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0년~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성인의 나트륨 섭취와 비만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sodium consumption with obesity in Korean adults based 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4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0 no.1, 2017년, pp.64 - 73  

천세영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영양기능연구팀) ,  왕혜원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영양기능연구팀) ,  이화정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영양기능연구팀) ,  황경미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영양기능연구팀) ,  윤혜성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영양기능연구팀) ,  강윤정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영양기능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가적으로 시행된 대규모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나트륨 섭취량과 비만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나트륨 섭취량을 5그룹 (2,000 mg 미만, 2,000 mg 이상~4,000 mg 미만, 4,000 mg 이상~6,000 mg 미만, 6,000 mg 이상~8,000 mg 미만, 8,000 mg 이상)으로 분류하여 비만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일반적인 특징에서 신장과 체중, 체질량지수(BMI), 총 에너지섭취량은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확인되었고, 질병관련 변수에서 비만,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유병률 또한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성별에 따른 교육수준 (p < 0.001), 흡연여부 (p < 0.001), 음주여부 (p < 0.001)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나트륨 섭취량에 따른 신체계측치 및 건강관련 습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체 대상자에서 나트륨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신장, 체중, BMI, 총에너지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남성과 여성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비만, 고콜레스테롤혈증고중성지방혈증 유병률은 나트륨 섭취량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남성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나트륨 섭취량에 따른 교육수준, 걷기실천율, 흡연여부, 음주여부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성별에 따른 나트륨 섭취량이 비만 유병에 미치는 영향을 교란변수 보정 전후로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 대상자에서는 나트륨섭취량이 증가할수록 2,000 mg 미만 섭취자 대비 비만의 오즈비가 증가하였으며, 남성의 경우 4,000 mg 이상 섭취자부터 유의한 OR값을 보였다. 성별, 나이, 연도, 에너지밀도, 교육수준, 흡연여부, 음주여부, 만성질환 유병여부, 신체활동을 보정하였을 때, 4,000~6,000 mg 섭취그룹 및 8,000 mg 이상 섭취그룹이 2,000 mg 미만 섭취자보다 비만 유병위험이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은 8,000 mg 이상 섭취그룹에서, 여성은 4,000~6,000 mg 섭취자 그룹에서 각각 비만의 유의한 오즈비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Excess sodium intake may contribute to the etiology of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recommends a daily sodium intake of less than 2 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association of sodium intake with obesity in Korean adults.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우리나라 국민의 나트륨 섭취량은 다른 나라들보다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나트륨 섭취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9세 이상 성인의 1일 나트륨 섭취량과 비만과의 관련성을 연구한 논문이 발표되었으나,22 이는 최근 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2013년~2014년) 표본을 포함되어 있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만 3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나트륨 섭취량에 따른 비만과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외에서 고나트륨 섭취와 비만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어떠한가? 12-14 특히 식이요인 중 고나트륨 섭취와 비만과의 상관성이 국내외 연구를 통해 증명되고 있다. 영국에서 소아와 성인 모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24시간 소변 나트륨 배설량이 높은군이 낮은군보다 과체중 또는 비만이 될 위험성이 각각 28%, 26% 증가하였고,15 그 외 많은 국외연구에서 체질량지수와 나트륨 섭취량과의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있었다.16-18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1일 나트륨 섭취량이 많으면 과체중이 될 위험성이 증가하였고,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CT복부 및 내장 지방량을 포함하는 비만관련 위험지표와 나트륩 섭취량과의 양의 상관성에 대해서도 살펴본 연구결과들이 있었다.
비만은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유발되는가? 비만은 유전적 요인8,9과 스트레스,10 신체활동의 부족, 과도한 음주, 흡연11 등 생활 습관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유발된다. 그 중에서도 지방, 당, 나트륨 등 식이요인과 비만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최근 많이 진행되고 있다.
비만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비만은 수명을 단축시키고,1 고혈압, 당뇨, 심혈관질환 등 다양한 만성 질환의 발생 위험성을 높인다.2,3 때문에, 최근 증가하고 있는 비만 유병률은 전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보이는 공중보건문제이며, 우리나라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Mundstock E, Sarria EE, Zatti H, Mattos Louzada F, Kich Grun L, Herbert Jones M, Guma FT, Mazzola In Memoriam J, Epifanio M, Stein RT, Barb-Tuana FM, Mattiello R. Effect of obesity on telomere length: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besity (Silver Spring) 2015; 23(11): 2165-2174. 

  2. Kopelman PG.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2000; 404(6778): 635-643. 

  3. Bibbins-Domingo K, Chertow GM, Coxson PG, Moran A, Lightwood JM, Pletcher MJ, Goldman L. Projected effect of dietary salt reductions on future cardiovascular disease. N Engl J Med 2010; 362(7): 590-599. 

  4. Popkin BM, Adair LS, Ng SW. Global nutrition transition and the pandemic of obesity in developing countries. Nutr Rev 2012; 70(1): 3-21. 

  5. Khang YH, Park MJ. Trends in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using four different criteria. Int J Pediatr Obes 2011; 6(3-4): 206-214.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2014 National Health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port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cited 2015 Dec 1].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7. Flegal KM, Kruszon-Moran D, Carroll MD, Fryar CD, Ogden CL. Trends in obesity among adults in the United States, 2005 to 2014. JAMA 2016; 315(21): 2284-2291. 

  8. Comuzzie AG, Allison DB. The search for human obesity genes. Science 1998; 280(5368): 1374-1377. 

  9. Lee JH, Reed DR, Price RA. Familial risk ratios for extreme obesity: implications for mapping human obesity gene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7; 21(10): 935-940. 

  10. Slochower J, Kaplan SP, Mann L. The effects of life stress and weight on mood and eating. Appetite 1981; 2(2): 115-125. 

  11. Lahti-Koski M, Pietinen P, Heliovaara M, Vartiainen E. Associations of body mass index and obesity with physical activity, food choices, alcohol intake, and smoking in the 1982-1997 FINRISK Studies. Am J Clin Nutr 2002; 75(5): 809-817. 

  12. Powles J, Fahimi S, Micha R, Khatibzadeh S, Shi P, Ezzati M, Engell RE, Lim SS, Danaei G, Mozaffarian D; Global Burden of Diseases Nutrition and Chronic Diseases Expert Group (Nutri-CoDE).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sodium intakes in 1990 and 2010: a systematic analysis of 24 h urinary sodium excretion and dietary surveys worldwide. BMJ Open 2013; 3(12): e003733. 

  13. Song DY, Park JE, Shim JE, Lee JE. Trends in the major dish groups and food group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0. Korean J Nutr 2013; 46(1): 72-85. 

  14. Bray GA, Popkin BM. Dietary sugar and body weight: have we reached a crisis in the epidemic of obesity and diabetes?: health be damned! Pour on the sugar. Diabetes Care 2014; 37(4): 950-956. 

  15. Ma Y, He FJ, MacGregor GA. High salt intake: independent risk factor for obesity? Hypertension 2015; 66(4): 843-849. 

  16. Yang Q, Zhang Z, Kuklina EV, Fang J, Ayala C, Hong Y, Loustalot F, Dai S, Gunn JP, Tian N, Cogswell ME, Merritt R. Sodium intake and blood pressure among US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ics 2012; 130(4): 611-619. 

  17. Larsen SC, Angquist L, Sorensen TI, Heitmann BL. 24h urinary sodium excretion and subsequent change in weight, waist circumference and body composition. PLoS One 2013; 8(7): e69689. 

  18. Navia B, Aparicio A, Perea JM, Perez-Farinos N, Villar-Villalba C, Labrado E, Ortega RM. Sodium intake may promote weight gain; results of the FANPE study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adult Spanish population. Nutr Hosp 2014; 29(6): 1283-1289. 

  19. Song HJ, Cho YG, Lee HJ. Dietary sodium intake and prevalence of overweight in adults. Metabolism 2013; 62(5): 703-708. 

  20. Oh HW, Kim HJ, Jun DW, Lee SM. Associations between 24-hour urine sodium excretion level and obesity-related metabolic risk factors.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6): 460-467. 

  21. Oh SW, Han KH, Han SY, Koo HS, Kim S, Chin HJ. Association of sodium excretion with metabolic syndrome, insulin resistance, and body fat. Medicine (Baltimore) 2015; 94(39): e1650. 

  22. Kim JH, Lim GE, Kang S, Lee K, Park TJ, Kim J.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odium intake and obesity in Korean adults. Korean J Health Promot 2015; 15(4): 175-184. 

  23. World Health Organization Western Pacific Regio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Pty Limited; 2000. 

  24. Chobanian AV, Hill M.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Workshop on sodium and blood pressure: a critical review of current scientific evidence. Hypertension 2000; 35(4): 858-863. 

  25. Blaustein MP, Hamlyn JM. Role of a natriuretic factor in essential hypertension: an hypothesis. Ann Intern Med 1983; 98(5 Pt 2): 785-792. 

  26. Wang XQ, Terry PD, Yan H. Review of salt consumption and stomach cancer risk: epidemiological and biological evidence. World J Gastroenterol 2009; 15(18): 2204-2213. 

  27. Park B, Shin A, Park SK, Ko KP, Ma SH, Lee EH, Gwack J, Jung EJ, Cho LY, Yang JJ, Yoo KY. Ecological study for refrigerator use, salt, vegetable, and fruit intakes, and gastric cancer. Cancer Causes Control 2011; 22(11): 1497-1502.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Guideline. Sodium intake for adults and childre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29. Cocores JA, Gold MS. The salted food addiction hypothesis may explain overeating and the obesity epidemic. Med Hypotheses 2009; 73(6): 892-899. 

  30. Fonseca-Alaniz MH, Brito LC, Borges-Silva CN, Takada J, Andreotti S, Lima FB. High dietary sodium intake increases white adipose tissue mass and plasma leptin in rats. Obesity (Silver Spring) 2007; 15(9): 2200-2208. 

  31. Fonseca-Alaniz MH, Takada J, Andreotti S, de Campos TB, Campana AB, Borges-Silva CN, Lima FB. High sodium intake enhances insulin-stimulated glucose uptake in rat epididymal adipose tissue. Obesity (Silver Spring) 2008; 16(6): 1186-1192. 

  32. Grimes CA, Riddell LJ, Campbell KJ, Nowson CA. Dietary salt intake, sugar-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and obesity risk. Pediatrics 2013; 131(1): 14-21. 

  33. Libuda L, Kersting M, Alexy U. Consumption of dietary salt measured by urinary sodium excre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body weight status in healthy children and adolescents. Public Health Nutr 2012; 15(3): 433-441. 

  34. Yoon YS, Oh SW. Sodium density and obesity;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0. Eur J Clin Nutr 2013; 67(2): 141-146. 

  35. Park YS, Son SM, Lim WJ, Kim SB, Chung YS.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intake by gender and age.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1): 1-12. 

  36. Jeong YS, Lim HJ, Kim SB, Kim HJ, Son SM. Blood pressure and dietary relate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igh sodium intake assessed with 24-hour urine analysis for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4; 19(6): 537-5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