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 부부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Marriage Migrant Women's Korean Language Ability, Self-esteem, and Acculturative Stress on Their Family Health: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Adjustment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4 no.1, 2013년, pp.87 - 98  

이지현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  진수진 (성균관대 삼성창원병원) ,  주현정 (창원산재병원) ,  조연실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family health of women who came to Korea for being married to Korean men.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60 immigrant women at multicultural centers located in C and B cities from May 10th to 30th, 2012.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민여성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결혼만족도가 유의한 Yoon (2012)의 연구와 자아존중감과 가족적응성이 유의하다고 한 Kim과 Chon (2012), Park (2011)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고, Mo와 Kim (2002)의 연구에서 자기존중감이 높을수록 부부적응이 높아지고, 부부의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은 독립적 및 상호작용을 통하여 부부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상담치료 시 부부의 의사소통과 자기존중감이 부부적응을 향상시키므로 이주여성 상담 프로그램에 자아존중감을 포함하도록 제안한다.
  •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실태조사이거나 관계연구로서 가족건강성과 관계변인만을 설명하거나 단순히 가족건강성의 영향요인만을 살펴보고 있으며, 제한적인 형태의 가족건강성을 고려하고 있어서 포괄적 가족건강성 대책을 제안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경험하는 한국어 능력과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 부부적응 및 가족건강성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에 부부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어 능력과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겪는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을 향상시키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행연구의 문헌고찰을 근거로 하여 가족건강성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제시한 후에 모형의 자료에 대한 적합도, 매개효과와 연구가설을 검정하는 구조모형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 그리고 부부적응이 가족건강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았다. 가족건강성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부부적응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였으며, 통계분석방법으로서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 가족건강성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부부적응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였으며, 통계분석방법으로서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결과는 한국어 능력과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겪는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을 향상시키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포괄적 가족 건강성을 돕기 위한 지원대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 가족이 최근 우리나라에서 급격하고 늘어나고 있는 이유는? 최근 우리나라는 국제결혼으로 다민족,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변화하면서 다문화 가족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다문화 가족은 한국여성과 외국남성의 결혼보다 한국남성과 외국 여성이 결혼하는 경우가 더 많다(Yang, 2011).
다문화 가족은 어떤 경우가 더 많은가? 최근 우리나라는 국제결혼으로 다민족,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변화하면서 다문화 가족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다문화 가족은 한국여성과 외국남성의 결혼보다 한국남성과 외국 여성이 결혼하는 경우가 더 많다(Yang, 2011). 한국남성과 결혼하여 일시체류가 아닌 정착을 목적으로 이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은 환경과 사회문화적 조건이 많이 다른 우리나라의 문화에 적응해야 하는 힘든 과정과 어려움 및 고통을 가진다(Kim, 2011).
다문화 가족은 한국남성과 외국 여성이 결혼하는 경우가 더 많은데 이러한 결혼이주여성은 어떤 어려움 및 고통을 가지는가? 다문화 가족은 한국여성과 외국남성의 결혼보다 한국남성과 외국 여성이 결혼하는 경우가 더 많다(Yang, 2011). 한국남성과 결혼하여 일시체류가 아닌 정착을 목적으로 이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은 환경과 사회문화적 조건이 많이 다른 우리나라의 문화에 적응해야 하는 힘든 과정과 어려움 및 고통을 가진다(Kim, 2011). 우리나라 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은 중국(26%), 베트남(21%), 조선족(15%), 일본(12%), 러시아(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rry, J. W. (2005). Acculturation: Living successfully in two cul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9 (6), 697-712. 

  2. Choi, J. H. (2011). A study of stress and family strength of immigrant women in international marriages.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6 (4), 29-46. 

  3. Choi, Y. K. (2011). A study on the factors of family health 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 Eo, E. J., & Yoo, Y. J. (199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for measuring family strength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3 (1), 145-156. 

  5. Hong, M. K. (2009). A study on acculturative stress and dyadic adjustment of immigrant women who married to Korean me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couple's communi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6. Hwang, W., & Ting, J. Y. (2008). Disaggregating the effects of accultura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on the mental health of Asian Americans.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14 (2), 147-154. 

  7. J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1 (1), 107-130. 

  8. Jun, H. J., Min, S. H., Lee, M. Y., & Choi, H. Y. (2009). Path of the variables to migrant women's families' health.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4 (2), 5-27. 

  9. Kim, H. S., & Kim, K. S. (2011). A study of related variables to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Korean men couple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6 (2), 59-86. 

  10. Kim, H. S., Kim, H. J., & Choi, S. S. (2010). Acculturative stress and marital adjustment among marriage migration females: Focusing on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Korea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4 (2), 153-176. 

  11. Kim, J., & Chon, C. W. (2012). The self-esteem of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effects on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round Jeonbuk Mujugun area.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26 (1), 107-125. 

  12. Kim, K. H. (2011). A study on stress, coping style and family strength of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3. Kim, K. H., & Choi, J. H. (2011). A study on stress, coping style and family strength of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23, 23-49. 

  14. Kim, O. N. (2006).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marital conflicts of immigrant women. Family and Culture, 18 (3), 63- 106. 

  15. Kim, S. G., & Lee, C. J. (2010). The effect of linguistic ability and social support on adjustment among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5 (1), 5-20. 

  16. Kwon, B. S. (2009). The effects of korean ability and self-esteem on acculturative stress of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Focused on Vietnamese, Pilipino, and Chinese women in Daegu.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1 (2), 5-32. 

  17. Kwon, S. J. (2001).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family life events stress, family functioning and social support of the wives who reside in some area.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2 (3), 696-704. 

  18. Mo, E. H., & Kim, J. H. (2002). The mediating effects of couples'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ple communication and marital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4 (4), 887-900. 

  19. Moon, H. M. (2011). The relation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ocial anxiety among immigrant women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Moderation effect of marita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0. Oh, Y., Koeske, G. F., & Sales, E. (2002). Acculturation, stress,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2 (4), 511-526. 

  21. Park, M. S. (2011).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immigrant women's self-esteem and resilience-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y happines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1 (5), 393-402. 

  22. Rhee, S., Chang, J., & Rhee, J. (2003). Acculturation, communication patterns, and self-esteem among Asian and Caucasian American adolescents. Adolescence, 38 (152), 749- 769. 

  23. So, E. D. (2006). A study on the impact factors in the marriage adaptability of foreign female immigrants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illa University, Busan. 

  24. Yang, S. J. (2011). Health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among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by ethnicity.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2 (1), 66-74. 

  25. Yang, Y. M. (2008). Acculturation and health outcomes among Vietnamese immigrant women in Taiwan. Unpublished doctoral thesis,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USA. 

  26. Yi, M. S., & Gim, J. S. (1996). A preliminary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dyadic adjustment scale.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5 (1), 129-140. 

  27. Yoo, G. S. (2004). Focusing on family systems and family strengths: A survey on the elements of strong familie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9 (2), 25-42. 

  28. Yoo, Y. J. (199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mily welfare program for strengthening family life.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9 (1), 45-63. 

  29. Yoo, Y. J. (200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family strengths scale for strengthening the family. Journal of Family Relations, 9 (2), 119-151. 

  30. Yoon, R. I. (2012). The influence of married women immigrants' self-esteem, Korean language skills and husbands' abilities to use wives' native languages on marital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