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성공적노화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on Retirement Preparation in Middle Aged Women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6 no.3, 2019년, pp.175 - 183  

최영미 (마음편한 요양병원) ,  최성희 (한양대학교 간호학과) ,  안옥희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aging anxiety, perceived level of successful aging, and preparation for aging as well as factors influencing preparation for aging. Method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1 women aged between 40 and 59 years residing in area...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중년여성의 노화불안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성공적노화인식의 수준을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노후준비에 대한 방향 제시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성공적노화인식, 노후준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중년여성이 스스로 적절한 노화불안을 줄이고 성공적노화인식을 높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노후준비를 계획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다양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여성 시기에 주로 갖는 특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중년여성은 마흔 살 전 ․ 후의 여성을 의미하며 우리나라의 중년여성인구는 약 8,415천 명으로 1990년에 비해 약 두 배 정도 증가하였다(Korea Statistics Promotion Institute, 2017). 중년여성은 신체적 노화 과정의 진행으로 폐경 전 ․ 후에 호르몬, 생산능력 및 외모의 변화를 경험하고, 건강력의 쇠퇴로 만성질환에 노출될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Barrett & Robbins, 2008;Kang & Seo, 2012).
중년여성은 무엇인가? 중년여성은 마흔 살 전 ․ 후의 여성을 의미하며 우리나라의 중년여성인구는 약 8,415천 명으로 1990년에 비해 약 두 배 정도 증가하였다(Korea Statistics Promotion Institute, 2017). 중년여성은 신체적 노화 과정의 진행으로 폐경 전 ․ 후에 호르몬, 생산능력 및 외모의 변화를 경험하고, 건강력의 쇠퇴로 만성질환에 노출될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Barrett & Robbins, 2008;Kang & Seo, 2012).
중년여성이 남성보다 노화불안을 더 많이 느끼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시 말해서 노후준비는 기대수명의 증가로 노후에 맞이하게 될 다양한 신체적, 정서적 및 경제적 문제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인이다(Kang, 2016). 그러나 대부분 중년여성은 자신의 문제보다가족과 자녀부양에 큰 의미를 부여하며 자녀교육과 가족생계를 위해 자신이 가진 많은 부분의 소득을 지출함으로써 자신의노후준비를 할 여유가 없다(Ahn, Kim, Anh, & Kim, 2009). 일반적으로 남성은 직장생활을 통해 노동시장의 상황에 대응하며 노후준비에 해당하는 은퇴계획을 세운다. 하지만 대부분 여성은 남성보다 직장생활 참여 여부부터 차이가 있으므로 노후준비의 정도와 수준 차이가 발생한다(Deborach, Clark, &Stillman, 2006). 이렇듯 많은 여성이 노후준비에 대하여 가정에 국한하고 있으며 남편의 건강과 연금 혜택에는 관심이 많으나 상대적으로 노후준비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노년기까지 높은 생활 수준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노후준비를 계획하지 않는 경향이다(Deborach, Clark, & Stillman, 2006). 이러한 중년여성의 노후준비 부족은 남성보다 더 많이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중년여성은 미래의 삶의 대하여 노화불안을 느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H. S., Kim, H. M., Anh, J. K., & Kim, Y. H. (2009). Effects of preparation for old age and perception of the successful aging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Korea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3(3), 137-155. 

  2. Bae, K. H. (1988). A study on preparation for old age of adult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Kungpook. 

  3. Barrett, A. E., & Robbins, C. (2008). The multiple sources of women's aging anxiet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Aging Health, 20(1), 32-65. https://doi.org/10.1177/2F0898264307309932 

  4. Cho, I. Y. (2007). Research on sense of value and perception on successful aging of Korean middle aged peopl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 14(1), 81-109. 

  5. Deborach, A., Clark, C., & Stillman, S. (2006). The retirement expectations of middle-aged individuals (Report No. 2449). IZA Discussion Papers. 

  6. Han, M. R. (2009).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nurses about the preparation and successful life for old 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7. Hawang, S. I. (2000). A study on the attitude of elderly life and the preparation for elderly life of the young - ag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Taegu-Hyosung, Daegu. 

  8. Hong, H. B., & Choi, H. K. (2003). In search of a definition of successful aging: A review of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1(2), 145-154. 

  9. Javadi-Pashaki, N., Mohammadi, F., Jafaraghaee, F., & Mehrdad, N. (2015). Keeping up with the caravan of life: Successful aging strategies for Iranian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on Health and Well-being, 24(10), 1-11. https://doi.org/10.3402/qhw.v10.29500 

  10. Jeong, S. S., & Park, S. B. (2015). Effect of expectation for aging anxiety about successful aging and retirement preparation. Productivity Review, 29(2), 97-120. 

  11. Joung, Y. O., & Oh, H, S. (2016).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n aging anxiety of the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1), 30-41. https://doi.org/10.5932/JKPHN.2016.30.1.30 

  12. Kail, B, L., & Carr, D, C. (2017). Successful aging in the context of the disableent process: Working and volunteering as moderators on the association between chronic conditions and subsequent functional limitation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72(2), 340-350. https://doi.org/10.1093/geronb/gbw060 

  13. Kang, I. (2016).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and preparations for the later life among the baby boom cohor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9), 460-472. https://doi.org/10.5392/JKCA.2016.16.09.460 

  14. Kang, J. H., & Seo, Y. W. (2012). A qualitative study of unmarried middle-aged women's perceptions and preparation efforts for successful aging.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7(2), 127-151. https://doi.org/10.5934/kjhe.2014.23.2.231 

  15. Kang, S. O., & Ha, K. S. (2013). Relations between the middle aged's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nd their preparations for the old ag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12), 121-144.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2.121 

  16. Kim, W. (2010). A comparative study on anxiety about aging of older adult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47, 71-94 

  17. Korea Statistics Promotion Institute. (2017, November). Report on the social survey (Issue Brief No. 23). Seoul: Author 

  18. Lasher, K. P., & Faulkender, P. J. (1993). Measurement of aging anxiety: Development of the anxiety about aging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37(4), 247-259. https://doi.org/10.2190%2F1U69-9AU2-V6LH-9Y1L 

  19. Lee, E. J., & Sung, M. H. (2017). Impacts of health perception, aging anxiety and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ate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3(3), 181-190. https://doi.org/10.4069/kjwhn.2017.23.3.181 

  20. Lynch, S. M. (2000).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aging anxiety. Research on Aging, 22(5), 533-558. https://doi.org/10.1177%2F0164027500225004 

  21. Paik, J. E., & Choi, H. K. (2005).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Korean elderly: The definition, type, and predicting variabl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3(3), 1-16 

  22. Park, H. J. (2015). A study on economic preparations for aging of middle-old aged women.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0), 6618-6626. https://doi.org/10.5762/KAIS.2015.16.10.6618 

  23. Rowe, J. W., & Kahn, R, L. (200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4), 433-440. 

  24. Silverstein, M., & Abramson, A. (2008). The Silver Market Phenomenon: Business Opportunities in an Era of Demographic Change. Germany: Springer. 

  25. Slevec, J., & Tiggemann, M. (2010). Attitude toward cosmetic surgery in middle-aged women: Body image aging anxiety, and the media.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4(1), 65-74. https://doi.org/10.1111/j.1471-6402.2009.01542.x 

  26. Smith, L, H. (2014). Aging, anxiety and appearance: Exploring the body image of women in midlife. Journal of Aesthetic Nursing, 3(3), 134-135. https://doi.org/10.12968/joan.2014.3.3.134 

  27. Song, E. M., & Lee, E. Y. (2015). The relation between the middle class married middle-aged women's health stress and depression, anxiety: Moderation effect of ego-identify.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4), 531-549. https://doi.org/10.4069/kjwhn.2018.24.4.336 

  28. Tomlin, V. (2006). Age Group and Differences in Fears of Aging. Unpublished master's, Rowan University, New Jersey, U.S.A. 

  29. Yeom, J. H., & Kim, S. J. (2013). Korean baby boomers' preparedness for later life: Perspectives on health and social participation.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4, 2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