "TRIGRS-A fortran program for transient rainfall infiltration and grid-based regional slope-stability analysis, version 2.0", U.S. Geological Survey, Open-File Report 2008-1159. 

  3. Beven, K.J. and Kirkby, M.J. (1979), "A physically based, variable contributing area model of basin hydrology", Hydrological Sciences, Vol.24, pp.43-69. 

  4. Beven, K.J., Lamb, R., Quinn, P., Romanowicz, R., and Freer, J. (1995), "TOPMODEL, Chapter 18 in Computer Models of Watershed Hydrology", Edited by V. P. Singh,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Highlands Ranch, Colorado, pp.627-668. 

  5. Borga, M., Fontana, G.D., and Cazorzi, F. (2002), "Analysis of topographic and climatic control on rainfall-triggered shallow landsliding using a quasi-dynamic wetness index", Journal of Hydrology, Vol.268, pp.56-71. 

  6. Fredlund, D.G., Morgenstern, N.R., and Widger, A. (1978), "Shear strength of unsaturated soils", Journal of Canadian Geotech, Vol.15, pp.313-321. 

  7. Goldschmidt (1960), "Hydrometeorological methods of quantitative estimation of annual underground water replenishment", Internat. Assoc. of Sci. Hydrology, No.52, pp.272-278. 

  8. Green, W.H. and Ampt, G.A. (1911), "Studies on soil physics I-the flow of air and water through soils", Journal of Agriculture Science, Vol.4, No.1, pp.1-24. 

  9. Hammond, C., D. Miller, H.S., and Swetik, P. (1992), "Level I Stability Analysis (LISA) Documentation for Version 2.0", USDA Forest Service Intermountain Research Station, General Technical Report INT-285. 

  10. Iverson, R.M. (2000), "Landslide triggering by rain infiltr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36, No.7, pp.1897-1910. 

  11. Jenson, S.K. and Dominque, J.O. (1988), "Exacting topographic structure from digital elevation data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alysi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ol.54, No.11, pp.1593-1600. 

  12. Jeong, S.S., Kim, J.H., and Lee, K.H. (2008), "Effect of clay content on well-graded sands due to infiltration", Engineering Geology, Vol.102, pp.74-81. 

  13. Jeong, S.S., Kim, J.H., and Park, S.W. (2004), "Influence of rainfall-induced wetting on unsaturated weathered slopes", Journal of the KGS, Vol.20, No.7, pp.159-169. 

  14. Jeong, S.S., Choi, J.Y., and Lee, J.H. (2009), "Stability analysis of unsaturated weathered soil slopes consigering rainfall duration", Journal of KSCE, Vol.29, No.1C, pp.1-9. 

  15. Kim, J.H., Jeong, S.S., Park, S.W., and Sharma, J. (2004), "Influence of rainfall-induced wetting on the stability of slopes in wethered soil", Engineering Geology, Vol.75, pp.252-262. 

  16. Kim, J.H., Jeong, S.S., and Regueiro, R.A. (2012), "Instability of partially saturated soil slopes due to alteration of rainfall pattern", Engineering Geology, Vol.147-148, pp.28-36. 

  17. Kim, J.H., Kim, Y.M., Lee, K.W., and Jeong, S.S. (2012), "A new prediction model (YS-Slope) for extreme rainfall-induced landslide hazard based on 3D spatial data", KSCE Civil Expo special session, pp.9-16. 

  18. Kim, S.K. (1994), "Instability of Cut slopes due to rainfall", KGS Geotechnical Conference, pp.25-47. 

  19. Mark, D. M. (1984), "Automated detection of drainage networks from digital elevation model", Cartographica, Vol.21, No.2, pp.168-177. 

  20. Mein, R.G. and Larson, C.L. (1973), "Modeling infiltration during a steady rai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9, No.2, pp.384-394. 

  21. Motgomery, D.R. and Dietrich, W.E. (1994), "A physically based model for the topographic control on shallow landsliding", Water Resources Research, Vol.30, No.4, pp.1153-1171. 

  22. Pack, R.T., Tarboton, D.G., and Goodwin, C.N. (1998), "The SINMAP approach to terrain stability mapping", proceedings, International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Engineering Geology and the Environment, 8th, Vancouver, Britich Columbia, Canada, pp.1157-1165. 

  23. Pradel, D. and Raad, G (1993), "Effect of permeability on surficial stability of homogeneous slopes",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ASCE, Vol.119, No.2, pp.315-332. 

  24. Reddi, L.N. and Wu, T.H. (1991), "Probabilistic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s in hillside slopes",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neering, ASCE, Vol.117, No.6, pp.872-890. 

  25. Sangrey, D.A., Harrop-Willimas, K.O., and Klaiber, J.A. (1984), "Predicting ground-water response to precipitation",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neering, ASCE, Vol.110, No.7, pp.957-975. 

  26. Soller, D.R. et al. (1999), "Proposed guidelines for inclusion of digital map products in the National Geologic Map Database", Digital Mapping Techniques '99-Workshop Proceedings, U.S. Geological Survey Open-File Report 99-386, pp.35-38. 

  27. Soller, D.R. and Berg, T.M. (2003), "The National Geologic Map Database Project: Overview and Progress", Digital Mapping Techniques '03 - Workshop Proceedings, U.S. Geological Survey Open-File Report 03-471. 

  28. Tarboton, D.G. (1997), "A New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flow directions and upslope areas in grid digital elevation model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33, No.2, pp.309-312. 

  29. Topper, R., Spray, K.L., Bellis, W.H., Hamilton, J.L., and Barkmann, P.E. (2003), "Ground water atlas of Colorado", Colorado Geological Survey. 

  30. Zonghu, L. et al. (2011), "Evaluation of TRIGRS (transient rainfall infiltration and grid-based regional slope-stability analysis)'s predictive skill for hurricane-triggered landslide : a case study in Macon Country, North Carolina", Natural Hazards, Vol.58, pp.325-3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