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노년층 남성의 성공적 노화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Successful Aging of Middle and Old Aged Me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7, 2013년, pp.3275 - 3283  

홍승정 (수원여자대학교 미용예술과) ,  윤미경 (성결대학교 생태공동체연구소) ,  이세원 (생활한방연구소) ,  안혜경 (한방건강증진교육협회) ,  유시영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중 노년층 남성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 사회적지지, 지역사회 환경, 자기효능감성공적 노화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서울과 경기 지역의 50~79세의 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으로 분석하였고, 성공적 노화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성공적 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지지였으며, 다음은 자기효능감, 지역사회 환경, 주관적 건강의 순이었다. 이들 변인들이 중 노년층 남성의 성공적 노화를 49.5% 설명하였다. 결론: 중 노년층 남성들의 성공적인 노후를 위한 프로그램과 중재에 이들 변인들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추후 성공적 노화를 위한 복지와 건강증진을 강화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to verify and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successful aging with social support, self-efficacy, community environment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n middle and old aged men. Methods: The survey was performed to the men between the ages of 50 and 79 in Seoul and Kyunggi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노년층 남성의 주관적 건강, 사회적지지, 지역사회 환경,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 노화의 정도를 파악하고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공적 노화의 4가지 구성요소를 설명하시오. 성공적 노화는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어져 왔는데 사회심리학적 접근은 삶의 만족, 심리적 유지, 사회적 기능성 등을, 생의학적 접근은 육체적, 인지적 기능성을 강조하고 있다[5]. 국내·외 성공적 노화에 대한 연구에서,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는 매우 다각적인 면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1)신체적 요인에는 신체적 건강 등 (2)심리적 요인에는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수용성, 적응성, 자아성취감 등 (4)경제적 요인에는 경제적 안정 등 (5)사회문화적 요인에는 사회적 지지, 부부관계, 가족지향 등을 포함하고 있다[6-12]. Rowe와 Kahn은 건강상태, 사회관계망의 특징, 심리적 특징, 신체적·인지적 기능, 생산적 활동 등의 5가지 영역을 측정하여 이들 간의 영향력 및 관련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2011년도 우리나라 남성의 기대수명은? 2011년도 우리나라 남성의 기대수명은 77.6세이고 2009년도 건강수명(Health-Adjusted Life Expectancy)은 71.4세[1]이므로 일생동안 6.
Rowe와 Kahn이 정의한 성공적 노화의 3가지 요소는? 우리나라의 경우 너무 급속한 고령화추세에 따라 중·노년층 건강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대응체계 중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는 건강수명의 연장을 통한 성공적 노화의 달성이다[2]. 성공적 노화는 1986년 미국 노년학회에서 처음 소개된 개념으로, 대표적 이론으로 Baltes와 Baltes[3]의 보상을 수반한 선택적 적정화 모델과 Rowe와 Kahn[4]의 적극적 사회참여 모형 등을 들수 있는데, Baltes와 Baltes는 성공적 노화의 개념을 획득을 최대화하고 상실을 최소화 하는 개인과 환경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 과정으로 정의하였고, Rowe와 Kahn은 성공적 노화의 3가지 요소로 질병과 장애의 부재, 높은 신체적, 인지적 기능 유지, 삶에 대한 적극적 참여 등을 제시하고 있다. 성공적 노화는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어져 왔는데 사회심리학적 접근은 삶의 만족, 심리적 유지, 사회적 기능성 등을, 생의학적 접근은 육체적, 인지적 기능성을 강조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Statistics Korea, Statistics of the Aged, 2012. 

  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 Extensive Investigation on Cost-Effective Ageing-Related Research System in Korea. pp.17-22, 2007. 

  3. P. B. Baltes, & M. M. Baltes,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In P. B. Baltes & M. M. Baltes(Eds.).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1-34, 1990. DOI: http://dx.doi.org/10.1017/CBO9780511665684 

  4. J. W. Rowe, & R. L. Kahn, Successe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4), pp.433-440, 1997. DOI: http://dx.doi.org/10.1093/geront/37.4.433 

  5. A. Bowling, Aspirations for older age in the 21st century; What is successful aging?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64, pp.263-297, 2007. DOI: http://dx.doi.org/10.2190/L0K1-87W4-9R01-7127 

  6. H. K. Kim, Gender difference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successful aging among rural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2(3), pp.819-834, 2012. 

  7. S. D. Chu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successful aging for Korean elderly women and elderly m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7(4), pp.829-849, 2007. 

  8. J. H. Cho, Prediction Model for the Successful Aging of Middle Ag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013. 

  9. Y. J. Jeong & J. S. An, 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s on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m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pp.535-550, 2010. 

  10. K. L. Chou, & I. Chi, Successful aging among the young-old, old-old, oldest-old chines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4(1), pp.1-14, 2002. DOI: http://dx.doi.org/10.2190/9K7T-6KXM-C0C6-3D64 

  11. R. Crosnoe, & G. H. Elder. Jr, Successful adaptation in the later years: A life course approach to ag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5(4), 309-328, 2002. DOI: http://dx.doi.org/10.2307/3090105 

  12. G. E. Vaillant & K. Mukamal, Successful aging.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8(6), pp.839-847, 2001. DOI: http://dx.doi.org/10.1176/appi.ajp.158.6.839 

  13. S .N. Jeon, & H. G. Shin, The effects of perceived health and ageism experience on successful aging.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6, pp.29-52, 2009. 

  14. M. K. Youn,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Oriental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2011. 

  15. H. S. Kim, A Study of Influential Factor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Korean Seniors in Commun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Seoul, 2009. 

  16. M. S. Suk, Ecological-systematic approach to subjective well-being of the aged at local communit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6, pp.237-261, 2004. 

  17. M. H. Kim & K. R. Shin,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uccessful aging scale for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5(2), pp.35-52, 2005. 

  18. D. Haber, Health promotion and aging: Practical applications for health professionals(3rd. ed.).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pp.12-17, 2006. 

  19. M. P. Lawton, M. Moss, & M. Fulcomer,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 level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Gerontology, 37, pp.91-99, 1982. DOI: http://dx.doi.org/10.1093/geronj/37.1.91 

  20. J. W. Park, A Study of Development of a Tool in Measuring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985. 

  21. M. Sherer, & J. E. Maddux,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pp.663-667, 1982. DOI: http://dx.doi.org/10.2466/pr0.1982.51.2.663 

  22. S. I. Park, & B. H. Cho, A study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efficacy and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stroke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7(2), pp.149-158, 2004. 

  23. D. B. Kim,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elderly's successful aging scal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0(1), 211-231, 2008. 

  24. S. Y. Lee,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successful aging between women and men. Gender & Culture, 3(1), pp.99-124, 2010. 

  25. M. S. Lee,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atus and successful aging among the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7, pp.289-313, 2012. 

  26. C. A. Depp, & D. V. Jeste, Definitions and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a comprehensive review of larger quantitative studies. American Journal of Geriatirc Psychiatry, 14(1), pp.6-20, 2006. DOI: http://dx.doi.org/10.1097/01.JGP.0000192501.03069.bc 

  27. S. J. Han, J. S. Han, & Y. S. Moon,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in elde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1(4), pp.423-433, 2009. 

  28. J. S. Ann, A Study on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in Adult Developmental Stag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2009. 

  29. H. W. Kang, A Study on Successful Aging of Korean Eders: Focused on the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on Successful Ag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angnam University, Yongin, 2012. 

  30. H. S. Yoon, H. Y. Lee, & S. K. Lee, Factors associated with uses of health promotion program-Seoul community health center. The Korean Research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8(2), pp.157-184, 2008. 

  31. N. C. Franklin, C. A. Tate, Lifestyle and successful aging: An overview. American Journal of Lifestyle Medicine, 3, pp.6-11, 2009. DOI: http://dx.doi.org/10.1177/1559827608326125 

  32. S .N. Jeon, & H. G. Shin, The effects of perceived health and ageism experience on successful aging.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6, pp.29-52, 2009. 

  33. K. W. Sung, Relation of successful aging and wisdom in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3(1), pp.48-57,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