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 나트륨 과다섭취군의 남녀별 건강관련 식이행태와 생활양식 특성요인
Health-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Lifestyle Factors associated with Sodium Hyperingestion in Korean Adul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7, 2013년, pp.3326 - 3337  

김도우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  이무식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나백주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홍지영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한국 성인남녀의 나트륨 과다섭취와 관련된 건강관련 식이행태와 생활양식의 특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는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30~69세 성인을 대상으로 세계보건기구에서 권장하는 1일 나트륨 섭취량(2,000mg/day)을 기준으로 나트륨 섭취군을 권장섭취군과 과다섭취군으로 구분하고, 남녀별 과다 섭취군과 연관된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식행동, 건강관련 요인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로지스틱회귀분석에 의한 나트륨 과다섭취군의 위험요인들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독신이거나 가구원수가 적은 여자 계층에서 식행동과 건강관련 행동에서는 아침, 점심, 저녁식사여부와 영양표시 이용이 관련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자의 경우는 점심, 저녁 등의 식사여부와 주관적 체형인식의 식이행동만이 관련이 있고 여자의 경우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가구원수와 아침, 점심, 저녁 식사여부의 식이행동만이 관련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서 남녀의 나트륨 과다섭취 행태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으므로, 이를 기초로 한국 성인의 고혈압 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나트륨 저감운동의 전개시, 나트륨 과다섭취 억제를 위한 성별 적정 영양소 섭취기준 및 나트륨 관련 영양표시 이용이 마련되어 효과적인 나트륨 저감 식생활 개선이 되도록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health-related dietary and lifestyle of characteristic factors associated with sodium hyperingestion of korean adults by sexual difference. Study subjects were 30~69years (n=1,622) adults who participated in the 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제 5기 1차 자료 전체 대상자 8,958명 중 고혈압 유병율이 높은 30~69세 성인을 나트륨 과다섭취군 집단과 권고섭취 집단으로 구분하여 성인 남녀의 나트륨과다 섭취실태와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단면조사 연구이다.
  • 이 연구는 고혈압 유병율이 높은 30~69세 성인을 대상으로 나트륨 과다섭취군 집단과 권고섭취 집단으로 구분하여 성인 남녀의 나트륨 과다섭취 실태와 영양섭취상 태 관련요인을 파악한 단면조사 연구이다. 전체 연구대상자 중 독신이거나 가구원수가 적은 여자계층에서 나트륨 과다섭취자가 많았으며, 규칙적 식사여부 등의 건강관련 생활양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조사대상자의 수가 많지 않고 식생활 관련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적정 나트륨 섭취량 과다섭취 집단의 특성을 정상섭취 집단과 비교하여 종합적으로 고려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2010년 국민건강영양 조사 30~69세 성인을 대상으로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장하는 1일 나트륨 섭취량인 2,000mg 이하를 기준으로 한 나트륨 섭취군을 권장섭취군(Normal ingestion Group; 이하 NG)과 과다섭취군(Hyperingestion Group; 이하 HG)으로 구분하고, 이중 남녀별 과다 섭취군과 연관된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과다 섭취군의 식행동, 건강 관련 요인들을 비교, 분석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남녀 성인중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과다섭취군의 문제를 좀 더 정확히 파악함으로서 이들에 대한 적절한 나트륨 과다섭취 행태 예방 및 관리에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다 나트륨 섭취는 어떤 문제를 유발하는가? 한국 보통 성인의 나트륨 섭취량은 선진국에 비해 매우 높은 편이며 이러한 과다 나트륨 섭취로 혈액량이 증가되어 혈압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계속하여 많은 양의 소금을 섭취하면 나이가 들면서 고혈압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1]. 나트륨과 관련된 소금섭취와 고혈압 유병률과의 관련성은 32개국 10,079명을 대상으로 한 INTERSALT 연구에서 보고된 바 있다[2].
한국이 다른 선진국에 비해 1일 나트륨 섭취량이 높은 이유는? 3배인 4,687㎎을 섭취한 것으로 조사됐다[9]. 이와 같이 한국 사람들이 다른 선진국에 비해 높은 이유는 서구와 달리 가공식품 보다는 조리에 사용되는 소금에 의해 더 많은 양의 나트륨을 섭취하고 있으며[10], 국물요리와 소금에 절여진 발효 음식을 즐기는 식생활에 의해 기인한다[11]. 또한 최근에는 경제 성장에 따른 소득 증대, 맞벌이 부부 증가 등의 이유로 인한 외식 비율의 급증과 소금이 필요 이상으로 첨가된 가공식품을 통한 나트륨 과잉섭취가 증가되고 있다[12,13].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장하는 1일 나트륨 섭취량은 얼마인가? 5%),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성인의 나트륨 최소필요량은 500mg/일로 매우 소량[7]이지만 한국 성인의 경우 나트륨 1인 1일 평균 섭취량은 2010년 4,831㎎으로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장하는 1일 나트륨 섭취량 및 한국영양학회의 목표 섭취량인 2,000mg[8]에 비해서도 섭취량이 2.4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 K. Dahl, "Possible role of salt intake in the development of essential hypertension". Int J Epidemiol 34, pp.967-972, 2005. DOI: http://dx.doi.org/10.1093/ije/dyh317 

  2. M. Law, "Salt, blood pressur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J Cardiovasc Risk 7, pp.5-8, 2000. 

  3. F. J. He, N. D. Markandu, G. A. Sagnella, H. E. de Wardener, G. A. MacGregor, "Plasma sodium: ignored and underestimated", Hypertension 45, pp.98-102, 2005. 

  4. S. Tsugane, "Salt, salted food intake, and risk of gastric cancer", epidemiologic evidence. Cancer Sci 96, pp.1-6, 2005. DOI: http://dx.doi.org/10.1111/j.1349-7006.2005.00006.x 

  5. D. E. Sellmeyer, M. Schloetter, A. Sebastian," Potassium citrate prevents increased urine calcium excretion and bone resorption induced by a high sodium chloride diet", J Clin Endocrinol Metab 87, pp.2008-2012, 2002. DOI: http://dx.doi.org/10.1210/jc.87.5.2008 

  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Retrived January 12, 2012, from http://www.cdc.go.kr/.(accessed 2010) 

  7. H. M. Choi. Nutrition, pp.301, Kyomunsa Co., Seoul, 2000. 

  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05. 

  9. H. Y. Paik, "Nutritional aspects for salt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ookery Science Conference". pp.92-106, 1987. 

  10. S. M. Son, G. Y. Huh, "Salt intake and nutritional problem in Korean". Kor J Comm Nutr 7, pp.381-390, 2002. 

  11. Y. J. Song, H. Y. Paik, H. Joung, "A comparison of cluster and factor analysis to derive dietary patterns in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 14(6), pp.722-733, 2009. 

  12. B. J. Cann, M. L. Slattery, J. Potter, C. P. Jr Quesenberry, A. O. Coates, D. M. Schaffer, " Comparison of the Block and the Willett self-administrat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with an interviewer-administrated dietary history", Am J Epidemiol 14, pp.1137-1147, 1993. 

  13. S. M. Son, Y. S. Park, W. J. Lim, S. B. Kim, Preliminary Study for Low Salt Intake Project of Korean Peopl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14. S. M. Son, G. Y. Huh, H. S. Lee,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dish frequency questionnarire(DFQ) and short DFQ using Na index for estimation of haitual sodium intake", Kor J Comm Nutr 10, pp.677-692, 2005. 

  15. S. M. Son, Y. S. Park, W. J. Lim, S. B. Kim, Y. S. Jeong,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short dish frequency questionnarire(DFQ) and estimation of haitual sodium intake for Korean adults", Kor J Comm Nutr 12, pp.838-853, 2007. 

  16. S. O. Chang, "The amount of sodium in the processed foods, the use of sodium information on the nutrition lable and the acceptance of sodium reduced Rammen in the female college student", Kor J Nutr 39, pp.585-591, 2006. 

  17. Y. K. Lee, C. J. Sung, M. K. Choi, Y. S. Lee, " Effects of sodium intakes on blood pressure and blood parameter in Korean normal adilt women", Kor J Nutr 35, pp.754-762, 2002. 

  18. A. Aschiero, E. B. Rimm, E. L. Giovannucci, G. A. Colditz, B. Rosner, W. C. Willett, F. sacks, M. J. Stampfer, "A prospective study of nutritionnal factors and hypertension among US men", Circulation 86, pp.1475-1484, 1992. DOI: http://dx.doi.org/10.1161/01.CIR.86.5.1475 

  19. E. J. Chung, E. G. Shim, "Salt-realted Dietary Behaviors and sodium Intakes of University students in Gyenggi-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5), pp.578-588, 2008. DOI: http://dx.doi.org/10.3746/jkfn.2008.37.5.578 

  20. S. M. Son, Y. S. Park, W. J. Lim, S. B. Kim. Y. S. Jeong,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Short Dish Frequency Questionnaire(DFQ) for Estimation of Habitual Sodium Intake for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6), pp.838-853, 2007. 

  21. S. M. Son, Y. S. Park, W. J. Lim, S. B. Kim, Y. S. Jeong, "Sodium Intakes of korean Adults with 24-hour Urine Analysi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and Comparison of Sodium Intakes According to the Regional Area and Dish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5), pp.545-558, 2007. 

  22. Y. S. Park, S. M. Son, W. J. Lim, S. B. Kim, Y. S. Chung, "Comparision of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Intakes by Gender and ag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1), pp.1-12, 2008. 

  23.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http://www.kfda.go.kr/index.kfda?mid56&pageNo1&seq18827, 2012. 

  24.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http://www.kfda.go.kr/index.kfda?mid56&pageNo1&seq18066, 2011. 

  25.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http://www.kfda.go.kr/index.kfda?mid56&pageNo1&seq14839,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